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마감시황
2/10 KOSPI 2,521.27(-0.03%)
외국인·개인 순매도(-), 기관 순매수(+), 트럼프 관세 이슈 소화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인플레 우려 재부각 및 트럼프 관세전쟁 예고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10.64(-11.28P, -0.45%)로 하락 출발.
장 초반 낙폭을 키웠고, 2,499.18(-22.74P, -0.9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내 낙폭을 줄였고,
오전중 상승 전환해 2,527.33(+5.41P, +0.2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재차 하락 전환했고,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2,521.27(-0.65P, -0.03%)에서 거래를 마감.
트럼프 관세 우려에 따른 무역 분쟁 본격화 가능성, 외국인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다만, 연기금 등 및 금융투자 중심의 기관 순매수 등으로 코스피지수의 하방은 지지되는 모습.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기관은 하루만에 2,600억 넘게 순매수.
특히, 연기금 등은 1,800억 넘게 순매수.
현지시간으로 9일 트럼프 대통령은 슈퍼볼 결승전이 열리는 뉴올리언스로 이동하는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기자들에게 발언.
트럼프 대통령은 11일 또는 12일에 상호관세를 발표할 계획이며, 상호관세는 거의 즉시
적용될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새로 발표되는 관세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기존 관세에 추가되는 것이라고 설명.
상호 관세에 따른 무역분쟁 본격화 우려 등이 장 초반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으나
시장은 한국에 영향이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하면서 장중 낙폭을 만회.
시장에서는 상호관세가 한-미 FTA 체결로 관세를 면제중인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며,
EU산 자동차와 철강 등을 겨냥한 조치라고 분석되고 있음.
삼성전자(+3.54%)가 3% 넘게 상승한 반면, SK하이닉스(-2.41%)는 하락.
관세 부과 우려 등에 현대제철(-2.03%), POSCO홀딩스(-0.84%) 등 철강주가 하락했고,
한화오션(-6.14%), HD현대중공업(-3.22%), HD한국조선해양(-3.10%), HD현대미포(-2.52%)
등 조선주는 차익 매물출회 등에 하락.
반면, 현대차그룹, 전고체 라인 3월 본격 가동 소식 등에
이수스페셜티케미컬(+24.29%), 한농화성(+9.72%) 등 2차전지(전고체) 테마가 상승.
우리금융지주(+5.98%)는 주주가치 제고 기대감 등에 강세.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 홍콩이 상승, 대만은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776억, 675억 순매도, 기관은 2,61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개인이 414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27계약, 522계약 순매수.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451.2원으로 전거래일대비 2.8원 하락.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3bp 상승한 2.638%,
10년물은 전일 대비 0.6bp 하락한 2.830%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틱 오른 106.73 마감. 투신이 1,68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와 외국인은 각각 1,360계약, 759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틱 오른 118.46 마감. 은행이 2,157계약 순매수,
금융투자와 외국인은 각각 1,453계약, 295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카카오(-4.49%), HD현대중공업(-3.22%), 삼성바이오로직스(-2.59%), SK하이닉스(-2.41%),
기아(-1.97%), 크래프톤(-1.44%), KB금융(-1.28%), 한화에어로스페이스(-1.20%),
삼성물산(-1.17%), 삼성화재(-1.08%), POSCO홀딩스(-0.84%), 현대차(-0.55%),
셀트리온(-0.33%), 현대모비스(-0.20%) 등이 하락.
반면, 삼성전자(+3.54%), LG에너지솔루션(+3.12%), NAVER(+0.89%),
SK이노베이션(+0.83%), 신한지주(+0.30%)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하락이 우세. 기계/장비(-1.94%), 운송장비/부품(-1.85%), 일반서비스(-1.42%), 제약(-1.33%), 금속(-1.21%), 보험(-1.01%), 금융(-0.73%), IT 서비스(-0.65%), 증권(-0.46%), 전기/가스(-0.44%), 의료/정밀기기(-0.40%), 유통(-0.39%), 비금속(-0.34%) 등이 하락. 반면, 전기/전자(+1.55%), 오락/문화(+0.78%), 섬유/의류(+0.73%), 화학(+0.63%), 종이/목재(+0.60%), 부동산(+0.37%), 통신(+0.29%), 제조(+0.26%), 음식료/담배(+0.06%)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521.27P(-0.65P/-0.03%)
코스닥 마감시황
2/10 KOSDAQ 749.67(+0.91%)
개인 순매수(+),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트럼프 관세 이슈 소화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인플레 우려 재부각 및 트럼프 관세전쟁 예고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40.12(-2.78P, -0.37%)로 하락 출발.
장 초반 낙폭을 키웠고, 735.71(-7.19P, -0.9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내 낙폭을 줄였고, 오전중 상승 전환해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750.46(+7.56P, +1.0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749선 부근에서 등락을
거듭했고, 결국 749.67(+6.77P, +0.91%)에서 거래를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예고에도 개인 순매수 속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 연속 상승.
개인은 이틀째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도.
트럼프 관세 우려를 빗겨간 디어유(+7.61%), 에스엠(+5.37%), JYP Ent.(+1.42%)
등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컴투스(+4.18%), 위메이드(+2.14%), 넥슨게임즈(+1.86%) 등 게임 테마가 상승.
우원식 국회의장과 시진핑 국가주석 만남 속 한한령 해제 기대감 등도 호재로 작용.
올릭스(+29.93%)는 美 일라이 릴리와 9,116.73억원 규모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에 상한가. 코아스템켐온(+19.37%)은 뉴로나타-알 신속 승인 프로그램 진행 최종 결정에 급등.
수급별로는 개인이 1,332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69억, 18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다소 우세.
보로노이(+13.75%), 펩트론(+6.69%), 엔켐(+5.49%), 에스엠(+5.37%), 리노공업(+5.10%),
휴젤(+2.99%), 파마리서치(+2.82%), JYP Ent.(+1.42%), 코오롱티슈진(+1.10%),
에코프로(+0.33%), 셀트리온제약(+0.19%) 등이 상승.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8.16%), 삼천당제약(-6.82%), 신성델타테크(-4.04%),
리가켐바이오(-2.12%), HLB(-1.70%), 클래시스(-1.14%), HPSP(-0.50%),
에코프로비엠(-0.33%)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화학(+2.49%), 오락/문화(+2.44%), 전기/전자(+1.47%), 의료/정밀기기(+1.28%), 비금속(+1.26%), 기계/장비(+1.15%), 기타제조(+1.05%), 제조(+1.02%), 출판/매체복제(+1.00%), IT 서비스(+0.88%), 일반서비스(+0.83%), 기술성장기업(+0.58%), 금융(+0.40%), 음식료/담배(+0.37%) 등이 상승. 반면, 유통(-1.13%), 운송/창고(-0.99%), 금속(-0.63%), 운송장비/부품(-0.34%)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49.67P(+6.77P/+0.91%)
테마시황
상승테마
현대차그룹, 전고체 라인 3월 본격 가동 소식 등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2분기 낸드 가격 반등 및 K칩스법 기대감 지속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 상승.
SK그룹, 인공지능(AI) 로봇 사업 본격화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 테마 상승.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 약 800만대 추정 소식 등에 아이폰 테마 상승.
AI시대 MLCC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테마 상승.
트럼프 관세 우려 제한 속 우호적 환경 도래 분석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엔터 업종 트럼프 관세 무풍 지대 및 BTS 완전체 활동 재개 기대감 등에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트럼프 대통령, 오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수입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방침 발표 소식 속 비철금속 테마 상승.
우크라이나 종전 논의 기대감 등에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테마 상승.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식품·외식업체 가격 인상 소식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이 외 제대혈, 보안주(물리), 리튬, mRNA(메신저 리보핵산), 음성인식, 폴더블폰, 마이크로 LED, 딥페이크(deepfake), 비만치료제, 미용기기, 갤럭시 부품주, 휴대폰부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영상콘텐츠, 줄기세포,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테마가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트럼프, 수입 철강 25% 관세 부과 우려 등에 철강 주요종목, 일부 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트럼프, 상호 관세 우려 등에 자동차 대표주 테마 하락.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이 외 인터넷 대표주, 피팅(관이음쇠)/밸브, 야놀자(Yanolja), 전선, 화학섬유, 편의점, 홈쇼핑,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항공기부품, 모듈러주택, 낙태/피임,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초전도체, 전력설비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2차전지(전고체)
현대차그룹, 전고체 라인 3월 본격 가동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이 배터리 내재화 전략의 핵심인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다음달 본격 가동할 것으로 전해짐.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으면서 화재 위험이 적어
'꿈의 배터리'라고 불리는 기술임. 현대차는 경기 의왕 연구소에 구축한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
개소식을 3월개최할 예정으로 이 연구동 안에는 전고체 배터리를 시험 생산할 수 있는 파일럿 라인이 구축된 것으로 전해짐. 파일럿 라인이 가동되면 현대차는 이곳에서 생산되는 시제품을 자사 전기차에 탑재해 성능과 양산성을 테스트할 전망이며, 업계에서는 연내 전고체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 시제품이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아울러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언론을 통해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과 산·학·연 협력 연구를 통해 전고체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품질을 높이면서 생산시간도 기존 14시간에서 4시간으로 대폭 단축한 '업그레이드형 공침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하윤철 KERI 박사는 "기존 성과는 고체전해질 제조 방식에 공침 기술을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었다면, 이번 업그레이드형은 공침법 원리를 상세하게 분석해 최적화를 실현하고, 더 좋은 결과물도 만들어낸 획기적 성과"라며, "전고체전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시대를 활짝 여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소식에 금일 유일에너테크, 이수스페셜티케미컬, 한농화성, 씨아이에스,
대주전자재료 등 2차전지(전고체)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2분기 낸드 가격 반등 및 K칩스법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지난 6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낸드플래시 감산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PC·모바일 시장 회복 지연으로 소비자향 낸드 제품 수요가 둔화하는 데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쓰이는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도 가격하락에 직면했기 때문이며, 업계 1·2위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마이크론, 키옥시아 등이 낸드 감산에 돌입했고, 웨스턴디지털도 지난달 말 낸드 생산량을 15% 줄이겠다고 발표한 것으로 알려짐. 메모리 업계가 일제히 감산에 돌입하면서
이르면 2분기부터는 낸드 가격 약세 흐름이 끝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한편,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여야가 반도체 연구개발(R&D)과 시설투자 세액공제 일몰 기한을 연장하고 공제율을 상향하는 ‘K칩스법(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논의를 재개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여야가 조기 대선 가능성과 맞물려 경쟁적으로 각종 입법을 추진하면서 지난해 무산된 K칩스법에도 화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기재위 조세소위는 11일 회의를열고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 방안이 담긴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포함한 30여 개의 법안을 심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삼성전자, DB하이텍, 삼양엔씨켐, 레이크머티리얼즈, 하나머티리얼즈, 케이알엠,
사피엔반도체, 알에스오토메이션, 아이엠티 등 반도체관련주가 상승.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
SK그룹, 인공지능(AI) 로봇 사업 본격화 소식 등에 상승
지난 7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SK그룹이 SK텔레콤을 주축으로 한 인공지능(AI) 로봇 사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해짐. 그룹 계열사의 ‘인텔리전트 팩토리(지능형 공장)’ 구축에 투입될 로봇 기술을 상용화하고,
나아가 향후 범용인공지능(AGI) 기반의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사업에 진출한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특히,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그동안 여러 차례 AI 로봇 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낸 만큼, 앞으로 그룹 내 정보통신기술(ICT) 계열사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관련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IT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올해 1월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ICT기술센터 내 AI 로봇
연구 조직을 서울 을지로 본사 사업부로 이전했으며, 연구 조직의 사업부 편입 조치는 AI 로봇 관련상용 서비스 출시가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음. 해당 팀은 계열사 생산 시설에서 활용될 지능형 로봇
서비스 출시에 주력하고 있으며, 먼저 그룹 계열사인 SK하이닉스·SK온 등의 공장에 해당 로봇 서비스를 도입하고 차후 대외 사업으로 키우는 방향을 계획중인 것으로 알려짐.
또 최 회장의 구상에 따라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최근 사내 경영전략과 신사업 부문 등
여러 조직에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신규 프로젝트 기획을 주문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신사업 추진 계획과 유망 투자처 발굴 등을 핵심 과제로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음.
아울러 최근 테슬라가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대량생산을 위한 제조인력 채용을 공식화한 가운데,
이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피아이이, 피제이전자, 유일로보틱스, 디아이씨, 휴림로봇, 티로보틱스,
에스엠코어, 에스피시스템스, 와이즈넛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가 상승.
아이폰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 약 800만대 추정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대만 매체 UDN이 Wccf테크(Wccftech)를 인용한 보고서를 토대로 애플이 내년 가을 첫번째 폴더블 아이폰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전해짐. 초기 출하량은 800만~1000만대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알려짐.
특히, 보고서는 애플이 2027년까지 출하량을 2,000만대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언급.
폴더블 아이폰은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와 유사한 책 스타일 디자인으로 접었을 때 두께가 9.2mm,
펼쳤을 때 4.6mm로 왼쪽 접이식 디자인을 채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하이비젼시스템, 덕산네오룩스, 비에이치, 이녹스첨단소재, 덕우전자,
와이엠티, LX세미콘 등 아이폰 테마가 상승.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AI시대 MLCC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서비스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반도체 시장뿐만 아니라
‘전자산업의 쌀’로도 불리는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또한 올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는 IT업계가 AI 기능을 탑재한 전자기기를앞다퉈 출시하는 가운데,
빅테크 기업들도 AI 인프라 투자를 늘리면서 MLCC 신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세계 MLCC 1위 기업인 일본 무라타는 최근 AI 서버 관련 MLCC 수요가 전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음. 나카지마노리오 무라타 사장은 “AI 서버에 사용되는 MLCC 수가
기존 서버보다 8배에 달해 AI 붐에 따른 관련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무라타가 글로벌 점유율 40%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기가 23% 수준으로 2위를 달리고 있으며, 특히, AI 서버용 MLCC는 무라타와 함께삼성전기가 과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AI(인공지능) 시장 팽칭으로 AI 기능을 탑재한 PC, 스마트폰이 늘어나면서 특히 고용량MLCC가
수혜를 누리고 있으며, AI PC만 하더라도 탑재되는 MLCC 수가 일반 PC보다 약 1.5~2배 더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SK증권은 삼성전기에 대해 IT 수요 부진에도 AI 가속기와 자율주행 및 차량 전동화 트렌드로 신규 수요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 향후 AI 서버와 자율주행에서의 MLCC 채용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나
대응 가능한 초소형 및 고용량 MLCC를 생산하는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고 분석.
삼성전기 1분기 영업이익은 1,901억원(+4%,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MLCC가 반등한다며, 1분기 출하량은 전분기대비 8% 증가, 가격은 플랫으로 가정했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삼화콘덴서, 삼성전기, 대주전자재료 등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테마가 상승.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트럼프 관세 우려 제한 속 우호적 환경 도래 분석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2.0시대 도래 이후 관세 부과 이슈로 대미 수출주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고있지만, 콘텐츠 산업인 게임에 대해서는 별다른 제재가 없어 산업적으로나 주가측면에서 자유로울 것으로 분석. 오히려 지난해 말 이후 원화 약세에 따른 환율 상승이 나타나고 있어 글로벌 매출비중이 높은 국내 게임 업체들의 매출에 우호적인 환경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 이와 함께 과도 한 엔화 약세로 인하여 2025년에는 엔화가 강세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하며, 이에 따라 일본 게임주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고 밝힘.
아울러 최악의 시기였던 2022~2023년에 걸쳐 세팅된 게임업체들의 전략 변화(글로벌, 콘솔, 장르다변화) 이후 준비된게임이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IP’ 측면에서 2025년 상반기 주목할 업체는 신작 출시가 예정되어있는 캡콤(몬스터헌터), 올해도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크래프톤(PUBG), 중국으로의 지역 확장이 예정되어있는 시프트업(니케), 일본 야구시장에 도전하는 컴투스(프로야구Rising) 등이 있다고 언급.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컴투스, 밸로프, 이스트소프트, 시프트업, 넷마블,
엔씨소프트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가 상승.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엔터 업종 트럼프 관세 무풍 지대 및 BTS 완전체 활동 재개 기대감 등에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엔터 업종에 대해서는 관세 부과가 어려운 업종으로 분석되면서 수혜주로 분석되고 있음.
아울러 BTS 복귀와 블랙핑크의 월드투어 콘서트 소식도 호재로 작용하는 모습.
언론에 따르면, BTS는 이르면 6월부터 완전체 활동을 재개하고
블랙핑크는 하반기부터 월드투어콘서트를 여는 것으로 알려짐.
또한, 이달 24일로 예정된 에스엠의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가 데뷔할 예정.
에스엠의 신인 걸그룹 데뷔는 4년 3개월만임.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한령 해제, 중국 문호 개방 등이 기대된다고 밝힘.
지난 7일 우원식 국회의장-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나 양국 문화교류에 대해 긍정적으로 논의한 가운데, 우의장이 한한령 해제를 요청했고, 시주석은 “문화 교류는 양국 교류에 매력적인 부분으로 이 과정에서 문제가 불거지는 일은 피해야 한다”고 밝힘. 10월 경주 APEC정상회의에 시진핑 주석의 11년만의 방한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고, 한한령 해제 또한 유력해진 상황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디어유, 에스엠, 스튜디오드래곤, 큐브엔터, 하이브 등
엔터테인먼트/음원/음반 테마가 상승.
비철금속
트럼프 대통령, 오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수입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 발표 소식 속 상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프로풋볼(NFL) 결승전인 슈퍼볼을 관람하기 위해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로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오는 10일(현지시간)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다고 밝힘.
세부적인 부과 계획에 대해서는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당시에도 ‘무역확장법 232조’를 발동해 수입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했던 바 있음.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는 10%였으며, 이후
조 바이든 행정부도 멕시코를 통해 우회수출되는 중국산 철강에 대한 원산지 기준을 강화한 바 있음.
앞서 트럼프 1기 시절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 관세를 부과한 후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EU)과 한국 등에는 협상을 통해 수입할당량(쿼터) 제도를 적용한 바 있음.
시장에서는 이번 조치가 한국이 아닌 중국 기업을 조치로 해석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의 반사 이익 기대감이 시장에서 부각되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피제이메탈, 조일알미늄, 이구산업, 풍산,
남선알미늄 등 비철금속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우크라이나 종전 논의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9 일(현지시간) 공개된 NBC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주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지원 비용 일부를 회수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려 한다"고 밝힘. 이어 "러시아 경제가 원활하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해 제재를 가할 준비가돼 있다"고 언급했음. 아울러 지난 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포스트와 단독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과 직접 통화해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힘.
JD 밴스 부통령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키스 켈로그 러시아·우크라이나
특사와 함께 14~16일 열리는 뮌헨 안보회의에 참석할 예정인 가운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참석할 예정으로 이 회의를 계기로 종전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HD현대인프라코어, 다산네트웍스, 전진건설로봇 등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
트럼프, 수입 철강25% 관세 부과 우려 등에 하락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내일(현지시각 10일)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미국으로 들어오는 어느 철강이든 25%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알루미늄에 대해서도 질문 받자 "알루미늄도 그렇다"고 언급했음.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첫임기 때도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에 25% 관세를, 알루미늄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했었으며 당시 한국은 미국과 협상을 통해 철강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수용한 바 있음.
금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외교·통상 장관들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관세 25% 부과 발표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점검했음.
이 같은 소식 속 대한제강, 동국제강, 현대제철, 세아베스틸지주 등
철강 주요종목, 현대비앤지스틸, NI스틸, 부국철강 등 일부 철강 중소형 테마가 하락.
자동차 대표주
트럼프, 상호 관세 우려 등에 하락
트럼프 美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이시바 시게루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10일이나 11일 상호 관세와 관련한 구체적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힘.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1일이나 12일에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한 관세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관세를 매기는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할 계획이며, 거의 즉시 적용될 것으로 전해짐.
트럼프 관세 위협이 현실화됨에 따라 자동차 등 수출 의존도가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우려가 커지고 있음.
이와 관련, 기아, 한온시스템, HL만도, 현대차 등 자동차 대표주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피아이이 (+29.93%)
유리 기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및 삼성전자 유리기판 시장 진출 모멘텀 지속 속
유리기판 검사 솔루션 보유 지속 부각에 상한가
케이알엠 (+30.00%)
2분기 낸드 가격 반등 및 K칩스법 기대감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와이즈넛 (+29.97%)
SK그룹, 인공지능(AI) 로봇 사업 본격화 소식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유일에너테크 (+29.97%)
현대차그룹, 전고체 라인 3월 본격 가동
소식 등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속 상한가
글로본 (+29.96%)
지난해 흑자전환에 상한가
SAMG엔터 (+29.94%)
지난해 영업이익 적자폭 축소 및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7분기만에 흑자전환에 상한가
올릭스 (+29.93%)
美 일라이 릴리와 9,116.73억원 규모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에 상한가
삼양엔씨켐 (+29.91%)
2분기 낸드 가격 반등 및 K칩스법 기대감
지속 등에 반도체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휴림로봇 (+27.54%)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속 자율이동로봇 시장
강화 목적 中 오마크와 업무협약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이수스페셜티케미컬 (+24.29%)
현대차그룹, 전고체 라인 3월 본격 가동 소식
등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속 급등
레이크머티리얼즈 (+22.81%)
반도체 관련주 및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속 급등
사피엔반도체 (+19.86%)
2분기 낸드 가격 반등 및 K칩스법 기대감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피노 (+19.70%)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속
지난해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급등
유일로보틱스 (+19.68%)
SK그룹, 인공지능(AI) 로봇 사업 본격화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속 급등
코아스템켐온 (+19.37%)
뉴로나타-알 신속 승인
프로그램 진행 최종 결정에 급등
에스엠코어 (+18.79%)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속 지난해 흑자전환에 급등
두산테스나 (+18.44%)
2분기 낸드 가격 반등 및 K칩스법 기대감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한빛레이저 (+17.67%)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하나머티리얼즈 (+17.34%)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영업 환경 개선 전망 등에 급등
알에스오토메이션 (+17.22%)
반도체 관련주 및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스마트팩토리
(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속 정전용량식 로봇 구동모듈
관련 특허 출원 모멘텀 지속에 급등
이엘씨 (+17.13%)
지난해 적자폭 축소 속 급등
디아이씨 (+16.81%)
SK그룹, 인공지능(AI) 로봇 사업 본격화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엠티 (+16.36%)
2분기 낸드 가격 반등 및 K칩 스법 기대감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에이엘티 (+16.31%)
반도체 관련주 및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속 급등
유진로봇 (+15.73%)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정식품
제조공장 팔레트 물류이송 자동화 구축 소식에 급등
파인엠텍 (+14.15%)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 약 800만대 추정 소식 등에 폴더블폰테마 상승 속 급등
보로노이 (+13.75%)
미국암학회서 VRN11 임상 초기 데이터 발표 예정 소식에 급등
삼화전기 (+13.73%)
지난해 호실적 모멘텀 지속에 급등
셀바스AI (+13.71%)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셀비 노트
3.0 서버형' 조달청 공식 등록 완료 소식에 급등
넥스트바이오메디컬 (+13.37%)
넥스피어에프 FDA 혁신의료기기 신청 소식에 급등
아스테라시스 (+13.07%)
차세대 HIFU ‘쿨소닉’ 식약처 승인 완료 속
연내 FDA 승인 목표 추진 소식 등에 급등
와이씨 (+13.06%)
2분기 낸드 가격반등 및 K칩스법 기대감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덕산네오룩스 (+12.38%)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 약 800만대 추정 소식
등에 아이폰/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테마 상승 속 급등
씨앤지하이테크 (+12.38%)
반도체 관련주 및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유리기판 1:10
관통홀 내벽에 구리 박막 형성 성공 소식에 급등
경방 (+11.27%)
지난해 실적 호조에 급등
한국무브넥스 (+11.13%)
보스턴다이내믹스 로봇 부품 공급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티로보틱스 (+9.93%)
SK그룹, 인공지능(AI) 로봇 사업 본격화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지능형로봇/
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하이비젼시스템 (+9.93%)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 약 800만대
추정소식 등에 아이폰 테마 상승 속 급등
퀄리타스반도체 (+9.89%)
2분기 낸드 가격 반등 및 K칩스법 기대감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러셀 (+9.76%)
반도체 관련주및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한농화성 (+9.72%)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속 지난해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급등
DB하이텍 (+9.64%)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엘스패스
'실리콘 커패시터' 위탁 생산 모멘텀 지속에 급등
에코앤드림 (+9.41%)
지난해 흑자전환에 급등
듀켐바이오 (+9.22%)
치매진단 증가에 따른 핵의학 영상
수요 급증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알체라 (+9.17%)
SK그룹, 인공지능(AI) 로봇 사업 본격화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HB솔루션 (+9.04%)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 약 800만대 추정 소식
등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테마 상승 속 급등
파미셀 (+9.00%)
지난해 호실적 등에 급등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케이씨에스 (+10.00%)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장 마감 후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한다],
장중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기사
큐에스아이 (+9.99%)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기산텔레콤 (+9.98%)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34.59억원(전년대비 +26.49%),
영업이익 67.94억원(전년대비 +54.05%)
알서포트 (+9.97%)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한화에어로스페이스 (+9.93%)
당정, AI·우주·첨단소재·유무인 복합 체계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시간외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24조원(전년대비 +20.16%),
영업이익 1.72조원(전년대비 +149.55%).
지분확대를 통한 시너지 제고 및 책임경영 강화 목적으로
한화오션 주식회사 (HANWHA OCEAN CO., LTD.)
주식 22,375,216주를 1.30조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30.44%, 취득예정일:2025-03-13) 공시
비상교육 (+9.90%)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64.60억원(전년대비 -2.34%),
영업이익 108.72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엑스게이트 (+7.72%)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하이비젼시스템 (+6.63%)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 약 800만대 추정 소식 등에
아이폰 테마 상승 속 정규장 9.93% 급등. 장 마감 후
보통주 1주당 400원(시가배당율 2.3%) 현금배당
(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에스텍 (+5.78%)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100.43억원(전년대비 +23.02%),
영업이익 440.19억원(전년대비 +79.27%).
보통주 1주당 850원(시가배당율 7.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아이씨티케이 (+5.71%)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한국첨단소재 (+5.07%)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에이피알 (+4.65%)
장중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227.53억원(전년대비 +37.98%),
영업이익 1,226.60억원(전년대비 +17.72%).
24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442.15억원(전년동기대비 +60.64%),
영업이익 396.40억원(전년동기대비 +15.36%)
우리로 (+4.51%)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SK이터닉스 (+4.44%)
장 마감 후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41억원(전년동기대비 -3.9%),
영업이익 251억원(전년동기대비 +74.3%)
아톤 (+4.41%)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아이윈플러스 (+3.95%)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우주일렉트로 (+3.78%)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61.81억원(전년대비 +10.2%),
영업이익 201.39억원(전년대비 +151.3%).
장 마감 후 보통주 289,529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3-04) 공시.
보통주 1주당 300원(시가배당율 2.0%)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LIG넥스원 (+3.75%)
당정, AI·우주·첨단소재·유무인 복합 체계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시간외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쇼박스 (+3.68%)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31.17억원(전년대비 +131.80%),
영업이익 245.24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보통주 1주당 150원(시가배당율 5.2%)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2-28) 공시
이엘씨 (+3.36%)
지난해 적자폭 축소 속 정규장 17.13% 급등
바이오로그디바이스 (+3.34%)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대림B&Co (+3.23%)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817.28억원(전년대비 +5.80%),
영업이익 146.21억원(전년대비 +260.22%)
한화시스템 (+3.23%)
당정, AI·우주·첨단소재·유무인 복합 체계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시간외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코위버 (+3.18%)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쏠리드 (+3.05%)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보로노이 (+3.04%)
미국암학회서 VRN11 임상 초기 데이터 발표
예정 소식에 정규장 13.75% 급등
삼영이엔씨 (+3.00%)
당정, AI·우주·첨단소재·유무인 복합 체계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시간외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한화오션 (+2.93%)
당정, AI·우주·첨단소재·유무인 복합 체계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시간외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장 마감 후 Hanwha Shipping LLC과 7,322.00억원
(최근 매출액대비 9.9%) 규모 공급계약(LNGC 2척) 체결
(계약기간:2025-02-07~2027-09-30) 공시
한빛레이저 (+2.60%)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7.67% 급등
SNT다이내믹스 (+2.51%)
당정, AI·우주·첨단소재·유무인 복합 체계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시간외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시큐센 (+2.49%)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드림시큐리티 (+2.44%)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시프트업 (+2.35%)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2,198.53억원(전년대비 +30.40%),
영업이익 1,485.81억원(전년대비 +33.78%)
ISC (+2.28%)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44.80억원(전년대비 +24.43%),
영업이익 447.84억원(전년대비 +317.11%).
보통주 1주당 810원(시가배당율 1.2%) 현금배당
(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TCC스틸 (+2.23%)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820.74억원(전년대비 -6.78%),
영업이익 122.72억원(전년대비 +9.08%),
순이익 201.25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파인텍 (+2.23%)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제이앤티씨 (+2.16%)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정규장 8.43% 강세
현대로템 (+2.16%)
당정, AI·우주·첨단소재·유무인 복합 체계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시간외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한화 (+2.15%)
당정, AI·우주·첨단소재·유무인 복합 체계 등 10대 국방전략기술에
2027년까지 총 3조원 이상 투자 소식 및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호조 등에 시간외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장 마감 후 [[단독] 한화그룹, 분산된 한화오션 지분
'한화에어로'로 모은다] 기사
우리넷 (+2.13%)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에스엠 (+2.06%)
장 마감 후 4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1,817.64억원(전년동기대비 +11.04%),
영업이익 357.77억원(전년동기대비 +83.23%).
보통주 458,937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2-18) 공시.
보통주 1주당 400원(시가배당율 0.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파마리서치 (+2.01%)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496.77억원(전년대비 +33.97%),
영업이익 1,259.21억원(전년대비 +36.48%)
라닉스 (+1.97%)
日 도쿄대·NTT,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시간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애니젠 (+1.82%) 난임치료약물 FDA 사전심사일 확정 소식에 정규장 4.85% 상승
동국씨엠 (+1.62%)
장중 4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5,061.60억원(전년동기대비 -3.48%),
영업이익 28.6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보통주 1주당 500원(시가배당율 8.2%)
현금배당(결산배당일:2025-03-31) 공시
하락종목
로보로보 (-1.28%)
시간외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보통주 8,277주(0.36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2-11~2025-03-31) 공시
오하임앤컴퍼니 (-1.65%)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467.34억원(전년대비 +13.87%),
영업손실 19.69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하이젠알앤엠 (-1.80%)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하락
클로봇 (-1.83%)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투자경고종목 지정 공시
가온칩스 (-1.85%)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64.92억원(전년대비 +51.72%),
영업이익 35.24억원(전년대비 -18.99%)
해성에어로보틱스 (-1.85%)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하락
레이크머티리얼즈 (-1.93%)
장중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7.25억원(전년동기대비 +41.44%),
영업이익 82.28억원(전년동기대비 -10.48%)
유진로봇 (-1.96%)
시간외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인텔리안테크 (-2.14%)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81.10억원(전년대비 -15.38%),
영업손실 182.44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한국무브넥스 (-2.24%)
장 마감 후 매매거래정지 예고 공시.
조회공시 요구(현저한시황변동) 공시
고영 (-2.27%)
시간외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25.38억원(전년대비 -10.23%),
영업이익 33.22억원(전년대비 -83.69%)
액션스퀘어 (-2.59%)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5.51억원(전년대비 +38.29%),
영업손실 89.37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레인보우로보틱스 (-2.65%)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하락
케이엔알시스템 (-2.83%)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하락
유일로보틱스 (-3.00%)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램테크놀러지 (-3.01%)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휴림로봇 (-3.18%)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아이엠티 (-4.38%)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5.65억원(전년대비 +109.67%),
영업손실 21.61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레이 (-5.30%)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59.52억원(전년대비 -41.08%),
영업손실 435.09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드래곤플라이 (-5.65%)
장 마감 후 유상증자결정 정정공시
(자금조달 목적, 납입일, 배정대상자 변경 등)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 (화) 장마감 (2) | 2025.02.12 |
---|---|
2.11 (화) 장마감 분석 (1) | 2025.02.11 |
2.10 (월) 장마감 분석 (0) | 2025.02.10 |
2.7 (금) 장마감 (1) | 2025.02.08 |
2.7 (금) 장마감 분석 (0) | 2025.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