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2.11 (화) 장마감

by 장주공 2025. 2. 12.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2/11 KOSPI 2,539.05(+0.71%)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이슈 소화

지난밤 뉴욕증시가 철강·알루미늄 관세에도 美 제조업 부문 수혜 전망 및

반도체·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32.87(+11.60P, +0.46%)로 상승 출발.

장 초반 2,527.74(+6.47P, +0.26%)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한때 2,549.44(+28.17P, +1.1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줄였고,

오후 들어 2,530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했으나 재차 상승해 오후 한때 2,547선을 상회.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다시 반납했고, 결국 2,539.05(+17.78P, +0.71%)에서 거래를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등 관세 부과에도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3거래일만에 반등. 외국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수.

반면, 개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이날 코스피시장에서는 알려진 악재는 악재가 아니라는 인식 속에

조선 및 제약/바이오株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현지시간 10일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예고한대로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관련 내용을 담은 포고문에 서명했으며,

이번 관세에 대해 "예외나 면제가 없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서명한 포고문은 트럼프 1기 때인 2018년 철강제품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일부 예외를 적용했던 한국 등에도 일률적인 25% 관세 적용 내용 등을 담았음.

이에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가 현지시간으로

12일 한국을 포함한모든 나라에 전면적으로 적용될 예정.

산업통상자원부가 조선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2,600억원을 투자한다는 소식 등에

한화오션(+8.95%), HD한국조선해양(+1.37%), HD현대중공업(+1.66%),

HJ중공업(+4.09%) 등 조선주가 상승.

한화에어로스페이스(+20.58%)는 실적 호조 및 한화오션 지분 취득 결정 등에 급등,

한화(+7.26%), 한화시스템(+2.02%)도 상승.

삼성바이오로직스(+3.89%), SK바이오팜(+1.04%), 셀트리온(+0.39%),

한미약품(+0.38%)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상승.

반면, 철강 등 관세 부과 소식 속

세아제강(-4.68%), 포스코스틸리온(-2.65%), 세아베스틸지주(-1.10%),

POSCO홀딩스(-0.84%) 등 철강주들은 하락.

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일본이 휴장한 가운데, 대만은 상승, 중국, 홍콩은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415억, 2,437억 순매수, 개인은 4,700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6,685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594계약, 4,661계약 순매도.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452.6원으로전거래일대비 1.3원 상승.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5bp 하락한 2.633%,

10년물은 전일 대비 1.9bp 상승한 2.84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틱 내린 106.70 마감.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10,069계약, 6,860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15,393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6틱 내린 118.30 마감. 외국인이 1,854계약 순매도, 투신과 금융투자는 각각 854계약, 545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한화에어로스페이스(+20.58%), 한화오션(+8.95%), 삼성바이오로직스(+3.89%),

HD현대중공업(+1.66%), 메리츠금융지주(+1.18%), 카카오(+0.82%), SK하이닉스(+0.81%),

현대모비스(+0.81%), NAVER(+0.44%), 삼성화재(+0.41%), 셀트리온(+0.39%), 삼성전자(+0.18%) 등이 상승.

반면, LG에너지솔루션(-1.01%), SK이노베이션(-0.98%), 기아(-0.85%),

POSCO홀딩스(-0.84%), KB금융(-0.82%), 신한지주(-0.61%) 등은 하락. 현대차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운송장비/부품(+2.82%), 제약(+1.89%), 오락/문화(+1.83%), 금속(+1.37%), 건설(+1.18%), 일반서비스(+1.13%), 기계/장비(+1.09%), 통신(+0.93%), 제조(+0.89%), 유통(+0.81%), 부동산(+0.28%), IT 서비스(+0.27%), 전기/전자(+0.23%), 음식료/담배(+0.17%) 등이 상승. 반면, 의료/정밀기기(-0.82%), 섬유/의류(-0.76%), 비금속(-0.40%), 종이/ 목재(-0.38%), 전기/가스(-0.26%), 보험(-0.14%)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539.05P(+17.78P/+0.71%)

코스닥 마감시황

2/11 KOSDAQ 749.59(-0.01%)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개인 순매수 및 엔터·유리 기판株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철강·알루미늄 관세에도 美 제조업 부문 수혜 전망 및

반도체·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51.25(+1.58P, +0.21%)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하락 전환했으나 오전중 상승폭을 키웠고, 754.62(+4.95P, +0.6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시간이 갈수록 점차 상승폭을 반납했고,

오후 한때 재차 상승하며 753선을 상회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상승폭을 빠르게 반납.

장 막판 749.36(-0.31P, -0.0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결국 749.59(-0.08P, -0.01%)에서 거래를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속 코스닥지수는 6거래일만에 하락.

외국인과 기관은 3 거래일 연속 동반 순매도. 반면,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한빛레이저(+16.32%), HB테크놀러지(+10.69%), 피아이이(+6.54%),

필옵틱스(+3.16%) 등 유리 기판 테마가 상승.

글로벌 로봇 산업 확장 모멘텀 지속 등에

유일로보틱스(+6.33%), 레인보우로보틱스(+5.84%) 등 일부 로봇주 상승.

트럼프 관세 무풍 지대 분석 및 中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JYP Ent.(+6.09%), 에스엠(+2.93%), 와이지엔터테인먼트(+2.09%) 등 엔터주도 상승.

올릭스(+29.96%)는 美 일라이 릴리와 9,116.73억원 규모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이틀째 상한가.

반면, 지난해 4분기 부진한 실적등에 에코프로(-0.83%)이 약보합, 에코프로비엠은 보합.

알테오젠(-3.57%), 리가켐바이오(-5.37%), 삼천당제약(-2.46%), 셀트리온제약(-0.58%),

보로노이(-2.70%), 에스티팜(-3.85%), 오스코텍(-1.75%)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이 부진.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88억, 311억 순매도, 개인 은 702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엔켐(-8.19%), 리가켐바이오(-5.37%), 알테오젠(-3.57%), 클래시스(-3.08%), 보로노이(-2.70%), 삼천당제약(-2.46%), 에코프로(-0.83%), 셀트리온제약(-0.58%), 휴젤(-0.39%), HLB(-0.27%) 등이 하락. 반면, 코오롱티슈진(+9.02%), JYP Ent.(+6.09%), 레인보우로보틱스(+5.84%), 파마리서치(+4.02%), HPSP(+3.50%), 에스엠(+2.93%), 펩트론(+1.76%), 신성델타테크(+1.33%), 리노공업(+0.44%) 등은 상승. 에코프로비엠은 보합.

업종별로는 하락이 다소 우세. 일반서비스(-1.80%), 기타제조(-0.94%), 비금속(-0.89%), 금융(-0.68%), 기술성장기업(-0.62%), 의료/정밀기기(-0.48%), 종이/목재(-0.45%), 제약(-0.40%), 유통(-0.29%), 섬유/의류(-0.28%), 전기/전자(-0.25%), 화학(-0.03%) 등이 하락. 반면, 오락/문화(+2.79%), 출판/매체복제(+2.23%), 금속(+1.17%), 기계/장비(+1.14%), 운송장비/부품(+0.98%), IT 서비스(+0.89%), 음식료/담배(+0.61%), 운송/창고(+0.18%), 건설(+0.15%), 제조(+0.09%)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49.59P(-0.08P/-0.01%)

테마시황

상승테마

당정,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산업부, K-조선 경쟁력 확보 위해 2,6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약 2,000억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에 일부 유리 기판 테마 상승.

키스 켈로그 美 우크라이나 특사, 키이우 방문예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중동 내 'K 의료기기' 열풍 소식 등에 일부 의료기기/ 미용기기테마 상승.

국제유가 상승 속 일부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도시가스, 셰일가스(Shale Gas)

등 에너지 관련 테마 상승.

HMM 지난해 호실적 발표 속 해운 테마 상승.

트럼프 관세 무풍 지대 분석 및 中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트럼프 관세 우려 제한 속 우호적 환경 도래 분석 모멘텀 지속 및

펄어비스, 지난해 흑자전환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현대차그룹, 전고체 라인 3월 본격 가동 모멘텀 지속에 일부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이 외 피팅( 관이음쇠)/밸브, UAM(도심항공모빌리티), 그래핀, 비철금속, 웹툰, 2차전지(장비), 편의점, 드론(Drone), 항공기부품, 우주항공산업(누리호/ 인공위성 등), mRNA(메신저 리보핵산), 폐배터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공식 발표 속 소폭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트럼프, 자동차·반도체 관세 검토 소식 속 일부 반도체 관련주, 자동차 대표/부품 테마 하락.

이 외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딥페이크(deepfake), 모듈러주택, 제대혈, 음성인식, LED장비, 비료, 2차전지(생산),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의료AI, 은행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당정,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부와 국민의힘이 인공지능(AI),우수 첨단소재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오는 2027년까지 3조원을 집중 투자했음. 또한, 방산 분야의 국내 중소기업에 한 업체당 2년간 최대 50억원 이내를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K-방산수출 지원을 위한 당정협의회' 후 기자들과 만나 "2025년도 중점 관리 대상 사업을 고려할 때, 올 해 역대 최대 (방산) 수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힘.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24조원(전년대비 +20.16%), 영업이익 1.72조원(전년대비 +149.55%), 순이익 2.54조원(전년대비 +160.53%). 24년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83조원(전년동기대비 +56.00%), 영업이익 8,925억원(전년동기대비 +222.08%), 순이익 2.05조원(전년동기대비 +937.56%). 하나증권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지난해 실적이 컨센서스를 대폭 상회했다고 밝힘. 이어 국내 주요 방산기업들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하며 방산 업체 4곳 지난해 영업이익이 2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기산텔레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STX엔진, 평화산업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산업부, K-조선 경쟁력 확보 위해 2,6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상승

산업통상자원부는 금일 “친환경 선박에 약 1,700억원, 선박 건조 공정 디지털전환에 약 700억원,

자율운항선박 등에 약 200억원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힘. 한국 조선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2,600억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이는 지난해 대비 40% 증가한 수준임.

산업부는 이러한 계획의 일환으로 오는 12일 약 200억원 규모의 신규 연구 개발(R&D)

1차 지원 과제를 공고하며, 신규 과제는 총 17개로 암모니아 추진 선박,

전기 추진선박, 풍력 보조 추진 장치 등 친환경 기자재, 공정 혁신을 위한 협동 로봇 개발,

조선소-협력사 간 협업 플랫폼 개발을 중심으로 추진하는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산업부는 암모니아 추진 선박 기술 발전도 지원하며, 암모니아 연료분사 시스템, 누출 감지 및 처리 시스템,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 등 핵심 기자재 개발을 신규로 지원하고, 세계 최초로 암모니아 연료공급 전용 선박 건조사업에도 착수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오션, HJ중공업, HD현대중공업, STX엔진, 케이에스피,

현대힘스, 성광벤드 등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양자암호/양자컴퓨팅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약 2,000억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일본의 연구팀이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알려짐.

도쿄대학교의 아사바난트 와릿 조교수와 후루사와 아키라 교수 팀은 NTT와공동으로 빛을 이용해 양자컴퓨터의 계산에 사용되는 '양자 얽힘' 상태를 기존보다 1,000배 이상 빠르게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번 연구 성과는 광학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에 게재됐다고 전해짐.

지난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올해 양자과학기술에 전년대비 54.1% 증액된 1,980억원을 투자할 예정. 총 24개 사업이 진행되며, 특히 15개 사업에서 32건의 과제가 새로 시작될 것으로 알려짐. 주요 신규 사업 중 하나는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 사업으로 성능이 검증된 양자컴퓨터를 국내에 설치하고, 이를 연구현장에 제공해 양자컴퓨팅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금일 에이엘티, 큐에스아이, 바이오로그디바이스, 한울소재과학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상승.

유리 기판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에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에 따라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한 차세대 소재 개발 경쟁이 격화하고 있음. 삼성전자는 계열사인 삼성전기를 주축으로 유리 기판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기는 세종사업장에 파일럿(시범생산) 라인을 구축했으며, 올해 시험 납품을 진행한 뒤 2027년 이후 본격 양산에 돌입한다는 계획으로 전해짐. SK그룹의 SKC는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박람회인 ‘소비자가전쇼(CES) 2025’를 통해 유리 기판을 선보였음. LG그룹의 LG이노텍 문혁수 CEO는 최근 기자들과 만나 “올해 말부터 시제품 양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있음.

최근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반도체 유리기판 상용화를 위해 복수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사들과의 협력을 추진하고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삼성 반도체 사업부문(DS) 내 첨단 패키징 관련 인력을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삼성전자만의 독자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계획. 특히,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사업 추진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유리기판 개발 사업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국내 소수 기업들이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한빛레이저, HB테크놀러지, 피아이이, 아이씨디,

필옵틱스 등 일부 유리 기판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키스 켈로그 美 우크라이나 특사, 키이우 방문 예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현지시간으로 10일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 키스 켈로그가 오는 20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방문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는 전쟁 발발 3주년을 나흘 앞두고 이뤄지는 직접 소통의 장으로 거래 중심적 동맹관을 지닌 트럼프 대통령의 종전 구상이 구체화할 것으로예상되고 있음.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켈로그 대사가 '전쟁을 중단시킬 밑그림을 그릴 임무'를 갖고 "조만간"(soon) 우크라이나를 방문한다고 확인했음.

한편,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14~16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뮌헨 안보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며, 젤렌스키 대통령은 회의 첫날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만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대동, 대동기어, 대양전기공업, 스페코 등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가 상승.

의료기기/ 미용기기

중동 내 'K 의료기기' 열풍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지난해까지 4년 만에 국내 업체의 대(對)중동 의료기기 수출 규모가 두 배 수준으로 커지는 등 ‘K의료기기’ 열풍이 불고 있다고 전해짐. 지난달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 ‘아랍헬스’에서 라메디텍은 피부질환 치료기기 케어빔의 중동 중대형 유통사를 확보했으며, 보건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은 아랍헬스에서만 40여 개국의 파트너사와 417만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짐.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UAE, 카타르, 쿠웨이트 등 4개국의 한국 의료기기 수입액은2021년 4,212만달러에서 2024년 7,920만달러로 4년 만에 약 88% 증가.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관계자는 "중동 지역은 소득이 높고 구매력이 큰 만큼 고품질 의료기기를 선호한다"며 "한국 의료기기가 품질이 높으면서 가성비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아 중동에서 러브콜을 받고 있다"고설명. 아울러, "미·중 무역 갈등으로 중국산 의료기기 기피 현상이 생긴 것도 요인"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레이저옵텍, 라메디텍, 바이오플러스, 파마리서치 등 일부 의료기기/미용기기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공식 발표 속 소폭 하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음.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이날 오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이 배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하면서 두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에 대해 "어떠한 예외나 면제도 없다(No exceptions or exemptions)"라고 언급.

이어 "미국의 무역 정책은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을 망가뜨렸다"며, "미국의 제조업과 생산의 미래 부흥을 위해 철강과 알루미늄을 외국이 아닌 미국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부연했음. 이번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는 오는 3월 4일부터 적용될 예정.

트럼프 대통령이 어떠한 예외나 면제도 없다고 언급하면서 그동안 무관세쿼터를 받아 무관세를

수출 중이던 한국 철강업계의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트럼프 1기 집권시절에는 캐나다와 멕시코를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많은 예외 조항이 만들어진 바 있음.

한편, 현지시간으로 10일 美 백악관이 내달 12일부터 한국 등에 25% 철강 관세를부과한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미국으로의 철강 수입 조정’ 포고문에 따르면 오는 3월12일부터 한국을 비롯해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유럽연합(EU), 일본, 멕시코, 영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철강 제품과 파생 제품에 대해 25% 관세가 부가되는 것으로 전해짐.

이에 금일 포스코스틸리온, 세아베스틸지주, 동양철관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하락. 다만, 미국 현지에 철강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넥스틸은 수혜주로 부각.

당일 상승종목

유일에너테크 (+29.97%)

현대차그룹, 전고체 라인3월 본격 가동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올릭스 (+29.96%)

美 일라이 릴리와 9,116.73억원 규모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삼양엔씨켐 (+29.80%)

지난해 호실적 달성 모멘텀 지속 및 유리기판용

포토레지스트 글로벌 고객사와 개발 진행 소식 등에상한가

레이저옵텍 (+30.00%)

일부 의료기기/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색소 질환 치료용

레이저 기기 '헬리오스 785'

美 FDA 시판 전 허가(510k) 획득 소식에 상한가

나인테크 (+29.96%)

일부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유리기판

인터포저 기술 확보 소식 등에 상한가

기산텔레콤 (+29.78%)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속 지난해 호실적에 상한가

애니젠 (+22.55%)

난임치료약물 FDA 사전심사일 확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0.58%)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 등에 급등

에이엘티 (+19.28%)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약 2,000억원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속 급등

넥스틸 (+19.25%)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공식

발표 속 美 현지 생산 공장 보유 부각에 급등

캔버스엔 (+19.00%)

콘텐츠 IP 상품화 사업 본격 확장 소식 등에 급등

하스 (+17.11%)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 속 유리 기판 관련 국책

과제 선정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RF시스템즈 (+17.08%)

방위산업/ 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SAR 위성시장 진출 소식에 급등

한빛레이저 (+16.32%)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에

일부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밸로프 (+16.23%)

3월중 라스트오리진 대만 서비스 정식 론칭 모멘텀 지속에 급등

마음AI (+15.85%)

국내 유일 엔비디아 '코스모스' 자율주행

로봇 본격 연동 성공 사실 부각에 급등

파이버프로 (+14.62%)

당정,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압타바이오 (+13.75%)

급성신장손상 치료제 'APX-115'

임상 2상 진행 사실 부각에 급등

피노 (+13.49%)

지난해 영업이익 흑자전환 모멘텀 지속에 급등

스카이월드와이드 (+13.14%)

관계사 디렉터스테크, 설립 1년 만에 흑자달성 소식 속 급등

제노코 (+11.81%)

당정,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닷밀 (+11.40%)

지난해 실적 호조 속 급등

라메디텍 (+11.21%)

일부 의료기기/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케어빔' 日 제조·판매 인허가 획득 모멘텀 지속에 급등

HB테크놀러지 (+10.69%)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에

일부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펄어비스 (+10.54%)

지난해 4분기 실적 흑자전환 등에 급등

큐로셀 (+9.72%)

차세대 CAR-T치료제 '림카토' 연내 출시 가능성 부각에 급등

엠앤씨솔루션 (+9.56%)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성장 기대감 지속 및 현대로템과 공급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남양유업 (+9.35%) 6년 만에 흑자전환 소식에 급등

남양유업(+9.35%)

6년 만에 흑자전환 소식에 급등

2.11 (화)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아바코 ( +9.95%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055.14억원(전년대비 +63.50%),

영업이익 211.04억원(전년대비 +378.72%).

보통주 1주당 500원(시가배당율 4.1%)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아바코, '세미콘 코리아' 참가…유리기판·패키징 관련 장비 출품] 기사

미래산업 ( +9.92%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70.41억원(전년대비 +24.39%),

영업이익 121.73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피에스케이홀딩스 ( +9.04% )

장중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155.08억원(전년대비 +127.52%),

영업이익 884.82억원(전년대비 +228.07%).

보통주 1주당 700원(시가배당율 2.1%) 현금배당

(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범양건영 ( +6.73% )

키스 켈로그 美 우크라이나 특사,

키이우 방문예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시간외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토모큐브 ( +6.08% )

유리기판 핵심 장비 개발완료 및

국내외 5개사와 파트너십 논의 소식에

정규장 4.96% 상승

비에이치아이 ( +4.91% )

장중 한국수력원자력과 415.4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3%) 규모

공급계약(원자력설비) 체결(계약기간:2025-02-11~2029-07-31) 공시.

장 마감 후 585.9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5.9%) 규모

공급계약(원자력 발전설비) 체결(계약기간:2025-02-11~2029-06-30) 공시

뷰웍스 ( +4.51%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228.98억원(전년대비 +1.20%),

영업이익 222.22억원(전년대비 +18.60%).

보통주 1주당 600원(시가배당율 2.82%)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배당기준일:2024-12-31) 및 보통주 251,865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2-21) 공시.

네온테크 ( +3.75% )

시간외 일부 드론 테마 상승

디엔에이링크 ( +3.24% )

장중 [디엔에이링크 겐지 고니시 부사장

"최고 수준 품질 갖춘 영구자석 생산할 것"] 기사

피에스케이 ( +3.00% )

최대주주 피에스케이홀딩스, 실적 호조

피노 ( +2.85% )

지난해 영업이익 흑자전환

모멘텀 지속에 정규장 13.49% 급등

지투파워 ( +2.71% )

장중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54.23억원(전년대비 +12.16%),

영업이익 36.51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지아이이노베이션 ( +2.54% )

유한양행 알레르기 신약 후보물질 'YH35324' 병용

기술수출 가능성 부각 속 원개발사로 부각

등에 정규장 5.51% 상승

오가닉티코스메틱 ( +2.45% )

장중 자회사 남평식애일용품유한공사,

하남구주통의약유한공사와 199.1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9.23%)

규모 공급계약(영아용 화장품 및 생필품, 신발 및 의류 판매계약) 체결 공시

한화 ( +2.15%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5.64조원(전년대비 +4.71%),

영업이익 2.41조원(전년대비 +0.27%).

장중 [아워홈 인수 TF' 띄운 한화…통합후 밑그림 미리 그린다] 기사

디티앤씨 ( +2.04% )

시간외 일부 드론 테마 상승

전진건설로봇 ( +1.99% )

키스 켈로그 美 우크라이나 특사,

키이우 방문예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시간외 건설기계 테마 상승

현대에버다임 ( +1.96% )

키스 켈로그 美 우크라이나 특사,

키이우 방문예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 상승

디아이티 ( +1.94% )

지난해 호실적 등에 정규장 5.57% 상승

자비스 ( +1.63%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76.71억원(전년대비 +31.22%),

영업이익 13.17억원(전년대비 +56.74%)

남광토건 ( +1.61%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070.10억원(전년대비 -7.42%),

영업이익 103.95억원(전년대비 +139.15%)

대모 ( +1.57% )

키스 켈로그 美 우크라이나 특사,

키이우 방문예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 상승

비츠로셀 ( +1.51%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107.79억원(전년대비 +19.61%),

영업이익 519.12억원(전년대비 +37.73%).

보통주 1주당 460원(시가배당율 2.2%)

현금배당(결산배당일:2024-12-31) 공시

에스와이스틸텍 ( +1.51% )

키스 켈로그 美 우크라이나 특사,

키이우 방문예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HD현대건설기계 ( +1.49% )

키스 켈로그 美 우크라이나 특사,

키이우 방문예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 상승

파라텍 ( +1.49% )

키스 켈로그 美 우크라이나 특사,

키이우 방문예정 소식 속 종전 기대감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캔버스엔 ( +1.44% )

콘텐츠 IP 상품화 사업 본격

확장 소식 등에 정규장 19.00% 급등

신테카바이오 ( +1.17% )

장중 Kymera Therapeutics, Inc.와 3.33억원

(최근 매출액대비 270.62%) 규모 공급계약

(신약 유효물질 발굴) 체결 공시

하락종목

하스 ( -1.23% )

시간외 일부 유리 기판 테마 하락

한빛레이저 ( -1.34% )

시간외 일부 유리 기판 테마 하락.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지니뮤직 ( -1.42%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016.15억원(전년대비 -1.76%),

영업이익 121.93억원(전년대비 -20.61%)

에이엘티 ( -1.47% )

시간외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공시

프리엠스 ( -1.64%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6.95억원(전년대비 -22.87%),

영업손실 23.45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루닛 ( -1.74%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41.79억원(전년대비 +116.02%),

영업손실 676.53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52,340주 추가상장(주식매수선택권행사) 공시.

유일로보틱스 ( -1.88% )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308,899주(발행주식총수 대비 2.70%) 규모 전환청구권행사 공시

라메디텍 ( -1.90%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65.76억원(전년대비 +125.37%),

영업손실 96.61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이엠텍 ( -1.91%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76.05억원(전년대비 -36.38%),

영업손실 301.96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이구산업 ( -1.92% )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시간외 비철금속 테마 하락

두산테스나 ( -1.99%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731.17억원(전년대비 +10.17%),

영업이익 379.23억원(전년대비 -37.60%)

아이씨디 ( -2.02% )

시간외 일부 유리 기판 테마 하락

조일알미늄 ( -2.13% )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시간외 비철금속 테마 하락

휴스틸 ( -2.36% )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시간외 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하이스틸 ( -2.39% )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시간외 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램테크놀러지 ( -2.43% )

시간외 일부 유리 기판 테마 하락

큐에스아이 ( -2.56% )

시간외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하락

알멕 ( -2.90% )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시간외 비철금속 테마 하락

휴림로봇 ( -3.17% )

장 마감 후 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알루코 ( -3.36% )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시간외 비철금속 테마 하락

와이씨켐 ( -3.80% )

시간외 일부 유리 기판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703.02억원(전년대비 +12.89%),

영업손실 81.6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유니테스트 ( -4.44%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24.33억원(전년대비 -44.90%),

영업손실 233.56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씨메스 ( -4.57%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9.36억원(전년대비 -9.19%),

영업손실 142.28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넥스틸 ( -5.70% )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시간외 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2 (수) 장마감  (0) 2025.02.13
2.12 (수) 장마감 분석  (0) 2025.02.12
2.11 (화) 장마감 분석  (1) 2025.02.11
2.10 (화) 장마감  (0) 2025.02.11
2.10 (월) 장마감 분석  (0) 2025.02.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