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9.1 (금) 장마감

by 장주공 2023. 9. 4.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9/1 KOSPI 2,563.71(+0.29%)

외국인 순매수(+), 삼성전자 6%대 급등(+), 기관·개인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고용동향보고서 관망 및 PCE 물가지표 소화 속 혼조,

유럽 주요국 증시도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51.93(-4.34P, -0.17%)으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2,551.04(-5.23P, -0.2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 전환했고,

오전중 2,568선까지 상승. 오전중 상승폭을 반납해 재차 하락 전환했고,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했음. 오후 들어 다시 상승해 장 후반 2,568.42(+12.15P, +0.4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으나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줄인 끝에 결국 2,563.71(+7.44P, +0.29%)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 순매수 및 삼성전자(+6.13%) 급등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상승 마감.

외국인이 6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3,700억 가까이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 순매수는 전기전자 업종에 집중됐고, 삼성전자(+6.13%)가 급등.

삼성전자(+6.13%)는 엔비디아에 4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 공급 소식 등으로 급등.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HBM3 샘플에 대해 엔비디아 품질 검증을 통과했고, 공급계약을 맺으면서

제품 공급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짐. 삼성전자가 공급하는 HBM3는 엔비디아 GPU H100 등에 탑재될 예정.

지난밤 발표된 美 7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동월대비 4.2% 상승, 시장 예상치에 부합.

다만, 전월의 4.1% 상승을 다소 웃도는 모습.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포함한 7월 PCE 가격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3% 상승, 전월의 3.0%에서 상승.

美 7월 개인 소비지출은 전월대비 0.8% 증가, 시장 예상치 0.7% 증가를 상회,

전월의 0.6% 상승도 상회했음.

美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대비 4,000명 감소한 22만8,000명을 기록,

시장 예상치를 하회.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8월 수출액은 518억7,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8.4% 감소.

산업부는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석유제품,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 단가 하락과 지난해 8월 수출이

역대 8월 기준 최고치를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

8월 수입액은 510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2.8% 감소. 8월 무역수지는 8억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

8월 반도체 수출액이 전년동월대비 21% 감소해 13개월째 감소했으나

전월대비로는 15% 증가하면서 1분기 저점 이후 개선되는 모습.

산업부는 "메모리 감산 효과 가시화와 DDR5,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성능 제품 수요

확대에 따라 반도체 업황은 점진적 개선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삼성전자(+6.13%)가 급등했으나 SK하이닉스(-1.48%)가 하락하면서 반도체 대표주는 등락이 엇갈림.

LG에너지솔루션(-4.04%), 삼성SDI(-2.93%), SK이노베이션(-0.85%) 등 2차전지 관련주,

POSCO홀딩스(-3.28%), 포스코인터내셔널(-0.88%), 포스코퓨처엠(-4.12%) 등 POSCO 그룹주는 하락. 한화오션(-8.74%), 삼성중공업(-5.33%), HD한국조선해양(-2.34%) 등 조선주도 하락.

홍콩이 휴장한 가운데,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 대만이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3,692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764억, 2,180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이 5,702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3,386계약, 1,701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3.0원 하락한 1,318.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2bp 하락한 3.689%,

10년물은 전일 대비 4.3bp 하락한 3.778%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8틱 오른 103.64 마감. 외국인이 6,699계약 순매수, 은행은 4,750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8틱 오른 109.96 마감. 외국인이 8,622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6,600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포스코퓨처엠(-4.12%), LG에너지솔루션(-4.04%), POSCO홀딩스(-3.28%), 삼성SDI(-2.93%), LG화학(-2.23%), SK하이닉스(-1.48%), KB금융(-0.92%), 현대차(-0.90%), 포스코인터내셔널(-0.88%), SK이노베이션(-0.85%), 기아(-0.62%) 등이 하락.

반면, 삼성전자(+6.13%), 삼성물산(+2.29%), 카카오(+1.77%), LG전자(+1.12%), 현대모비스(+0.65%) 등은 상승. NAVER, 셀트리온은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기계(-2.14%), 철강/금속(-1.97%), 운수장비(-1.40%), 화학(-1.16%), 의약품(-1.06%), 비금속광물(-0.86%), 의료정밀(-0.75%), 음식료(-0.74%), 증권(-0.58%), 통신(-0.53%), 금융(-0.50%) 등이 하락. 반면, 전기/전자(+1.90%), 제조(+0.48%), 건설(+0.46%), 섬유/의복(+0.40%), 유통(+0.24%), 종이/목재(+0.17%)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563.71P(+7.44P/+0.29%)

코스닥 마감시황

9/1 KOSDAQ 919.74(-0.93%)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2차전지/전기차株 하락(-),

반도체株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고용동향보고서 관망 및 PCE 물가지표 소화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26.37(-2.03P, -0.22%)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928.00(-0.40P, -0.0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서도 장 후반으로 갈수록 낙폭을키웠고, 결국 장중 저점인 919.74(-8.66P, -0.93%)에서

거래를 마감.

개인 순매수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만에 하락.

외국인은 7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도. 개인은 5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전기차 판매량 증가세 둔화 등으로 에코프로(-6.21%), 에코프로비엠(-4.93%), 엘앤에프(-2.79%), 더블유씨피(-5.61%), 나노신소재(-4.94%) 등 2차전지/전기차테마가 하락.

스맥(+16.21%), 레인보우로보틱스(+7.46%) 등 로봇 테마,

HPSP(+5.66%), 이오테크닉스(+6.85%), 원익IPS(+4.38%), 솔브레인(+6.15%) 등 반도체 관련주들은 상승. 크라우드웍스(+29.80%)는 스팩합병 상장 후 이틀 연속 상한가.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241억, 775억 순매도, 개인은 3,090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포스코DX(-7.66%), 에코프로(-6.21%), 더블유씨피(-5.61%), JYP Ent.(-5.53%), 에코프로비엠(-4.93%), 에스엠(-3.85%), 알테오젠(-3.31%), 루닛(-3.01%), 엘앤에프(-2.79%), 케어젠(-2.65%) 등이 하락.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7.46%), 이오테크닉스(+6.85%), HPSP(+5.66%), 펄어비스(+1.14%), 리노공업(+0.77%)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금융(-5.23%), 일반전기전자(-3.55%), 기타서비스(-2.74%), 오락문화(-2.33%), 제약(-1.79%), 음식료/ 담배(-1.72%), 금속(-1.57%), 기타제조(-1.55%), 제조(-1.49%), 건설(-1.31%), 화학(-1.26%), 소프트웨어(-1.07%), 운송장비/부품(-0.92%),유통(-0.44%), IT부품(-0.43%) 등이 하락. 반면, 반도체(+5.06%), 정보기기(+3.45%), IT H/W(+3.14%), 종이/목재(+1.94%), 비금속(+1.25%),디지털컨텐츠(+1.09%), 방송서비스(+0.96%), 운송(+0.92%)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919.74P(-8.66P/-0.93%)

테마시황

상승테마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테마 상승.

PCB(FPCB 등), 3D 낸드 등의 테마도 상승.

사우디 국부펀드 총재 내주 방한 속 국내 대기업과 회동 소식 등에 네옴시티 테마 상승.

정부, 우크라이나 등 전략 시장 지원 강화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모듈러주택, 일부 건설기계 등의 테마도 상승.

삼성디스플레이, 美 이매진 인수 관련 이매진 주총 통과 소식 속 XR시장 선점 기대감 등에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갤럭시Z플립5·Z폴드5 유럽서 초기 판매 신기록 소식에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휴대폰부품/

스마트폰/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테마 등 상승.

애플, 9월 행사서 아이폰15 공개 모멘텀 지속 속 아이폰 테마 상승.

현대차, '레벨3' 자율주행차 상용화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네이버웹툰 내년 美 상장 기대감 및 웹툰 시장 성장 기대감 지속 속일부 웹툰 테마 상승.

수술실 CCTV 25일부터 의무화 소식 속 일부 CCTV & DVR/ 보안주(물리) 테마 상승.

국제유가 급등 속 일부 정유/ LPG 테마 상승.

이 외 LED장비, 마이크로 LED, 남북경협,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리모델링/인테리어, 캐릭터상품, 밥솥, OLED, 테마파크, 건설 중소형, 인터넷 대표주, 드론, 골프, 태양광에너지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전기차 시장 둔화 소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하락. 폐배터리, 리튬 등의 테마도 하락.

LK-99 검증위, 국내 4곳 재현실험서 초전도성 사례 없었다는 소식에 초 전도체 테마 연일 하락.

양자암호, 핵융합에너지, 그래핀, 비철금속 테마 등도 하락.

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개시 속 반사이익 기대감에 최근 부각됐던 수산, 육계, 음식료업종,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테마 연일 하락.

中 크루즈 관광객, 6년5개월 만에 제주 입항 소식에도 면세점, 화장품, 카지노,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 등

中 소비 관련 테마 하락. 국내 상장 중국기업테마도 하락.

탈모 치료,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제대혈, 치매, 줄기세포, 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이 외 전선, 조선, 비료, 전력설비, 맥신(MXene), 요소수, U-Healthcare(원격진료), 탄소나노튜브(CNT), 석유화학, 미용기기, 고령화 사회,희귀금속(희토류 등), 클라우드 컴퓨팅, 전기자전거, 조선기자재, 원자력발전소 해체, LNG, 타이어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도체 관련주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상승

금일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난 31일 엔비디아의 HBM3 최종 품질 테스트를 통과한 것과 동시에 공급계약도 맺었다는 소식이 전해짐. 두 회사는 내년 공급도 구체화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번 계약에 따라 삼성전자는 이르면 다음달부터 HBM3 를 공급할 것으로 알려짐.

인공지능(AI)용 가속기 양강 업체인 AMD에 이어 엔비디아까지 뚫으면서 내년 삼성전자 HBM 점유율이 50%를 돌파할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씨티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올 4분기부터 HBM3를 공급하는 등 메인 공급사로 올라설 것으로 분석하면서 목표주가를 110,000원에서 120,000원으로 상향 조정했음.

아울러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12나노급 32Gb DDR5 D램을 개발했다고 밝힘.

32Gb는 D램 단일 칩 기준으로 역대 최대 용량으로, 양산은 연내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8월 수출입 동향'을 통해 전월수출은 전년동월대비 8.4% 감소한 518억7,000만달러, 수입은 22.8% 감소한 510억달러, 무역수지는 8억7,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힘.지난 6월 흑자로 돌아선 이후 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 특히,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전년동월대비 21% 감소했지만, 전월대비로는 15% 증가해 1분기 저점 이후 3개월 연속 개선 흐름을 이어갔음.

밤사이 뉴욕증시가 고용동향보고서 관망세 속 PCE 물가 지표를 소화하며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상승. 지수 는 전 거래일 대비 27.01(+0.74%) 상승한 3,670.93을 기록. 특히, 엔비디아(+0.18%)는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며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가 6.13% 급등하며 종가기준 7만원선을 넘어섰고, 하나마이크론, SFA반도체, 엘오티베큠, 테스, 네패스, 하나머티리얼즈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가 상승.

네옴시티

사우디 국부펀드 총재 내주 방한 속 국내 대기업과 회동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최측근이자 ‘금고지기’로 알려진

야시르 오스만 알루마이얀 사우디 국부펀드(PIF) 총재가 내주 방한하는 것으로 알려짐.

세계 최대 석유기업 아람코의 회장이기도 한 알루마이얀 총재가 한국을 방문하는 것은 지난해 5월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이후 1년 3개월 만에 처음으로 이번 방한을 통해 삼성·현대자동차·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와 최고경영자(CEO) 등을 만날 것으로 알려졌음.

또한, 정부 측 고위급 인사와도 만날 예정이며, 양국 간 투자 협력에 대해 집중 논의할 예정으로 알려짐.

한편, 알루마이얀 총재는 지난해 5월 윤 대통령 취임식에 사우디 축하 사절단 자격으로 참석한 바 있으며, 양국은 에너지·인프라·건설 등 기존 협력 분야뿐 아니라 방산·의료·과학기술 등으로 파트너 관계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희림, 한미글로벌, 코오롱글로벌, 인디에프, 코오롱글로벌 등 네옴시티테마가 상승

.

우크라이나 재건

정부, 우크라이나 등 전략 시장 지원 강화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올해 하반기 ‘수출 플러스’ 달성을 위해 우크라이나 등 전략 시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는 전일 서울 강남 페이토 호텔에서 ‘2023 하반기 주요 수출시장 진출 전략 설명회’를 개최했으며, 국내 기업 100여 개사가 참석한 이번 설명회에서는 코트라 지역 전문가가 미국·유럽연합(EU)·중국·중동·아세안의 하반기 수출 여건과 변동성 높은 시장 상황을 소개했음. 특히,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동향과 우리 기업의 협력 방안을 설명했고 코트라 해외무역관도 현장에서 발굴한 수출 유망 틈새 품목을 소개.

아울러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과 관련해서는 전력, 건설 기자재, 수소 등 인프라 투자에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으며, 코트라는 “기업들이 정부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폴란드를 통한 우회 참여를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밝힘. 또한, 산업부는 대중국 수출 부진이 장기화하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이 가시화한 상황에서 기업들의 수출 시장 다변화를 적극 지원할 방침임.

이와 관련 삼부토건, 에스와이, 디와이디, 대모, 다스코 등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가 상승.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Metaverse)

삼성디스플레이, 美 이매진 인수 관련 이매진 주총 통과 소식 속 XR시장 선점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이매진(eMagin) 인수가 막바지 관문인 주주총회를 무사히 통과한 것으로 전해짐. 31일(현지시간) 이매진은 자사주주들이 회사가 삼성디스플레이에 인수되는 것을 승인하는 투표 안건에 찬성했다고 발표했음. 이에 앞서 이매진 경영진은 만장일치로 삼성디스플레이의 인수를 승인한 바 있음.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매진과 시너지 효과를 노리며 마이크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신사업 분야에서 생산 프로세스를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특히 확장현실(XR)을 비롯해 웨어러블,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새로운 수요처 발굴로 미래 시장 준비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알려짐. 한편, 이매진은 2001년부터 XR기기 핵심 부품인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업체로, 초고해상도 올레도스(OLED on Silicon)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이노시뮬레이션, 라온텍, 세코닉스, 칩스앤미디어, 넵튠, 자이언트스텝, 버넥트 등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Metaverse) 테마가 상승.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휴대폰부품/ 스마트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갤럭시Z플립5·Z폴드5 유럽서 초기판매 신기록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최근 출시한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Z플립5·Z폴드5가 유럽에서 전작을 뛰어넘는 판매 실적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삼성전자 구주총괄 벤자민 브라운 상무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23' 개막에 앞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개최된 '삼성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갤럭시Z플립5·Z폴드5의 유럽 초기 판매가 신기록을달성하고 있다고 밝힘. 또한, 유럽에서의 연간 폴더블 판매량이 과거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연간 판매량을 넘어섰다고 언급.

한편, 업계에선 올해 갤럭시Z플립5?Z폴드5 등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연간 판매량이 1,000만대를

무난하게 넘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유티아이, 세코닉스, 아이엠, 덕산네오룩스, KH바텍, 아비코전자 등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휴대폰부품/ 스마트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테마가 상승.

2차전지/ 전기차

전기차 시장 둔화 소식 등에 하락

관련 업계에 따르면, 7월 국내 전기차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13.2% 감소, 연말과 연초를 제외하면 국내 전기차판매가 줄어든 것은 코로나 이후 처음인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7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25.5% 성장에 그쳐 성장세가 크게 둔화된 것으로전해짐.

이와 관련, 한국투자증권은 보조금 축소와 인프라 부족 등으로 전기차 열풍이 잦아들고 있다고 분석했음.

전기차 인센티브와 가격할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주요 지역에서도 전기차 판매가 둔화했다며, 가장 큰 배경은 가격에 대한 저항이라고 설명. 아울러 지난달 30일 정부가 2024년 전기차 국고보조금을 대당 5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100만원 낮춘다고 밝힌 점과 부족한 충전 인프라도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는 이유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엘앤에프,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등

2차전지/ 전기차 테마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크라우드웍스(+29.80%)

스팩소멸합병 상장 이틀째 상한가

희림(+29.94%)

사우디 국부펀드 총재 내주 방한 속

국내 대기업과 회동 소식 등에

네옴시티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하나마이크론(+29.88%)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머큐리(+29.87%)

삼성전자, 2024년부터 전 제품

와이파이 탑재 소식 속 IoT 통신

표준 매터 장치 개발/보급 사실 부각에 상한가

스마트레이더시스템(+29.87%)

현대차, '레벨3' 자율주행차 상용화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시너지이노베이션(+29.85%)

그룹 계열사 뉴로바이오젠,

비만치료제 연구 '네이처 메타볼리즘'

게재 소식에 상한가

넥스트칩(+25.70%)

반도체 관련주 및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속 급등

제이티(+22.71%)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美 코닝, 국내 초박막 벤더블 글라스

생산 라인 구축 소식 속 코닝에

UTG 레이저 커팅장비 납품 이력 부각에 급등

한미글로벌(+21.22%)

사우디 국부펀드 총재 내주 방한 속

국내 대기업과 회동 소식 등에

네옴시티 테마 상승 속 급등

티라유텍(+16.35%)

삼성전자, 세계 최초 패키징 공장

무인화 라인 구축 및 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돌입 소식 등에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이노시뮬레이션(+16.30%)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테마 상승 및

현대차, '레벨3' 자율주행차 상용화 추진 모멘텀

지속 속 현대차에 차량 시뮬레이터 기반

디지털 검증 솔루션 공급 사실 부각에 급등

스맥(+16.21%)

삼성전자, 세계 최초 패키징 공장 무인화

라인 구축 및 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돌입

소식 등에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미래반도체(+15.14%)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코디(+14.14%)

그룹 계열사 뉴로바이오젠,

비만치료제 연구 '네이처 메타볼리즘'

게재 소식에 급등

코아시아(+13.77%)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마이크로컨텍솔(+13.75%)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티에프이(+13.74%)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유진테크(+13.37%)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미코(+13.35%)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유티아이(+12.42%)

갤럭시Z플립5·Z폴드5 유럽서 초기

판매 신기록 소식에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스마트폰 테마 상승 속 급등

하나머티리얼즈(+12.27%)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펨트론(+12.14%)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삼부토건(+12.07%)

정부, 우크라이나 등 전략

시장 지원 강화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속 급등

라온텍(+11.77%)

삼성디스플레이,

美 이매진 인수 관련 이매진 주총 통과 소식 속

XR시장 선점 기대감 등에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테마 상승 속 급등

디에스케이(+10.93%)

그룹 계열사 뉴로바이오젠,

비만치료제 연구

'네이처 메타볼리즘' 게재 소식에 급등

이랜시스(+10.82%)

삼성전자, 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추진 모멘텀 지속 속

삼성전자 로봇청소기 감속모터

공급사인 점이 부각되며 급등

샘씨엔에스(+10.80%)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인디에프(+10.59%)

사우디 국부펀드 총재 내주 방한 속

국내 대기업과 회동 소식 등에

네옴시티 테마 상승 속 급등

앤씨앤(+10.55%)

반도체 관련주 및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이디테크놀로지(+10.53%)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코오롱글로벌(+10.37%)

사우디 국부펀드 총재 내주 방한 속

국내 대기업과 회동 소식등에

네옴시티 테마 상승 속 급등

한양디지텍(+10.13%)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티에스이(+10.08%)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내년 실적 호조 기대감 등에 급등

레이저쎌(+9.95%)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우림피티에스(+9.79%)

삼성전자,

세계 최초 패키징 공장 무인화 라인 구축 및

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돌입 소식 등에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데브시스터즈(+9.54%)

신작을 통한 IP 다각화

기대감 등에 급등

두산테스나(+9.52%)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에이스테크(+9.31%)

스마트폰 및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속

내년부터 글로벌 통신 기업에 기지국

핵심 시스템 RU(Radio Unit) 공급 소식에 급등

9.1 (금)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아이즈비전+10.00%

종속회사 머큐리,

삼성전자, 2024년부터 전 제품 와이파이 탑재 소식 속 IoT

통신 표준 매터 장치 개발/보급 사실 부각에 정규장 상한가

코디+10.00%

그룹 계열사 뉴로바이오젠, 비만치료제 연구

'네이처 메타볼리즘' 게재 소식에 정규장 14.14% 급등

라이트론+9.97%

장 마감 후 사업 다각화 및 경영권 취득 목적으로

엠오유마인 주식회사 창대광산 주식 100주를 100.00억원에

신규로 양수하기로 결정(양수후지분율:100.00%, 양수예정일:미정) 공시

다이나믹디자인+8.85%

장 마감 후 PT. BUMI NICKLE PRATAMA 주식 4,800주를

52.92억원에 신규 취득 결정(취득후지분율:4.0%) 공시.

최주용 등 대상 210,714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

주식회사 미래에스피씨(최대주주의 관계사) 등

대상 130억원 규모의 CB 결정 공시

에스와이+5.67%

원희룡 장관 등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 방문 소식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 일부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유신+4.52%

원희룡 장관 등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 방문 소식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뉴로메카+3.20%

삼성전자, 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모멘텀 지속 등에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미래산업+3.13%

장 마감 후 관계사의 니켈광물관련 신사업를 위해 발행하는

전환사채 투자를 통한 수익 창출 목적으로 주식회사 미래에스피씨

출자증권을 99.90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3-09-01) 공시.

종속회사 주식회사 미래에스피씨, 100.00억원(자기자본대비 10.05%)

규모 (주)다이나믹디자인 전환사채권 취득 결정(취득예정일:2023-09-22) 공시

이노인스트루먼트+3.03%

원희룡 장관 등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 방문 소식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미코+2.63%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및

반도체 수출 개선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정규장 13.35% 급등

유티아이+2.54%

갤럭시Z플립5·Z폴드5 유럽서 초기 판매

신기록 소식에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스마트폰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2.42% 급등

삼부토건+1.92%

원희룡 장관 등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 방문 소식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에스비비테크+1.87%

삼성전자,

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모멘텀 지속 등에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다산네트웍스+1.74%

원희룡 장관 등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 방문 소식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신성델타테크+1.55%

삼성전자, 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모멘텀 지속 등에

시간외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하락종목

코아시아-1.53%

장 마감 후 주식등의 대량보유자(윤동욱) 소유주식수 변동(장내매도) 전자공시

TPC-2.02%

장 마감 후 주식등의 대량보유자(엄재웅/오태환 이사)

소유주식수 변동(보유주식 매도에 따른 보유비율 변동) 전자공시

마음AI-2.06%

장 마감 후 투자경고종목 지정 공시

피씨엘-2.27%

장 마감 후 [투자주의]소수계좌 거래집중 종목 공시

카프로-2.63%

장 마감 후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답변(미확정) 공시

티라유텍-3.72%

장 마감 후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공시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9.4 (월) 장마감  (1) 2023.09.05
9.4 (월) 장마감 분석  (0) 2023.09.04
9.1 (금) 장마감 분석  (0) 2023.09.01
8.31 (목) 장마감  (1) 2023.09.01
8.31 (목) 장마감 분석  (0) 2023.08.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