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3.12 (수) 장마감

by 장주공 2025. 3. 12.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3/12 KOSPI 2,574.82(+1.47%)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반도체株 강세(+)

지난밤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지속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52.60(+15.00P, +0.59%)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상승폭을 줄였고, 2,541.66(+4.06P, +0.16%)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키웠고, 정오 부근 2,579.69(+42.09P, +1.6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다소 반납했고, 결국 2,574.82(+37.22P, +1.47%)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반도체株 강세 등에 코스피지수는 하루만에 반등.

외국인이 3거래일만에 순매수, 기관은 하루만에 순매수.

반면, 개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지난밤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에 25%+25% 총 50% 관세 인상 소식에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으나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전기요금 할증 중단을 발표하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를 존중한다는 반응을 내놓으면서 관세 우려가 다소 완화.

백악관은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 대상 추가 관세 방침을 철회한다고 밝힘.

금일 오후 1시1분(美 동부시간 기준 12일 오전0시)를 기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가 시행됐음. 그러나 이미 시장에서 예상했던 상황이었고,

관세 불확실성이 더욱 확산되지 않으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모습.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캐나다와 멕시코 대상 50% 관세부과 확정시 이들 국가들의 수출

점유율을 상당부분 25% 관세가 적용됨에도 쿼터제가 폐지되는 한국이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

이에 세아제강지주(+4.91%), POSCO홀딩스(+5.90%), 동국제강(+3.71%),

현대제철(+2.46%), 세아베스틸지주(+1.46%) 등 철강주가 상승.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삼성전자(+2.43%), SK하이닉스(+5.91%)가 큰 폭으로 상승.

금융당국, 보험사 킥스 기준 완화 소식 속 주주배당 여력 확대 기대감 등에

현대해상(+10.99%), 한화생명(+4.70%), 삼성생명(+1.20%), DB손해보험(+3.85%)

등 보험주도 상승.

LG 에너지솔루션(+2.20%), LG화학(+5.46%), SK이노베이션(+3.13%),

삼성SDI(+1.91%) 등 2차전지,

현대차(+1.33%), 기아(+0.71%) 등 자동차 대표주도 상승.

고려아연(+26.04%)은 경영권 분쟁 지속 등에 급등.

반면, 한화(-10.39%), LIG넥스원(-9.22%), 한화시스템(-7.24%) 등 방산,

한화오션(-8.97%), HD한국조선해양(-2.07%), HJ중공업(-8.54%) 등 조선주는

차익매물 출회 등에 하락.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 중국, 홍콩은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3,807억, 319억 순매수, 개인이 5,060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1,749계약, 1,129계약 순매수, 개인 2,692계약 순매도.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451.0원으로 전거래일대비 4.0원 하락.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0bp 하락한 2.550%,

10년물은 전일 대비 0.3bp 상승한 2.76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틱 오른 106.79 마감. 외국인이 10,080계약 순매수,

은행과 금융투자는 각각 4,738계약, 2,238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틱 내린 119.03 마감. 금융투자가 6,106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5,003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상승.

고려아연(+26.04%), SK하이닉스(+5.91%), POSCO홀딩스(+5.90%), SK이노베이션(+3.12%),

삼성전자(+2.43%), LG에너지솔루션(+2.20%), 셀트리온(+1.91%), 현대차(+1.33%),

삼성바이오로직스(+1.03%), 삼성화재(+0.77%), 기아(+0.71%), NAVER(+0.71%),

메리츠금융지주(+0.34%) 등이 상승.

반면, 한화오션(-8.97%), 한화에어로스페이스(-1.92%), KB금융(-0.65%),

HD현대중공업(-0.50%) 등은 하락. 현대모비스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금속(+7.80%), 전기/전자(+2.74%), 보험(+1.98%), 제조(+1.91%), 통신(+1.72%), 일반서비스(+1.66%), 의료/정밀기기(+1.63%), 화학(+1.61%), 증권(+1.45%), 기계/장비(+1.07%), 제약(+1.06%), 금융(+0.95%) 등이 상승. 반면, 운송/창고(-1.19%), 부동산(-0.91%), 운송장비/부품(-0.85%), 오락/문화(-0.72%), 전기/가스(-0.53%), 섬유/의류(-0.37%), 음식료/담배(-0.06%)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574.82P(+37.22P/+1.47%)

코스닥 마감시황

3/12 KOSDAQ 729.49(+1.11%)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반도체株 강세(+)

지난밤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4.58(+3.08P, +0.43%)로 상승 출발.

장 초반 723.52(+2.02P, +0.28%)에서 장중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 한때 734.14(+12.64P, +1.75%)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상승폭을 다소 줄였고, 장 후반 728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했으나

결국 729.49(+7.99P, +1.11%)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반도체株 상승 등에 코스닥지수는 5거 래일만에 반등.

외국인이 이틀 연속 순매수, 기관은 5거래일만에 순매수, 개인은 5거래일만에 순매도.

백악관이 지난밤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 대상 추가

관세 방침을 철회한다고 밝히면서 관세 우려가 다소 완화.

코스피시장에서 삼성전자(+2.43%), SK하이닉스(+5.91%)가 강세 마감한 가운데,

리노공업(+9.81%), HPSP(+11.20%), 주성엔지니어링(+2.79%), ISC(+2.84%),

티씨케이(+7.20%), 에프에스티(+10.54%), 이오테크닉스(+7.41%), 테크윙(+5.74%)

등 반도체 관련주가 동반 상승.

에코프로비엠(+0.34%), 에코프로(+1.20%), 엔켐(+0.35%), 피엔티(+2.00%),

나노신소재(+2.42%), 에코앤드림(+2.14%) 등 2차전지 관련주도 상승.

티로보틱스(+17.47%)는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대규모 로봇 및 물류자동화 시장 공략을

위한 MOU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반면, 알테오젠(-2.43%), 삼천당제약(-0.46%), 리가켐바이오(-2.46%),

보로노이(-2.60%), 오스코텍(-1.08%), 에이비엘바이오(-3.67%)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은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49억, 92억 순매수, 개인은 121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우세. HPSP(+11.20%), 리노공업(+9.81%), 코오롱티슈진(+9.64%), 파마리서치(+2.98%), 휴젤(+1.67%), 에코프로(+1.20%), 레인보우로보틱스(+0.96%), 펄어비스(+0.81%), 셀트리온제약(+0.57%), 펩 트론(+0.46%), 에코프로비엠(+0.34%) 등이 상승. 반면, 에스엠(-3.10%), 보로노이(-2.60%), 리가켐바이오(-2.46%), 알테오젠(-2.43%), 클래시스(-1.51%), 삼천당제약(-0.46%), JYP Ent.(-0.28%) 등은 하락. HLB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비금속(+3.92%), 기계/장비(+2.75%), 전기/전자(+2.29%), 화학(+2.19%), 제조(+1.69%), 종이/목재(+1.18%), 섬유/의류(+1.15%), 의료/정밀기기(+1.06%), IT 서비스(+0.95%), 기타제조(+0.88%), 유통(+0.85%), 금속(+0.83%), 음식료/담배(+0.80%), 제약(+0.58%), 건설(+0.57%) 등이 상승. 반면, 일반서비스(-1.10%), 오락/문화(-0.46%), 출판/매체복제(-0.20%), 운송장비/부품(-0.16%)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29.49P(+7.99P/+1.11%)

테마시황

상승테마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온디바이스 AI, HBM, 3D낸드, CXL, 뉴로모픽 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금융당국, 보험사 킥스 기준 완화 소식 속 주주배당 여력 확대 기대감 등에

손해보험/ 생명보험 테마 상승.

국내 화장품 업황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효에도 수출 물량 확대 전망 등에

철강 주요종목/ 비철금속 테마 상승.

피부 미용 업체 VC투자 유치 호조 속 K-피부 미용 의료기기 인식 제고 전망

등에 미용기기 테마 상승. 의료기기 테마도 상승.

HD현대·美 테라파워와 SMR 개발 가속화 소식 속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비트코인 가격 반등 속 美 가상화폐 관련주 강세 영향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두나무 테마도 상승.

테슬라(+3.79%)주가 반등 속 2차전지/ 전기차/ 리튬 테마 상승. 폐배터리, 리비안 테마도 상승.

중국發 황사, 미세먼지 유입 전망 등에 황사/미세먼지, 마스크, 공기청정기 등 테마 상승.

中 태양광 원자재·판가 인상 소식 속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美/中 관세 전쟁 지속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이 외 보톡스, 캐릭터상품, RFID(NFC 등), 야놀자, LED장비, 마이크로 LED,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OLED, 영화, PCB(FPCB 등), 전기자전거, 전력저장장치(ESS), IT 대표주, 엔젤산업, 화이자, 통신, CCTV & DVR,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AI 챗봇(챗GPT 등), 딥페이크, 출산장려정책, 모더나, 3D 프린터, mRNA, 제4이동통신,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마이크로바이옴, 정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증시 강세 속 대부분 테마가 상승.

하락테마

美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강세를 이어오던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유럽 방위비 확대 수혜

기대감 등에 부각됐던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등이 차익 매물 속 하락.

美- 우크라 '30일 휴전' 동의 소식에도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테마 하락.

이 외 해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강관업체, 남-북-러가스관사업, 항공기부품, 화학섬유, 드론, 홈쇼핑, 우주항공산업, UAM, 리츠(REITs), 종합 물류, 편의점, 렌터카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기록하는 등 일부 테마가 하락.

반도체 관련주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상승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4년 말 기준 메모리 3사의 평균재고는 15주 수준으로 23년 말 대비 5주 증가했으나(Trendforce), 1Q25를 기점으로 Peak-out 할 것으로 전망. 공급 측면에서 메모리 업체의 공정 전환에 따른 공급 감소 영향이 예상되며, 수요 측면에서 긍정적인 점은 PC/스마트폰과 서버 고객사들의 평균 재고가 Peak-Out하고 있다고 설명.

특히, PC/스마트폰 고객사는 2H24 보유하던 재고를 소진하며 2Q24(15주) 대비 1Q25E(8.5주)에는 -6.5주를 기록했다며, 서버 고객사의 재고는 3Q24 13.5주에서 1Q25E 12.5주로 감소했다고 밝힘.

서버 고객사의 재고 감소는 느리지만 PC/스마트폰 고객사는 하반기 수요 대응을 위한 Re-stocking

수요가 발생할 수 있는 재고 수준으로 판단된다며, 올해 중국의 보조금 정책과 하반기 강화된

AI를 탑재한 스마트폰 출시로 인한 수요 반등을 고려하면 시장 기대 대비 B2C 수요는 긍정적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아울러 DDR5 현물가는 $4.66에서 $5.03으로 29영업일간 상승(+7.8%)했다며,

현물가 상승에 이에 DDR5 계약 가격은 2월말 기준 10개월 만에 상승하며 1월말 $3.75,

2월말 $3.80(+1.3% MoM)를 기록했다고 설명. HBM 생산 능력 증가에 따라 DDR5 공급 증가는

제한적인 상황이라며, 특히 국내 DRAM 업체들의 DDR5 재고는 극히 적은 상황으로 파악되어

DDR5 시장은 DDR4와는 달리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이에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에 따라 올해 하반기 소재/부품업체들의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며,

메모리 업체의 공정 전환에 의한 자연적 감산에 따라 범용 메모리의 업황 반등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후 메모리 가격 상승에 따른 가동률 회복이 전망된다고 언급.

이 같은 분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이오테크닉스, 디아이, 메가터치, 에프에스티,

에스앤에스텍, 케이씨텍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손해보험/ 생명보험

금융당국, 보험사 킥스 기준 완화 소식 속 주주배당 여력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금융당국이 보험사 자본규제인 지급여력비율(K-ICS·킥스) 권고치를 현행 150%에서 최대 130%까지 하향한다고 밝힘. 하향폭에 따라 해약환급금준비금 적립비율 요건도 재조정하며, 킥스와 이중규제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비상위험준비금 제도도 보험사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손질할 방침. 금융당국은 금일 이같은 내용의 '보험업권 자본규제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으며, 이는 지난해 도입된 새 국제회계기준 IFRS17과 이를 기초로 한 지급여력제도 킥스 도입으로 보험회사가 적립해야 하는 자본(요구자본)이 크게 증가했다는 지적을 반영한 것임.

이에따라 시장에서는 보험사들의 자본조달 및 자본건전성 유지 부담이 줄어들면서 주주배당여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예를 들어 현 규제 하에서는 올해 킥스 비율이 190%로 당국 권고치를 40%p 상회할 경우 해약환급금준비금 적립비율 80%를 적용받는데 당국 권고치가 130%까지 내려갈 경우 킥스비율 170% 이상이면 적립비율 80%를 적용받게 되며, 이럴 경우 향후 납세·주주배당 여력이 확대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현대해상, 한화손해보험, DB손해보험, 한화생명 등 손해보험/생명보험 테마가 상승.

화장품

국내 화장품 업황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미국 경기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K-뷰티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고 전해짐.

국내 화장품 업체들의 해외 판매가 성장하고 있기때문으로 증권가에서는 올해가 국내 화장품 업체들의 글로벌 확장 시기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음. LS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K-뷰티 제품들은 따라오기 힘든 혁신성과 제품력, 가성비를 갖추고 있다며, 이러한 기초 체력이 미 국 뷰티 시장 마케팅에서 중요한 틱톡에서 빛을 발하고 있고, 기존 없었던 새로운 카테고리도 만들어내며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힘. 메리츠증권도 K뷰티의 글로벌 성장동력은 계속되고 있다며, 수출 지표와 여러 업체의 실적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고 설명.

中 한한령 해제 및 경기 회복 기대감도 지속. 중국의 APEC 정상회의 준비기구인 중국아태협력중심이 이르면 이번달 한국에 문화사절단을 파견할 예정인 가운데, 봉준호 감독의 영화 ‘미키17’은지난 7일 중국 전역에서 상영을 시작했음. 한국 감독의 영화가 중국에서 상영된 건 2021년 이후 4년 만으로 이로 인해 한한령이 해빙 무드에접어든 것 아니냐는 관측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음. 또한, 중국 최대 연례 정치행사인 양회가 지난 11일 폐막한 가운데,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양회에서 중국 정부는 보다 적극적인 소비 부양 의지를 보였다며, 그동안 국내 화장품 업체들이 중국 실적 방어를 위해 체질 개선, 영업강화 등 각고의 노력을 해온 만큼 향후 실질적으로 중국 업황 회복 시 화장품 기업 실적으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씨앤씨인터내셔널, 제이투케이바이오, 제닉, 토니모리, 에이에스텍, 한국화장품제조,

브이티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 비철금속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효에도 수출 물량 확대 전망 등에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예고한 ‘관세 전쟁’의 신호탄 격인 철강·알루미늄 25%관세가 12일(현지시간) 발효됐음. 일각에서는 전 세계를 상대로 25% 관세가 적용되는 만큼 한국은 주요 수출 경쟁국과의 대미 수출 경쟁에서더 불리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지만, 오히려 수출 물량 상한이 없어지면서 한국 철강 업체들이 미국 시장에 더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도 나오는 모습.

조성대 국제무역통상연구원 통상연구실 실장은 "캐나다로선 기존에 없던 관세가 생긴셈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꼭 불리한 상황만은 아니라"라며, "다만 미국의 캐나다에 대한 추가 철강 관세 부과 여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밝힘. 이어 "미국이 자국 내 철강 수요를 현지 생산 물량으로 전부 충족하기 어려운 만큼 경쟁 상황에 따라 우리가 수출량을 더 많이 가져가게 될 수도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음.

이에 금일 POSCO홀딩스, 동국제강, 현대제철, 알멕, 이구산업, 알루코 등 철강/비철금속 테마가 상승.

미용기기

피부 미용 업체 VC투자 유치 호조 속 K-피부 미용 의료기기 인식제고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역대 최고 규모로 의료기기 업체의 시리즈 A가 마무리될 예정이라며,

피부 미용 필러 사업을 하는 셀락바이오가 540억 원의 투자 유치를 마무리하고 있다는 내용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고 밝힘. 이는 국내 비상장 헬스케어 업체 VC 투자 중 역대 7번째로 큰 투자 규모를 자랑하고, 의료기기 산업으로 분류를 좁히면 역대 3번째로 큰 수준이라고 설명. 이를 통해 피부 미용 관련 상장사와 비상장사들의 기술 개발이 이어지며 ‘K피부 미용 의료기기’에 대한 인식 제고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이에 금일 제테마, 휴온스글로벌, 레이저옵텍, 휴메딕스, 원텍 등 미용기기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HD현대·美 테라파워와 SMR 개발 가속화 소식 속 상승

HD현대는 언론을 통해 최근 미국에서 조선 부문 계열사인 HD현대중공업이 테라파워와 '나트륨 원자로의 상업화를 위한 제조 공급망 확장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협약식에는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과 원광식 HD현대중공업 해양에너지사업본부장, 빌 게이츠 테라파워 창업자와 크리스 르베크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HD현대의우수한 생산기술력과 테라파워의 첨단 SMR 기술을 결합해 나트륨 원자로의 공급 능력을 확대하고 상업화에 나설 예정임.

이와 관련, 원광직 HD현대중공업 해양에너지사업본부장은 "HD현대가 제조업 분야에서 쌓아온 폭넓은 경험과 앞선 기술력이 나트륨 원자로의 상업화 기반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원자력 에너지 솔루션의 상업화를 가속화하고 글로벌 SMR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언급. 이어 크리스 르베크 테라파워 최고경영자(CEO)는 "테라파워는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나트륨 원자로를 발 빠르게 공급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며, "HD현대와의 협력을 통해 에너지 수요증가에 맞춰 공급망을 확장하고 나트륨 원자로를성공적으로 건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두산에너빌리티, 태웅, 광명전기, 우리기술, 태광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비트코인 가격 반등 속 美 가상화폐 관련주 강세 영향 등에 상승

최근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8만 달러선이 붕괴됐던 비트코인 가격이 저가매수세 유입 등에 반등하는 모습을 보임. 美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이날 오후 4시 경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8만1,390달러 부근에서 거래중이며,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와 빗썸에서는 1억2,090만원선 부근에서 거래중.

코인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30일 휴전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제안에 동의한 후 시장이 반등했다"고 언급.

한편, 비트코인 가격 반등 속 지난밤 美 증시에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8.80%), 코인베이스 글로벌(+6.87%), 아이렌(+6.50%), 클린스파크(+3.51%), 사이퍼 마이닝(+3.08%), 테라울프(+2.93%) 등 가상화폐 관련주들이 상승.

이 같은 소식 속 FSN, 우리기술투자, 한화투자증권, 티사이언티픽, 컴투스홀딩스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당일 상승종목

쓰리에이로직스 (+29.92%)

삼성전자, 애플 등 복수 고객사들과 LPW D램 개발

진행 소식 속 LPDDR5 5G IoT 솔루션

제공 사실 부각에 상한가

레이저옵텍 (+29.89%)

피부 미용 업체 VC투자 유치 호조 속 K-피부미용

의료기기 인식 제고 전망 등에 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에스엠씨지 (+29.89%)

국내 화장품 업황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씨앤씨인터내셔널 (+26.18%)

국내 화장품 업황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고려아연 (+26.04%)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경영권 분쟁 소송에 급등

그린리소스 (+25.05%)

中수출통제 안티모니 가격 두배 소식

속 수혜 기대감 부각 등에 급등

퀄리타스반도체 (+20.96%)

반도체 관련주 상승, 美 첨단 반도체 패키징 및

포토닉스센터 설립 추진 속 PCIe 6.0 PHY IP

솔루션 국내 최초 개발 사실 재부각에 급등

티로보틱스 (+17.47%)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대규모 로봇 및 물류자동화

시장 공략을 위한 MOU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파인메딕스 (+17.39%)

올해 본격 성장 기대감 지속에 급등

알멕 (+14.43%)

비철금속 테마 상승,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조치

발효 속 관세율 0% 확정판정 이력 및 美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시 생산 공장 구축 재부각에 급등

미트박스 (+13.86%)

美 축산업계, 미국무역대표부에 韓 미국산 소고기 30개월

연령 제한 해제 건의 소식 속 美 카길 파트너사로 축산물

직거래 온라인 플랫폼 운영 사실 부각에 급등

휴온스글로벌 (+13.24%)

피부 미용 업체 VC투자 유치 호조 속 K-피부 미용

의료기기 인식 제고 전망 등에 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급등

하나머티리얼즈 (+11.88%)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IT 수요 회복으로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지속에 급등

HPSP (+11.20%)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에이치이엠파마 (+11.17%)

엑셀세라퓨틱스와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소재 연구 MOU 체결 소식에 급등

제이투케이바이오 (+11.14%)

국내 화장품 업황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해상 (+10.99%)

금융당국, 보험사 킥스 기준 완화 소식 속 주주배당

여력 확대 기대감 등에 손해보험 테마 상승 속 급등

브이씨 (+10.65%)

지난해 적자폭 축소에 급등

하이젠알앤엠 (+10.63%)

액추에이터 개발로 외형 성장 기대감 지속에 급등

에프에스티 (+10.54%)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라메디텍 (+10.45%)

피부 미용 업체 VC투자 유치 호조 속 K-피부 미용

의료기기 인식 제고 전망 등에 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씨티케이 (+10.16%)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차세대 보안 솔루션

연구논문 국제학술지 게재 소식에 급등

심텍 (+9.95%)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셀비온 (+9.84%)

내년 방사성 치료제 출시 및 MSD '키트루다'

병용 임상 시너지 기대감 등에 급등

리노공업 (+9.81%)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1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급등

에스앤에스텍 (+9.77%)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유니퀘스트 (+9.70%)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용 ‘젯슨 토르’ 출시

기대감 부각 속 엔비디아의 파트너사로 부각되며 급등

코오롱티슈진 (+9.64%)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TG-C’

美 임상 3상 기대감 지속에 급등

플리토 (+9.46%)

글로벌 IT기업과 90.43억원(최근 매출액

대비 50.92%)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해성디에스 (+9.29%)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한화비전 (+9.22%)

일부 한화 그룹주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SK에 TC본더 공급 임박 소식 등에 급등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9.09%)

내부결산 시점 관리종목지정 사유 발생에도

올해 현금 유동성 충분 해명 모멘텀 지속에 급등

3.12 (수)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아이스크림미디어 ( +10.00%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1,521.80억원(전년대비 +23.66%),

영업이익 461.00억원(전년대비 +35.41%).

보통주 1주당 738원(시가배당율 5.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삼진 ( +9.90%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91.64억원(전년대비 +1.76%),

영업이익 72.48억원(전년대비 +284.06%).

보통주 1주당 80원(시가배당율 1.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아이에스티이 ( +6.85% )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네오위즈홀딩스 ( +4.77% )

장 마감 후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3-12~2025-09-12,

삼성증권 주식회사(SAMSUNG SECURITIES CO., LTD)) 공시

HD현대중공업 ( +4.22% )

장 마감 후 [[단독]KDDX 특정 업체 밀어주기?

방사청 발언두고 방산업계 와글와글], 장중 [정기선-빌 게이츠,

SMR 맞손…HD현대-테라파워 협력 추진] 기사

올릭스 ( +3.24% )

탈모치료제 글로벌 임상 1b/2a상 임상시험

계획 승인 신청 속 정규장 5.10% 상승

LS ( +3.24% )

장 마감 후 [㈜LS 지분 매입 나선 호반그룹,

LS전선-대한전선 갈등 주목] 기사.

자회사 LS전선(주), 817.38억원(자기자본대비 4.2%)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매커스 ( +3.19% )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엠디바이스 ( +2.79% )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인텍플러스 ( +2.53% )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고영 ( +2.50% )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러셀 ( +2.35% )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레인보우로보틱스 ( +2.22% )

장 마감 후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정정공시(삼성전자로 최대주주 변경

예정일자:2025.03.12 등)

위닉스 ( +2.15% )

장 마감 후 [9년 만 적자' 위닉스,

타개책은 '본업 경쟁력'] 기사

영보화학 ( +2.13% )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한화비전 ( +2.04% )

시간외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일부 한화 그룹주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SK에 TC본더 공급 임박 소식

등에 정규장 9.22% 급등. 장 마감 후 자회사

한화세미텍(주),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퀄리타스반도체 ( +1.98% )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코오롱티슈진 ( +1.95% )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TG-C’ 美 임상 3상

기대감 지속에 정규장 9.64% 급등

바이오스마트 ( +1.64% )

지난해 실적 개선에 정규장 2.00% 소폭 상승

하락종목

핸디소프트 ( -1.59%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83.74억원(전년대비 +8.62%),

영업손실 19.90억원(전년대비 적자 지속)

한빛레이저 ( -1.59% )

유럽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 파산

신청 소식 속 시간외 일부 2차전지 테마 하락

넥스틸 ( -1.62% )

장 마감 후 임원ㆍ주요주주(임황빈 이사)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전자공시(장내매도)

메디포스트 ( -1.67% )

장중 종속회사 MEDIPOST, Inc., 437.37억원

(종류주 30,000,000주)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

뉴온 ( -1.70%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9.47억원(전년대비 +251.52%),

영업손실 116.84억원(전년대비 적자 지속)

대진첨단소재 ( -1.81% )

유럽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 파산 신청

소식 속 시간외 일부 2차전지 테마 하락

케이씨피드 ( -1.92% )

시간외 일부 사료 테마 하락

미래생명자원 ( -1.99% )

시간외 일부 음식료업종/사료 테마 하락

대성하이텍 ( -2.10% )

유럽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 파산 신청 소식 속

시간외 일부 2차전지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28.31억원(전년대비 +0.03%),

영업손실 131.36억원(전년대비 적자 지속)

한일사료 ( -2.26% )

시간외 일부 사료 테마 하락

고려아연 ( -2.35% )

유럽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 파산 신청 소식 속

시간외 일부 2차전지 테마 하락. [고려아연 이사회,

내일 열린다…정기주총 확정 임박] 기사

미트박스 ( -2.61% )

시간외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하락

네오리진 ( -2.85%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51.16억원(전년대비 +37.64%),

영업손실 58.43억원(전년대비 적자 지속)

알멕 ( -3.30% )

유럽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 파산 신청

소식 속 시간외 일부 2차전지 테마 하락

카이노스메드 ( -3.44% )

장 마감 후 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

정정공시(납입일, 신주의 상장 예정일 일정변경)

한성크린텍 ( -10.00%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정규장 16.04% 급락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3 (목) 장마감  (0) 2025.03.13
3.13 (목) 장마감 분석  (0) 2025.03.13
3.12 (수) 장마감 분석  (0) 2025.03.12
3.11 (화) 장마감  (0) 2025.03.11
3.11 (화) 장마감 분석  (0) 2025.03.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