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3.8 (수) 장마감

by 장주공 2023. 3. 8.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3/8 KOSPI 2,431.91(-1.28%)

파월 Fed 의장 매파적 발언(-), 원/달러 환율 급등(-),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등에 큰 폭으로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435.58(-27.77P, -1.13%)로 갭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더욱 키우기도 했지만, 이내 만회하며 오전 중 2,442.61(-20.74P, -0.84%)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낙폭을 확대한 지수는 정오 무렵 2,426.52(-36.83P, -1.50%)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오후 장 일부 낙폭을 축소해 2,430선 부근에서 하락세를 이어가 다 결국 2,431.91(-31.44P, -1.28%)로 장을 마감.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매파적 발언 등에 긴축 우려가 재부각된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20원 넘게 급등하며 증시에 악재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3 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이틀째 순매도.

특히, 기관은 8,200억원 순매도하며 올 들어 최대 순매도를 기록.

전일(현지시간) 파월 Fed 의장은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최근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모두 강하다면서

최종금리 수준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높아질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언급.

이어 더 빠른 긴축을 필요로 한다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으며, 당분간 제한적인 통화정책 기조

유지가 요구된다고 언급했음.

이에 시장에서는 오는 3월 FOMC에서 빅스텝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됐으며,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美 국채 금리는 2007년 이후 처음으로 5%대를 돌파했음.

이에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대형 기술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고,

국내 증시에도 반도체, 인터넷, IT 등 기술/성장株들의 약세가 두드러짐.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속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으며,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2.0원 급등한 1,321.4원을 기록.

지난달 28일 이후 처음으로 재차 1,320원대로 치솟았음.

한편, 파월 의장이 매파적발언을 내놓은 가운데,

현지시간 10일 고용동향보고서, 14일 소비자물가지수(CPI), 15일 소매판매 등

美 주요 경제지표에 대한 경계감도 커지는 모습.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2월 비농업 고용이 22만5,000명 증가해 전월 51만7,000명

증가에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실업률은 3.4%로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시간당 임금은 전년동월대비 4.7% 상승해 전월 4.4% 상승을 웃돌 것으로 전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이 상승한 반면, 중국, 대만, 홍콩은 하락하는 등 대부분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18억, 8,200 억 순매도, 개인은 9,432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4,441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3,479계약, 502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2.9bp 상승한 3.855%,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9bp 상승한 3.720%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6틱 내린 103.14로 마감. 외국인이 13,653계약 순매도, 개

인, 금융투자, 투신은 5,363계약, 3,142계약, 2,594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59틱 내린 110.21로 마감. 외국인이 2,455계약 순매도,

금융투자, 은행은 1,286계약, 862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삼성SDI(-4.92%), NAVER(-4.03%), 카카오(-3.90%), LG화학(-3.38%), SK이노베이션(-3.34%),

SK하이닉스(-2.36%), 삼성바이오로직스(-2.14%), POSCO 홀딩스(-1.79%), 현대모비스(-1.15%),

LG에너지솔루션(-0.71%), 셀트리온(-0.71%), 삼성전자(-0.66%), 신한지주(-0.54%),

KB금융(-0.39%), 현대차(-0.11%) 등이 하락.

반면, LG전자(+2.71%), 기아(+1.68%), 포스코케미칼(+0.96%), 삼성물산(+0.27%)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하락.

화학(-2.59%), 철강금속(-2.46%), 서비스업(-2.37%), 의약품(-1.78%), 통신업(-1.61%),

의료정밀(-1.47%), 보험(-1.30%), 제조업(-1.25%), 전기전자(-1.07%), 금융업(-1.06%)

등이 큰 폭 하락.

반면, 섬유의복(+0.49%), 비금속광물(+0.36%), 기계(+0.35%) 업종만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431.91P(-31.44P/-1.28%)

코스닥 마감시황

3/8 KOSDAQ 813.95(-0.22%)

파월 Fed 의장 매파적 발언(-), 원/달러 환율 급등(-),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등에 큰 폭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09.14(-6.62P, -0.81%)로 하락 출발.

장초반 807.95(-7.81P, -0.96%)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오전 중 반등에

성공하며 817.17(+1.41P, +0.17%)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하락세로 돌아섰고

오후 장중 810선까지 밀려나기도 했지만, 일부 낙폭을 만회하며

결국 813.95(-1.81P, -0.22%)로 장을 마감.

파월 Fed 의장 매파적 발언 등 에 빅스텝 우려가 재부각된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음.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기관은 11거래일 연속 순매도. 다만, 개인이 3거래일 연속 순매수한 가운데,

일부 폐배터리/2차전지/리튬 관련주, 셀트리온 그룹주, 에스엠 등이 강세 흐름을 이어가면서 낙폭은 제한된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17억, 1,772억 순매도, 개인은 2,451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에코프로(+14.38%), 케어젠(+8.59%), 셀트리온제약(+8.25%), 에스엠(+5.88%), JYP Ent.(+2.70%),

셀트리온헬스케어(+1.75%), 에코프로비엠(+1.70%), 성일하이텍(+0.48%), 엘앤에프(+0.41%),

다우데이타(+0.32%) 등이 상승.

반면, HLB(-5.84%), 리노공업(-5.14%), 알테오젠(-3.48%), 카카오게임즈(-3.37%),

솔브레인(-3.02%), CJ ENM(-2.09%), 천보(-0.76%), 펄어비스(-0.35%),

스튜디오드래곤(-0.25%)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

종이/목재(-4.25%), 반도쳬(-1.92%), 소프트웨어(-1.87%), 컴퓨터서비스(-1.86%), 통신서비스(-1.69%),

통신장비(-1.58%), IT S/W & SVC(-1.50%), 인터넷(-1.44%), 비금속(-1.40%), 기계/장비(-1.34%),

IT H/W(-1.10%), 기타서비스(-1.09%), 디지털컨텐츠(-1.07%) 업종 등이 하락.

반면, 금융(+6.57%), 음식료/담배(+1.85%), 오락/문화(+1.25%), 출판/매체복제(+1.03%),

일반전기전자(+0.91%)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13.95P(-1.81P/-0.22%)

테마시황

상승테마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초안 공개 기대감 등에 폐배터리/ 일부 2차전지·리튬 테마 상승.

尹 대통령, 저출산 대책 마련 지시 소식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폴란드 민간 전력회사 2곳, 한수원과 협상 관련 특수목적기구(SPV) 설립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LG전자 튀봇(튀김로봇) 출시 기대감 등에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이 외에 미디어(방송/신문), 스마트카, 마이크로바이옴, 일부 사료, 일부 탈모 치료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하락테마

리비안, 1.7조원대 CB 발행 계획에 주가 급락 속 리비안(RIVIAN) 테마 하락.

국제유가 급락 영향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화학/ 조선 테마 하락.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등에 반도체/인터넷/IT 대표주 등 테마 하락.

中 양회 개최, 中 정부의 예상보다 낮은 성장률 전망치 발표에 따른 실망감 지속 등에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해운, 면세점,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화장품, 카지노 등

중국 소비 관련주들이 하락.

파월 의장매파적 발언 등에 원/달러 환율 급등, 국내 증시 하락 등에 증권 테마 하락.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충격 등에 비트코인 가격 하락 속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테마 하락.

이 외에 그래핀, MLCC, AI 챗봇(챗GPT 등), 제지, 웹툰, 음성인식, 애플페이, 자전거, 메타버스,

영화, 창투사, 드론, 마리화나(대마), NFT(대체불가토큰), STO(증권형 토큰 발행), NI(네트워크통합),

엔터테인먼트, 보톡스, 니켈, 우주항공산업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폐배터리/ 일부 2차전지·리튬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초안 공개 기대감 등에 상승

EU 집행위원회는 원자재 확보를 위한 중앙기관인 '유럽 핵심원자재위원회'(가칭)를 신설하는 내용 등

미국과 친환경 산업 육성 경쟁에 대응하고 중국의 광물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핵심원자재법(CRMA)

초안을 오는 14일(현지시간) 공개할 예정. 신설되는 기관은 회원국 간 조율을 통해 역내에서 최소

10%의원자재를 생산하고 원자재를 기반으로 필요한 전략물자 수요의 최소 40%가량을 역내에서

자체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외신에 따르면, 초안에는 핵심 원자재와 관련된 원자재 처리 공장 등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인허가를

간소화하는 절차도 포함됐으며, 이와 연계해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보조금 지급 규정 등 복잡한 승인

절차도 완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또한, EU에서 핵심 원자재 판매기업을 대상으로 탄소발자국 현황

공개도 요구하겠다는 구상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짐. EU 집행위는 초안에서 "관심이 있는 EU 구매자들의

수요를 집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 세계 판매업자들을 상대로 대신 협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유럽의핵심원자재법(CRMA) 초안에서 폐배터리 재활용 의무화가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점쳐지면서 에코프로, 코스모화학, 디에이테크놀로지, 케이피에스, 웰크론한텍 등 폐배터리 테마가 상승.

또한, 윤성에프앤씨, 탑머티리얼, 에이치와이티씨, 쎄노텍 등 일부 2차전지 및 리튬 테마도 수혜

기대감에 상승. 레몬은 자체 개발 나노섬유 지지체, 전고체 배터리 수명 약 7배 확장 소식 등에 이

틀 연속 상한가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尹 대통령, 저출산 대책 마련 지시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운영 방향에 대해

보고 받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감하고 확실한 저출산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짐. 윤 대통령은 조만간 직접 위원회를 주재해 저출산 및 고령화 관련 대책을 논의할 예정.

서울시는 이날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시 소득기준을 폐지하고 모든 난임부부에 시술비를 지원한다고 밝힘.

난자 냉동시술을 원하는 30~40세 여성에는 첫 시술비로 최대 200만원을 지원할 예정. 이는 초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가능한 자원을 최우선적으로 투입하겠다는오세훈 시장의 의지가 반영된 첫 대책으로

아이를 낳고 싶어하는 난임 인구에 대한 지원을 우선적으로 늘려 출산율을 높이겠다는 계획임.

국무조정실은 지난해 7∼8월에 이 연령대 청년 1만5,000명을 대상으로 '청년 삶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전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국무회의에서 보고했음. 조사 결과 미혼 청년은 향후 결혼계획에 대한

응답에 75.3%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남성은 79.8%, 여성은 69.7%가있다고 답변했음. 이어 출산

의향에서는 기혼자(자녀가 있는 경우 향후 추가 출산 여부)를 포함해 남성은 70.5%가 출산 의향이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꿈비, 메디앙스, 캐리소프트, 헝셩그룹, 제로투세븐, 아가방컴퍼니 등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가 상승. 한편, 태아 및 산모 관리용 의료기기 전문 기업인 비스토스도 시장에서 부각.

원자력발전

폴란드 민간 전력회사 2곳, 한수원과 협상 관련 특수목적기구(SPV) 설립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폴란드 민간 전력회사 2곳이 폴란드의 원자력발전소 건설과 관련,

한국수력원자력(KHNP, 한수원)과 협상할 특수목적기구(SPV)를 설립했다고전해짐. 폴란드전력공사인

PGE와 폴란드 민간 에너지기업 ZE PAK는 전일(현지시간) 계약 서명식을 갖고 한수원과 협력해

제3호 원자력 발전소를 짓기로 했으며, 이로써 한수원은 제3호 폴란드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알려짐.

폴란드 부총리 겸 국무장관자섹 사신(Jacek Sasin)은 이 자리에서 "폴란드 정부의 이니셔티브를

보완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소 공동 건설 프로젝트가 몇 달 전에 만들어졌다"며 이들 민간기업이

건설할 제3호 원전 건설 계획에 대해 밝힌 것으로 전해짐.

NH투자증권은 한전KPS에 대해 원전 수출 관련모멘텀이 부각되고 있다며, 목표주가를 상향했음.

올해 3월 신한울 3·4호기 본계약을 시작으로 올해 하반기 폴란드 원전 본계약, 국내 및

체코·영국·아랍에미리트(UAE)·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의 신규 원전건설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

이에 원전 수출 관련 모멘텀이 부각돼 주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지투파워, 한전KPS, 한전기술, 비에 이치아이, 서전기전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LG전자 튀봇(튀김로봇) 출시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근 LG전자가 특허청에 ‘튀봇’이라는 상표를 출원한 것으로 알려짐.

통상 상표 출원은 제품 출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단어를 선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뤄지면서

튀봇(튀김로봇) 출시 기대감이 시장에서 부각. 튀봇은 LG전자가 준비 중인 로봇 제품의 일종으로

LG전자가 튀봇 상표를 출원하면서 이를 활용하겠다고 예고한 지정상품 목록에는 ‘비가정용

전기식튀김기계’, ‘튀김기’ 등이 포함됐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엠로, 로보스타, LG전자 등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리비안(RIVIAN)

리비안, 1.7조원대 CB 발행 계획에 주가 급락 속 하락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 6일 리비안이 13억 달러(약 1조7,000억원) 규모의 녹색 전환사채를

2029년 만기로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것으로 전해짐. 회사 측은 이번 공모를 통해

확보하는 자금을 친환경 프로젝트과 2026년 출시 예정인 소형픽업트럭 R2 시리즈의 개발에 활용할 계획임.

이에 전환사채 발행으로 물량이 대거 유입돼 가치가 희석될 것이라는 불안감이 투자자들 사이에

번졌으며, 지난밤 리비안의 주가는 14.54% 급락하며 마감했음.

이 같은 소식에 씨아이에스, 에스코넥, 상신이디피, 대유에이텍 등 리비안(RIVIAN) 테마가 하락.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화학/ 조선

국제유가 급락 영향등에 하락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파월 Fed 의장 매파적 발언 등에급락했음.

파월 의장은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최근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최종적인 금리 수준이 이전 전망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라고 밝힘. 이어 "만약

전체적인 지표상 더 빠른 긴축이 필요하다면 우리는 금리 인상의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라고

덧붙임. 이에 시장에서는 다음 FOMC 회의에서 0.50% 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중국의 원유 수입이 감소한 점도 유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음.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중국의 1~2월

수입은 10.2% 감소했으며, 특히 원유와 천연가스 수입이 감소. ING의 분석가들은 중국에서 설 연휴를

앞두고 정유사들의 원유 매입 속도가 완화된 것은 원유 수입이 여전히 약하다는 신호라고 해석했음.

이와 관련, SK이노베이션, S-Oil, 중앙에너비스, 이수화학, SKC,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등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화학/ 조선 테마가 하락.

반도체/인터넷/IT 대표주 등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예상보다 강한 매파적 발언을 내놓으면서

3대 지수 모두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 파월 Fed 의장의 매파적 발언으로 금리 인상에 따른

밸류에이션 변화가 큰 기술주의 투자심리가 악화되는 모습. 파월 의장은 지난밤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최근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모두 강하다"면서 "이는 최종금리 수준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높아질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힘.

이에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美 국채 금리가 2007년 이후처음으로 5%대를 돌파한 가운데,

애플(-1.45%), 마이크로소프트(-1.06%), 아마존(-0.21%), 알파벳A(-1.34%), 메타(-0.21%) 등

美 주요 기술주가 하락.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리노공업, 하나마이크론, 덕산하이메탈, 동진쎄미켐 등

반도체 관련주, NAVER, 카카오, 삼성SDI 등 인터넷/IT 대표주 테마가 하락. 또한, 대표적인 성장주로

꼽히는 카카오게임즈, 밸로프, 엔씨소프트, 넷마블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도 하락.

당일 상승종목

레몬(+29.95%)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및 동사개발 나노섬유 지지체,

전고체 배터리 수명 약 7배 확장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경동인베스트(+29.92%)

자회사 경동, 지질연과 광산 공동개발 협약

체결 사실 재부각에 상한가

미래나노텍(+23.31%)

리튬 테마 상승 및 지난 1월말 포스코케미칼,

삼성SDI와 40조원 규모 전기차용 하이니켈계

NCA 양극소재 중장기 공급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소니드(+22.77%)

협력사 리사이클리코, 탄산리튬 대량 생산 성공 소식에 급등

꿈비(+20.29%)

尹 대통령, 저출산 대책 마련 지시 소식등에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 상승 속 급등

DB하이텍(+17.26%)

팹리스 사업부 물적 분할 결정 등에 급등

에코프로(+14.38%)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초안 공개 기대감 등에

폐배터리/일부 2차전지·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카나리아바이오(+13.29%)

바이오 유럽 스프링 참여 예정 속 오레고보맙

판권 계약 논의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고바이오랩(+12.95%)

자회사 위바이옴, '고업액상 글루타치온 1000'

NS홈쇼핑서 10번째 완판 달성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지투파워(+12.44%)

폴란드 민간 전력회사 2곳, 한수원과 협상 관련

특수목적기구(SPV) 설립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한국경제TV(+12.29%)

50억원 규모 자사주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속 급등

캐리소프트(+10.64%)

尹 대통령, 저출산 대책 마련 지시 소식 등에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 상승 속 급등

수젠텍(+9.49%)

12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추진에 급등

세종메디칼(+9.31%)

카나리아바이오 급등 속 카나리아바이오 2대주주로 부각 등에 급등

태경비케이(+9.27%)

음극재 중요성 대두 속 음극재 필수 소재

코크스 판매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올릭스(+9.17%)

국제학회서 탈모 치료제 최신

연구결과 최초 공개 소식에 급등

카이노스메드(+9.03%)

'KM-819' 다계통위축증

국내 임상2상 본격화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일성신약(+8.70%)

주식분할 및 배당 서프라이즈 모멘텀 지속에 강세

신성델타테크(+8.67%)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및 美에너지부,

라이사이클 5,000억 대출 지원 결정 소식 속

라이사이클 지분 보유 LG화학을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는 점이 지속 부각되며 강세

탑머티리얼(+8.38%)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692.63억원 규모

2차전지 시스템엔지니어링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디에이테크놀로지(+8.26%)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초안 공개 기대감 등에

폐배터리/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강세

셀트리온제약(+8.25%)

서정진 명예회장 경영 일선 복귀 모멘텀 지속 등에 강세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덕양산업+10.00%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4조원(전년대비 +14.37%),

영업이익 306.82억원(전년대비 +390.05%)

에스에너지+10.00%

환경부, RE100 기업 수상태양광 정책 논의 소식 및

지난밤 美 퍼스트솔라 주가 14년여 만에 최고치

기록 소식 등에 시간외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대명에너지+9.98%

환경부, RE100 기업 수상태양광 정책 논의 소식 및

지난밤 美 퍼스트솔라 주가 14년여 만에

최고치 기록 소식 등에 시간외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에쓰씨엔지니어링+9.95%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72.33억원(전년대비 +81.22%),

영업이익 56.03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한국경제TV+9.47%

50억원 규모 자사주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속 정규장 12.29% 급등

SDN+8.14%

환경부, RE100 기업 수상태양광 정책 논의 소식 및

지난밤 美 퍼스트솔라 주가 14년여 만에

최고치 기록 소식 등에 시간외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다믈멀티미디어+7.81%

장 마감 후 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 정정

(일정변경(납입일:2023-03-27 -> 2023-03-16)) 공시.

에스비비테크+7.47%

현대차, 코스닥 로봇 부품기업 지분 투자

방안 검토 소식에 시간외 관련주로 부각

KC코트렐+6.42%

환경부, RE100 기업 수상태양광 정책 논의 소식 및

지난밤 美 퍼스트솔라 주가 14년여 만에

최고치 기록 소식 등에 시간외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소니드+5.81%

협력사 리사이클리코, 탄산리튬 대량

생산 성공 소식에 정규장 22.77% 급등

현대에너지솔루션+5.36%

환경부, RE100 기업 수상태양광 정책 논의 소식 및

지난밤 美 퍼스트솔라 주가 14년여 만에

최고치 기록 소식 등에 시간외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신성이엔지+4.93%

환경부, RE100 기업 수상태양광 정책 논의 소식 및

지난밤 美 퍼스트솔라 주가 14년여 만에

최고치 기록 소식 등에 시간외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세종메디칼+3.94%

카나리아바이오 급등 속

카나리아바이오 2대주주로 부각 등에

정규장 9.31% 급등

에스피지+3.77%

현대차, 코스닥 로봇 부품기업 지분

투자 방안 검토 소식에 시간외 관련주로 부각

KC그린홀딩스+3.61%

환경부, RE100 기업 수상태양광 정책 논의 소식 및

지난밤 美 퍼스트솔라 주가 14년여 만에

최고치 기록 소식 등에 시간외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DL이앤씨+3.06%

장 마감 후 S-OIL과 1.41조원(최근 매출액대비 18.50%)

규모 공급계약(샤힌 프로젝트(SHAHEEN Project)

공사 PKG1) 체결 공시

탑머티리얼+2.83%

692.63억원(최근 매출액 대비 217.09%) 규모

2차전지 시스템엔지니어링 공급계약

체결에 정규장 8.38% 강세

금호석유+1.99%

장 마감 후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기간:2023-03-21~2023-09-20,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대신증권) 공시.

보통주 1주당 5,400원(시가배당율3.8%),

종류주 1주당 5,450원(시가배당율5.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AP시스템+1.95%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866.07억원

(전년대비 -7.96%), 영업이익 904.85억원(전년대비 +40.71%).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69.02억원

(전년동기대비 -21.40%), 영업이익 277.64억원(전년동기대비 +40.49%).

보통주 1주당 270원(시가배당율1.4%)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루닛+1.80%

싱가포르 최대 이미징센터에 AI 영상분석 솔루션 공급 기사

평화홀딩스+1.60%

자회사 평화오일씰공업(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2,660.43억원(전년대비 +6.73%),

영업이익 67.57억원(전년대비 +11.67%)

HSD엔진+1.37%

장 마감 후 89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4.99%)

규모 공급계약(LNGC 정비 계약) 체결 공시

하락종목

폴라리스오피스-1.15%

장 마감 후 조회공시 요구(현저한시황변동)에 대한

답변(중요정보 없음) 공시.

투자주의종목 지정 속 정규장 18.34% 급락

에코프로-1.35%

장 마감 후 [투자주의]스팸관여과다종목 공시

국일제지-1.61%

장 마감 후 [투자주의]단일계좌 거래량 상위종목 공시.

최우식 대표, 주식 양수도 계약 체결

논의 소식 속 정규장 28.81% 급락

스튜디오미르-1.63%

장 마감 후 204,750주

추가상장(주식매수선택권) 공시

에코프로에이치엔-1.66%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3거래일단일가매매) 지정 공시

코스모화학-1.72%

장 마감 후 투자경고종목 지정 공시

디알텍-1.73%

장 마감 후 839,160주(발행주식총수 대비 1.28%)

규모 전환청구권행사 공시

비케이홀딩스-1.79%

장 마감 후 [투자주의]스팸관여과다종목 공시

동국산업-2.66%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605.29억원(전년대비 +18.02%),

영업이익 11.77억원(전년대비 -96.62%)

SM C&C-3.07%

장 마감 후 주식등의 대량보유자(DREAM MAKER

ENTERTAINMENT LIMITED, 이의영) 소유주식수

변동(장내매도) 전자공시.

'SM 패밀리' 너도나도 과열…

빚투·공매도 모두 최대치로 급증 기사

금양-3.18%

장 마감 후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공시.

시간외 일부 리튬 테마 하락

하이드로리튬-4.42%

장 마감 후 [투자주의]스팸관여과다종목 공시.

시간외 일부 리튬 테마 하락

써니전자-8.23%

김기현, 국민의힘 새 대표 선출 소식에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안철수) 테마 하락

안랩-9.91%

김기현, 국민의힘 새 대표 선출 소식에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안철수) 테마 하락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 (목) 장마감  (0) 2023.03.09
3.9 (목) 장마감 분석  (0) 2023.03.09
3.8 (수) 장마감 분석  (0) 2023.03.08
3.7 (화) 장마감  (0) 2023.03.07
3.7 (화) 장마감 분석  (0) 2023.03.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