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2.12 (수) 장마감

by 장주공 2025. 2. 13.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KOSPI 2,548.39(+0.37%)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조선주 강세(+), 美 1월 CPI 경계감

지난밤 뉴욕증시가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속 1월 CPI 대기, 파월 의장 발언 소화 속 혼조,

유럽 주요국 증시는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34.71(-4.34P, -0.17%)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2,528.74(-10.31P, -0.41%)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줄였고,

오전중 보합권을 중심으로 혼조세를 보였음. 이후 상승 전환한 후 2,545선 부근에서 움직였고,

장 후반 상승폭을 확대해 2,549.58(+10.53P, +0.4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줄인 끝에 2,548.39(+9.34P, +0.37%)에서 거래를 마감.

美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코스피지수는 소폭 상승.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조선주 강세 등에 2거래일 연속 상승.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수, 기관은 3거래일연속 순매수. 반면,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지난밤 美 연방 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연준의 현통화정책 기조는 이전보다 현저히 덜 긴축적으로 됐고,

경제는 강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는 정책 기조 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발언.

아울러,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웃돌고 있다"고 밝힘.

이날 파월 의장의 발언은 지난달 FOMC 회의 후 기자회견의 입장과 거의 동일한 스탠스를 유지.

한국시간으로 12일 오후 10시30분 美 1월 CPI가 발표될 예정.

시장에서는 1 월 CPI가 전월대비 0.3%, 전년동기대비 0.2% 상승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美 해군 함정 동맹국서 건조 허용 추진 소식 등에 조선주가 강세.

한화오션(+15.17%), HD현대중공업(+15.36%), HD한국조선해양(+5.64%),

삼성중공업(+5.98%), HJ중공업(+8.62%)이 일제히 상승.

한화엔진(+7.50%), STX엔진(+11.96%), HD현대마린솔루션(+2.91%),

HD현대마린엔진(+1.81%) 등 조선기자재 테마도 상승.

한화에어로스페이스(+4.42%)가 호실적 모멘텀 지속 등에 이틀째 상승,

한화시스템(+29.64%), 한화(+16.00%)도 상승.

구자균 회장의

美 빅테크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수주 거의 성공 단계 발언 속

LS(+10.20%), LS마린솔루션(+4.52%), LS ELECTRIC(+11.97%),

LS네트웍스(+20.58%) 등 LS그룹주도 상승.

반면, 크래프톤(-14.00%)은 사상 최대 실적 기록에도 향후 실적 고성장 난항 전망 등에 급락.

유한양행(-6.26%)은 지난해 실적 부진 등에 약세.

파월 의장 금리 인하 속도 조절 발언 속

NAVER(-1.53%), 카카오(-1.98%) 등 인터넷 대표주도 하락.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 홍콩이 상승, 대만은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966억, 529억 순매수, 개인은 1,984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196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532계약, 60계약 순매도.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453.4원으로 전거래일대비 1.2원 상승.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8bp 상승한 2.651%,

10년물은 전일 대비 3.0bp 상승한 2.87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8틱 내린 106.62 마감. 외국인이 12,168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은행은 각각 6,860계약, 4,451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1틱 내린 117.99 마감. 외국인이 6,399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5,881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다소 우세.

KB금융(-2.61%), 현대모비스(-2.41%), 기아(-2.24%), 카카오(-1.98%), POSCO홀딩스(-1.91%), NAVER(-1.53%),삼성바이오로직스(-1.45%), LG에너지솔루션(-1.31%), 신한지주(-1.02%),

현대차(-0.65%), 셀트리온(-0.56%), SK하이닉스(-0.40%) 등이 하락.

반면, HD현대중공업(+15.36%), 한화오션(+15.17%), 한화에어로스페이스(+4.42%),

삼성물산(+1.85%), 삼성화재(+1.63%), 메리츠금융지주(+1.62%), SK이노베이션(+0.83%), 삼성전자(+0.18%)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운송장비/부품(+3.72%), 보험(+1.33%), 오락/문화(+1.33%), 기계/장비(+1.28%), 증권(+1.00%), 유통(+0.97%), 금융(+0.77%), 제조(+0.62%), 금속(+0.42%), 화학(+0.31%), 전기/가스(+0.30%), 전기/전자(+0.25%), 일반서비스(+0.17%), 의료/정밀기기(+0.11%) 등이 상승. 반면, IT 서비스(-3.54%), 제약(-1.56%), 비금속(-1.11%), 통신(-0.85%), 건설(-0.62%), 섬유/의류(-0.38%), 운송/창고(-0.21%)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548.39P(+9.34P/+0.37%)

코스닥시장

KOSDAQ 745.18(-0.59%)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로봇주 약세(-), 美 1월 CPI 경계감

지난밤 뉴욕증시가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속 1월 CPI 대기,

파월 의장 발언 소화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48.65(-0.94P, -0.13%)로 약보합 출발.

시가를 고점으로 장 초반 742선까지 하락한 후 오전중 747선까지 낙폭을 줄였으나

이후 시간이 갈수록 재차 낙폭을 확대. 장 후반 742.85(-6.74P, -0.9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장 막판 낙폭을 다소 줄인 끝에 결국 745.18(-4.41P, -0.59%)에서 거래를 마감.

美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외국인과 기관은 4거래일 연속 동반 순매도,

개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

최근 급등한 로봇주들에 대한 증권사들의 빚투 차단 영향 등에

레인보우로보틱스(-6.52%), 휴림로봇(-12.67%), 하이젠알앤엠(-11.03%),

알에스오토메이션(-9.59%), 에스피시스템스(-8.61%), 티로보틱스(-6.43%) 등 로봇주가 하락.

제이앤티씨(+22.03%), 하스(+10.80%), 켐트로닉스(+3.30%)가 상승한

반면, 한빛레이저(-8.21%), 필옵틱스(-6.44%), 와이씨켐(-5.97%) 등이 하락하는

등 유리 기판 테마는 등락이 엇갈림.

올릭스(+29.97%)는 美 일라이 릴리와 9,116.73억원 규모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3거래일 연속 상한가.

메타의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 등에

포바이포(+29.99%), DSC인베스트먼트(+29.97%),

TS인베스트먼트(+29.95%), 나우IB(+28.79%) 등이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39억, 556억 순매도, 개인은 2,22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다소 우세.

레인보우로보틱스(-6.52%), 리가켐바이오(-1.69%), 에스엠(-1.47%), 삼천당제약(-1.37%),

셀트리온제약(-1.35%), 신성델타테크(-1.31%), HPSP(-0.81%), 파마리서치(-0.70%),

엔켐(-0.65%), 알테오젠(-0.13%) 등이 하락.

반면, 보로노이(+2.95%), 휴젤(+1.36%), 클래시스(+1.19%), 리노공업(+1.10%),

에코프로비엠(+0.41%), HLB(+0.40%), 코오롱티슈진(+0.14%), JYP Ent.(+0.12%) 등이 상승.

에코프로, 펩트론은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기계/장비(-2.15%), 출판/매체복제(-1.81%), IT 서비스(-1.11%), 화학(-1.09%), 기술성장기업(-1.06%), 비금속(-1.05%), 음식료/담배(-0.89%), 제조(-0.76%), 의료/정밀기기(-0.67%), 통신(-0.48%), 종이/목재(-0.46%), 제약(-0.44%) 등이 하락. 반면, 운송장비/부품(+0.87%), 건설(+0.74%), 금융(+0.59%), 오락/문화(+0.36%), 기타제조(+0.32%), 운송/창고(+0.24%), 섬유/의류(+0.08%)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45.18P(-4.41P/-0.59%)

테마시황

상승테마

美, 동맹국의 美 해군 함정 건조 허용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에 창투사 테마 상승.

방산업계, 올해 영업이익 3조원 돌파 기대감 및 정부, 600억원 규모 방산펀드

조성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 "트럼프발 관세는 전력 수요 확대 기회" 발언 등에 전선/ 전력설비 테마 상승.

한·미 공동 개발 차세대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28일 발사 소식 속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테마 상승.

이 외 LNG(액화천연가스), 항공기부품, 야놀자(Yanolja), 드론(Drone),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바이오인식(생체인식),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영상콘텐츠, 백화점, 셰일가스(Shale Gas),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美 금리인하 속도 조절 전망 등에 인터넷 대표주와 반도체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줄기세포, 유전자 치료제/분석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하락.

증권사들 로봇주 '빚투' 차단 소식 및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하락.

이 외 희귀금속(희토류 등), 모바일게임,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시멘트/레미콘, 웹툰,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탄소나노튜브(CNT), AI 챗봇(챗GPT 등), 국내 상장 중국기업, 비철금속, LED장비, 니켈, 보톡스(보툴리눔톡신), MLCC(적층세라 믹콘덴서), 전자결제(전자화폐)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조선/ 조선기자재

美, 동맹국의 美 해군 함정 건조 허용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상승

11일( 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 리 공화당 의원 등은 지난 5일 해군과 해안경비대의

준비 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법안 두 건을 발의했다는소식이 전해짐.

'해군 준비 태세 보장법'은 외국 조선소에서의 해군 함정건조를 금지하는 법을 개정해

한국 등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에 있는 조선소에 해군 함정 건조를 맡길 수 있도록 하는 법으로 알려짐.

한편, 법안은 특정 국가 언급은 없으나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인도·태평양 국가 중

첨단 해군 함정을 건조할역량을 갖춘 국가는한국과 일본뿐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이후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을 기대한다"라며 한국 조선업계에 협약의지를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HD현대중공업, HJ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STX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창투사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메타)이 한국의 인공지능(AI) 칩 설계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 인수를 논의하고 있다고 전해짐. 메타는 퓨리오사AI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인수가 이달 안에 완료될 수 있다고 알려짐.

퓨리오사AI는 데이터센터 서버용 AI 추론 연산 특화 반도체를 개발하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 스타트업으로 메타가 이 스타트업에 눈독을 들인 것은 자체 AI 칩 개발을 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퓨리오사AI 투자사인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나우IB를 비롯해

LB인베스트먼트, SV인베스트먼트, HB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 등 창투사 테마가 상승.

퓨리오사AI와 AI 반도체에 화질 개선 AI 서비스를 탑재하는 통합 솔루션을 개발한 바 있는

포바이포, 퓨리오사AI의 투자사이자 협력사인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ID)을 관계사로

보유한 엑스페릭스도 시장에서 부각.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방산업계, 올해 영업이익 3조원 돌파 기대감 및 정부, 600억원 규모 방산펀드 조성 소식 등에 상승

금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대로템·한국항공우주(KAI)·LIG넥스원 등 국내 주요 방산업체 '빅4'의 지난해 합산 영업이익은 2조6,528억원으로 전년대비 114.2% 증가했으며 매출 역시 22조5,337억원으로 28% 증가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 업계 관계자는 "K-방산의 글로벌 시장 확장이 가속화되면서 올해 방산 매출이 20% 이상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폴란드, 이집트 등 추가 납품 및 신규 수주 가능성 등으로 올해 빅4 합산 영업이익은 3조원을 크게 상회할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중소 방산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정책펀드를 조성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방위사업청은 올해 방산 벤처기업을 위한 정책 펀드를 결성할 계획으로 2025년부터 2027 년까지 3년간 600억원을 투입하며 올해는 200억원의 예산이편성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아이쓰리시스템, RF시스템즈, 한화시스템, STX엔진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전선/ 전력설비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 "트럼프발 관세는 전력 수요 확대 기회" 발언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금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국내 최대 스마트 전력·에너지 전시회 '일렉스 코리아 2025' 행사 현장에서 취재진을 만나 "관세 정책으로 미국 시장에 나가는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한국 업체들 사이에서 미국에 공장을 지으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고 밝힘. 이어 "이는 전력 수요 폭발로 이어질 것이고 회사는 초고압 변압기, 배전반,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의 사업 영업력을 강화해 미국 시장에서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음. 만약 '상호관세'에 따라 회사의 주력 제품인 변압기 등에 관세가 부과돼도 미국 내 변압기 매출 비중이 크지 않은 데다 전체 전력 기업에 매겨질 가능성이 커 가격 경쟁력에서도 밀리지 않을 수 있다는 설명.

LS일렉트릭은 미국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수주도거의 성공 단계로 구자균 회장은

"보안상 구체적인 업체를 밝힐 순 없지만 미국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거의 수주

단계에 와 있으며 올해 말 또는 내년쯤엔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발언.

이 같은 소식에 LS ELECTRIC, LS, 일진전기, LS마린솔루션, HD현대일렉트릭, 서전기전 등

전선/전력설비 테마가 상승. 아울러 LS네트웍스 등 LS그룹주도 시장에서 부각.

인터넷 대표주/ 반도체/ 제약/바이오 등

美 금리인하 속도 조절 전망 등에 하락

지난밤 美 상원 은행위원회 증언에 나선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한 발언을 내놨음.

파월 의장은 "현재의 정책 기조가 이전보다 상당히 덜 제약적인 상태이며 경제가 여전히 강한 만큼,

우리는 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데 있어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힘.

이어 "정책 긴축을 너무 빠르거나 과하게 완화하면 인플레이션 둔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반대로 정책 긴축을 너무 늦거나 적게 완화하면 경제 활동과 고용이 지나치게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의 윤곽이 명확히 드러날 때까지 금리를 계속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한편, 현지시간으로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가 적용될 예정인 가운데, 추가적인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도 지속.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나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도 검토중"이라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성장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NAVER, 카카오 등 인터넷 대표주와

SK하이닉스, 케이알엠, 이미지스, 파두, 삼양엔씨켐, 와이씨켐,

알에스오토메이션, 피에스케이홀딩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아울러, 금리 변동에 따른 밸류에이션 변화가

큰 녹십자웰빙, 에스티팜, 한미약품, SK바이오팜,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넥스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하락.

당일 상승종목

올릭스 (+29.97%)

美 일라이 릴리와 9,116.73억원 규모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포바이포 (+29.99%)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 속 퓨리오사AI와

AI 반도체에 화질 개선AI 서비스 탑재 통합

솔루션 개발 이력 부각에 상한가

DSC인베스트먼트 (+29.97%)

창투사 테마 상승 및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 속 퓨리오사 투자사실 부각에 상한가

TS인베스트먼트 (+29.95%)

창투사 테마 상승 및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 속 퓨리오사 투자 사실 부각에 상한가

엑스페릭스 (+29.94%)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 속 관계사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ID), 퓨리오사AI

투자사 및 협력사로 부각되며 상한가

아이에스티이 (+97.37%)

신규상장 첫날 급등

한화시스템 (+29.64%)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필리조선소 실적 기대감 등에 급등

나우IB (+28.79%)

창투사 테마 상승 및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 속퓨리오사 투자 사실 부각에 급등

자비스 (+27.12%)

지난해 호실적 및 유리기판 공정 검사장비

상반기 납품 예정 소식 등에 급등

아이쓰리시스템 (+23.90%)

방산업계, 올해 영업이익 3조원 돌파 기대감 및

정부, 600억원 규모 방산펀드 조성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LS네트웍스 (+20.58%)

계열사 LS ELECTRIC, 미국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수주 기대감 등에 급등

한화 (+16.00%)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지난해 및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 등에 급등

카티스 (+15.94%)

방산업계, 올해 영업이익 3조원 돌파 기대감 및 정부,

600억원 규모 방산 펀드 조성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급등

HD현대중공업 (+15.36%)

美, 동맹국의 美 해군 함정 건조 허용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조선 테마 상승 속 급등

한화오션 (+15.17%)

조선,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최대주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동사 지분 추가 취득

결정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제닉스 (+14.57%)

삼성전자, ASIC용 HBM 공급 기대감 속

삼성전자에 스토커 공급 사실 부각에 급등

컴퍼니케이 (+13.29%)

창투사 테마 상승 및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

속 투자사 업스테이지, 퓨리오사AI와 AI 생태계확장을

위한 영업 협약을 체결 사실 부각에 급등

SK오션플랜트 (+12.16%)

美, 동맹국의 美 해군 함정 건조 허용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속 급등

LS ELECTRIC (+11.97%)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미국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수주 기대감 등에 급등

STX엔진 (+11.96%)

조선기자재,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테마 상승 및

중국 조선소 선박 수주 증가 소식 속 중국 조선소에

선박 기자재 납품 사실 부각에 급등

RF시스템즈 (+10.83%)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SAR 위성시장 진출 기대감 지속에 급등

하스 (+10.80%)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 속

유리기판 관련 국책 과제 선정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산돌 (+10.75%)

지난해 호실적에 급등

한라IMS (+10.61%)

美, 동맹국의 美 해군 함정 건조 허용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급등

SK디앤디 (+10.55%)

4분기 실적 급증 및 지난해 매출액 개선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LS (+10.20%)

전선/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자회사 LS ELECTRIC,

미국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수주 기대감 등에 급등

대양전기공업 (+10.03%)

조선기자재,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미래산업 (+9.54%)

지난해 흑자전환에 급등

아스테라시스 (+9.40%)

차세대 HIFU ‘쿨소닉’ 식약처 승인 완료 속 연내 FDA 승인 목표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2.12 (수)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팬스타엔터프라이즈 (+9.91%):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추진에

방위산업 협력·일본 독점판매권 부각.

케이티알파 (+9.89%):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3,881.70억원(전년대비 -9.82%),

영업이익 245.95억원(전년대비 +100.00%).

코츠테크놀로지 (+9.85%):

시간외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한화시스템(주)과 151.6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켐트로닉스 (+8.58%):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켐트로닉스, 반도체 유리기판·웨이퍼 재생 시동…

“인수한 제이쓰리와 시너지 창출”].

웨이브일렉트로 (+7.91%):

방산업계 영업이익 3조원 돌파 기대감 및

정부 600억원 규모 방산펀드 조성 소식.

한국전자인증 (+5.32%):

지난해 실적 발표, 매출액 383.61억원(전년대비 +0.05%),

영업이익 47.31억원(전년대비 +50.65%).

보통주 1주당 70원 현금배당 결정 및 35.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이수스페셜티케미컬 (+4.78%):

LG엔솔 전고체 전지 충전 속도 10배 향상 기술 개발 소식.

제이앤티씨 (+4.69%):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한빛레이저 (+4.07%):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가비아 (+3.81%):

4분기 실적 발표,

매출액 899.84억원(전년대비 +21.22%),

영업이익 144.23억원(전년대비 +2.34%).

HB테크놀러지 (+3.70%):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웹젠 (+3.54%):

장 마감 후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60.71억원(전분기대비 +14.05%),

영업이익 151.35억원(전분기대비 +57.23%).

보통주 1주당 300원(시가배당율 2.1%)

현금배당 결정 및 보통주 350,000주 소각 결정.

백산 (+3.21%):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975.34억원(전년대비 +19.10%),

영업이익 760.54억원(전년대비 +43.10%).

보통주 1주당 200원(시가배당율 1.5%) 현금배당 결정.

이수페타시스 (+3.19%):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368.66억원(전년대비 +23.91%),

영업이익 1,042.35억원(전년대비 +67.66%).

보통주 1주당 150원(시가배당율 0.4%) 현금배당 결정.

LS ELECTRIC (+3.14%):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미국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수주 기대감 등에 정규장 11.97% 급등.

덕산네오룩스 (+3.10%):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122.52억원(전년대비 +29.65%),

영업이익 524.71억원(전년대비 +59.39%).

와이씨켐 (+2.69%):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램테크놀러지 (+2.57%):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에이블씨엔씨 (+2.49%):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645.06억원(전년대비 -3.33%),

영업이익 202.97억원(전년대비 +77.70%).

보통주 1주당 204원(시가배당율 3.0%) 현금배당 결정.

유일에너테크 (+2.44%):

LG엔솔 전고체 전지 충전 속도 10배 향상 기술

개발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자비스 (+2.25%):

지난해 호실적 및 유리기판 공정 검사장비 상반기

납품 예정 소식 등에 정규장 27.12% 급등.

HJ중공업 (+2.23%):

시간외 일부 조선 및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엑시큐어하이트론 (+2.19%):

조회공시요구(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답변(중요 공시대상 없음).

한농화성 (+1.85%):

LG엔솔, 전고체 전지 충전 속도 10배 향상 기술

개발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태광 (+1.84%):

美, 동맹국의 美 해군 함정 건조 허용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센서뷰 (+1.80%):

장중 (주)서림테크놀로지와 10.3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19%)

규모 공급계약(물품(지상레이더 장치용 특수복합커넥터) 서)

체결(계약기간:2025-02-11~2027-12-31) 공시

필옵틱스 (+1.58%):

유리 기판 개발 경쟁 본격화 및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아바코 (+1.55%):

지난해 실적 호조 등에 정규장 7.83% 강세.

시간외 일부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LS네트웍스 (+1.55%):

계열사 LS ELECTRIC, 미국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수주 기대감 등에 정규장 20.58% 급등

대성창투 (+1.51%):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200.88억원(전년대비 +62.48%),

영업이익 102.38억원(전년대비 +398.81%)

하락종목

레이저옵텍 (-1.28%):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범양건영 (-1.31%):

시간외 일부 모듈러주택 테마 하락

대동 (-1.36%):

시간외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하락

RF시스템즈 (-1.66%):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아난티 (-1.70%):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851.59억원(전년대비 -68.22%),

영업이익 7.70억원(전년대비 -99.71%)

전진건설로봇 (-1.77%):

시간외 일부 건설기계 테마 하락

대동기어 (-2.17%):

시간외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하락

온코크로스 (-2.82%):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72억원(전년대비 +1,071.48%),

영업손실 69.29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나인테크 (-2.83%):

장 마감 후 660,784주(발행주식총수 대비 1.40%)

규모 전환주식의 전환청구권행사 공시

교촌에프앤비 (-4.66%):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806.22억원(전년대비 +8.01%),

영업이익 152.39억원(전년대비 -38.64%)

아이앤씨 (-5.95%):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3억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3 (목) 장마감  (0) 2025.02.13
2.13 (목) 장마감 분석  (0) 2025.02.13
2.12 (수) 장마감 분석  (0) 2025.02.12
2.11 (화) 장마감  (2) 2025.02.12
2.11 (화) 장마감 분석  (1) 2025.02.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