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2.24 (금) 장마감

by 장주공 2023. 2. 25.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2/24 KOSPI 2,423.61(-0.63%)

美 PCE 물가지표 경계감(-), 美/中 갈등(-),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저가 매수세 유입 속 엔비디아 급등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FOMC 의사록 소화 속 대부분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도 2,442.49(+3.40P, +0.14%)로 소폭 상승 출발.

장초반 소폭 상승세를 이어가던 지수는 오전 중 상승폭을 키워 2,452.97(+13.88P, +0.57%)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폭을 축소했고, 오전 장 후반 하락 전환해 낙폭을 키우는 모습.

오후 들어서도 낙폭을 키운 지수는 오후장중 2,421.47(-17.62P, -0.72%)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장후반 2,424선 부근에서 하락세를 이어가다 결국 2,423.61(-15.48P, -0.63%)로장을 마감.

이날 밤 美 개인소비지출(PCE) 발표를 앞두고 경계심이 커진 가운데, Fed 긴축 우려가 이어진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美/中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2,300계약 넘게 순매도.

지난 22일(현지시간) 발표된 FOMC 의사록이 매파적 기조를 보인 가운데,

24일 공개되는 1월 PCE 가격지수까지 시장예상을 웃돌 경우 Fed의 매파적인 행보가 한층 강화될 것이란

경계감이 커지는 모습.

시장에서는 1월 PCE 가격지수가 전년동월대비 4.3%, 전월대비 0.4%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최근 발표된 고용, 물가, 소비 관련 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웃돈 가운데, Fed가 선호하는 지표인 PCE 가격지수까지

시장 예상치를 넘어설 경우 긴축 경계감이 더 강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짐.

이에 원/달러 환율은 재차 상승하며 1,300원선을 넘어섰음.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7원 상승한 1,304.8원을 기록.

美/中 갈등도 지속되는 모습. 우크라이나 전쟁, 정찰풍선 사건 등을 둘러싸고 美中 갈등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대만 내 미군 병력을 대폭 확충하며 중국 견제에 나섰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 간) 美 국방부 소식통을 인용해 대만 주둔 미군이 1년 전 30여 명에서

100~200여 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보도했음.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1만51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183명, 사망자는 20명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이 상승한 반면, 중국, 대만, 홍콩 등은 하락하는 등 대부분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023억, 957억 순매도, 개인은 3,629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352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이 각각 1,187계약, 940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4.4bp 하락한 3.555%,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7.0bp 하락한 3.525%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전거래일 대비 16틱 오른 103.91로 마감. 금융투자, 외국인이 4,050계약, 958계약 순매수,

은행, 개인은 3,984계약, 2,082계약 순매도.

10년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61틱 오른 111.97로 마감. 은행이 1,058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1,329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POSCO홀딩스(-2.87%), NAVER(-2.58%), SK하이닉스(-1.83%), 기아(-1.44%), 현대차(-1.31%),

삼성전자(-1.13%), LG전자(-1.13%), 카카오(-1.12%), 포스코케미칼(-0.92%), SK이노베이션(-0.89%),

삼성바이오로직스(-0.76%), 삼성물산(-0.62%), 삼성SDI(-0.15%) 등이 하락.

반면, KB금융(+1.40%), LG에너지솔루션(+0.79%), 현대모비스(+0.69%), 신한지주(+0.26%),

셀트리온(+0.20%), LG화학(+0.15%)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하락 업종이 우세.

의료정밀(-2.37%), 철강금속(-2.35%), 건설업(-2.12%), 서비스업(-1.40%),

통신업(-1.15%)이 큰 폭으로 하락했고, 비금속광물(-0.91%), 전기전자(-0.86%), 제조업(-0.78%),

종이목재(-0.68%), 운수장비(-0.58%), 화학(-0.53%), 의약품(-0.47%), 음식료업(-0.42%) 등이 하락.

반면, 보험(+0.95%), 전기가스업(+0.70%), 섬유의복(+0.64%), 운수창고(+0.64%), 금융업(+0.38%),

증권(+0.36%) 업종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423.61P(-15.48P/-0.63%)

코스닥 마감시황

2/24 KOSDAQ 778.88(-0.56%)

美 PCE 물가지표 경계감(-), 美/中 갈등(-),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엔비디아 급등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84.94(+1.66P, +0.21%)로 소폭 상승 출발.

장초반 786.09(+2.81P, +0.3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 축소.

오전 중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774.21(-9.07P, -1.16%)에서 저점을 형성.

장후반 일부 낙폭을 만회한 지수는 결국 778.88(-4.40P, -0.56%)로 장을 마감.

美 PCE 물가지표 경계감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과 기관은 4거래일 연속 동반 순매도를 기록. 美/中 갈등은 지속되고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

특히,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졌고, 엔비디아 급등 속 장초반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던

반도체 종목들도 대부분 하락 전환하는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89억, 669억 순매도, 개인은 1,61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케어젠(-5.18%), HLB(-4.96%), 에스엠(-4.20%), 알테오젠(-2.80%), 오스템임플란트(-2.49%),

CJ ENM(-2.08%), 펄어비스(-2.07%), 리노공업(-1.83%), 동진쎄미켐(-1.65%), 카카오게임즈(-1.56%),

셀트리온제약(-1.36%), 셀트리온헬스케어(-0.90%), JYP Ent.(-0.52%), 에코프로(-0.21%) 등이 하락.

반면, 엘앤에프(+3.08%), 에코프로비엠(+2.64%), 다우데이타(+1.28%), 위메이드(+0.89%), 천보(+0.86%)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비금속(-2.58%), 제약(-2.20%) 업종의 약세가 두드러졌으며, 통신장비(-1.79%), 건설(-1.50%),

정보기기(-1.43%), 오락/문화(-1.39%), 섬유/의류(-1.31%), 기타서비스(-1.21%), 기계/장비(-1.05%),

방송서비스(-1.04%), 운송장비/부품(-1.02%), 디지털컨텐츠(-0.95%), 종이/목재(-0.88%),

의료/정밀 기기(-0.83%)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소프트웨어(+1.67%), 통신서비스(+1.63%), 컴퓨터서비스(+1.56%),일반전기전자(+1.05%),

IT 부품(+0.52%), 인터넷(+0.51%) 등 일부 업종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78.88P(-4.40P/-0.56%)

테마시황

상승테마

챗GPT 열풍 지속 등에 AI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대통령실, 육아 재택근무 등 저출산 종합대책 공개 소식 등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상승.

손해보험사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등에 손해보험 테마 상승.

애플페이 출시 기대감 및 KT 스마트로,애플페이 결제 가능한

‘프리페이’ 출시 소식 등에 애플페이 테마 상승.

K-콘텐츠, 국가 전략산업 육성 소식 등에 일부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국내 배터리 업계, 리튬/니켈 등 소재 원료 확보에 사활 소식 속

일부 리튬 관련주, 니켈 관련주 상승.

尹대통령, 24시간 소아전문상담·비대면 영상시스템 구축 언급 모멘텀 지속에

일부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상승.

삼성전자, XR 조직 가동 속 신제품 양산 및 정부, 메타버스 고급 인재 양성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메타버스(Metaverse)/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테마 상승.

이 외에 모바일솔루션, 마이데이터, NI(네트워크통합), 음성인식, 인터넷은행, 생명보험,

핀테크, 리츠(REITs), NFT, 항공/ 저가 항공사, 의료기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아파트 입주율 부진에 따른 건설사 영업현금흐름 악화 우려 등에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테마 하락.

경제 불확실성 및 긴축 우려 속 비트코인 가격 하락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하락.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감소세 지속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하락.

에스엠-카카오와 계약 논란 등에 에스엠 하락 속 엔터테인먼트 테마 하락.

제대혈, 치매, mRNA, 면역항암제,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 하락.

이 외에 철강 주요종목, 우크라이나 재건,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해저터널, 마리화나(대마),

사료, 두나무 관련주, 강관업체, 인터넷 대표주, 남-북-러 가스관, 전기차(충전소/충전기), 모듈러주택,

스마트홈, 원자력발전, 출산장려정책, 탈모 치료 관련주, UAM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챗GPT 열풍 지속 등에 상승

챗GPT 등장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등 AI 챗봇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엔비디아의

AI용 칩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지난밤 엔비디아는 시장 예상을 웃도는 실적 발표와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투자등급 상향으로 14% 이상 폭등한 236.64달러로 마감했음.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챗GPT가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면서 사람들이 AI를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해주며, 생성 AI로 무엇이 가능한지를

보여준다"며, "모든 사람을 위한 하나의 AI 모델은 없고 이것이 바로 우리가 업계에서 큰 가치가 있는 부분이다"라고 언급.

언론에 따르면, 반도체 수요 절벽 속에서도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 신드롬이 일면서 막대한 현금을

쌓아놓은 반도체 공룡들이 AI 스타트업 인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올해 최소 두 개 이상의 AI 반도체 스타트업이대형 기업으로 매각될 것이라고 관측하면서, 가장 많은 자금을 지원받는

AI 칩 스타트업들은 시장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와 비슷한 수준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며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대형 반도체 기업으로의 매각일 것이라고 분석.

또한, 문체부, K-챗GPT 개발 추진 모멘텀이 지속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2일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변화에 따른 문화·제도·산업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3개의 워킹그룹을 발족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브리지텍, 코난테크놀로지, 셀바스AI, 이수페타시스, 딥노이드, 제이엘케이, 알체라 등 AI 챗봇

(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0일 전국 공공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디지털 의료서비스의 도입과 활용을 지원하는 'AI기반 의료시스템 디지털 전환 지원 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힌 가운데, 스마트 헬스케어 전문기업인 셀바스헬스케어도 관련주로 부각.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대통령실, 육아 재택근무 등 저출산 종합대책 공개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0.78명)를 기록한 가운데 대통령실이 3월 중 저출생 종합

대책을 발표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짐. 특히,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육아 재택근무 보장’ 등의 다양한 재택근무

활성화 제도가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정부가 16년간 약 280조 원의 저출생

대응 예산을 쏟아부었음에도 출생아 수가 10년 전 절반 수준인 25만 명 아래로 떨어진 데에는 일·가정양립을

어렵게 하는 경직된 노동 환경이 자리한다는 판단에서임.

한편, 윤석열 대통령도 대선 후보 시절 유연근무제 보장을 공약하며 “육아 재택을 허용한 기업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이라고 말한 바 있음.

이와 관련 이씨에스, 소프트캠프, 링네트, 알서포트 등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가 상승.

손해보험

손해보험사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등에상승

유안타증권은 DB손해보험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이익은 1,642억원으로 당사 추정치 1,420억원과 컨센서스

1,387억원을 크게 상회했다고 밝힘. 이는 손해율이 모든 부문에서 예상보다 뛰어났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현대해상에 대해4분기 이익은 824억원으로 당사 추정치 702억원과 컨센서스 671억원을 상회했다고 밝힘.

이는 모든 부문에 걸쳐 손해율이 양호했고 사업비율과 투자영업이익은 추정치에 부합했기 때문으로 분석.

전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KB손해보험 등 대형 손해보험사 5곳의 지난해

순이익이 총 4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전해짐. 실손의료보험과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개선되면서 각사가 일제히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특히 삼성화재, DB손보,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KB손보의 지난해 당기 순이익 합산액은

총 4조1,089억원으로 집계됐음. 상위 5개 손해보험사의 순이익 합산이 4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임.

이 같은 소식에 한화손해보험, 현대해상, DB손해보험 등 손해보험 테마가 상승.

애플페이

애플페이 출시 기대감 및 KT 스마트로, 애플페이 결제 가능한 ‘프리페이’ 출시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애플(Apple) 간편결제 시스템인 ‘애플페이’ 서비스의 국내 출시가 확정된 가운데, 이르면 다음달 초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특히, 애플은 지난 2015년부터애플페이의 국내 출시를 추진했으나 카드 수수료,

근거리무선통신 단말기(NFC) 보급 및 설치 등의 문제로 불발된 후 약 9년만에 애플페이 국내 출시를 공식화했으며,

카드가 내장된 휴대전화 또는 카드를 단말기에 갖다 대면 결제가 이뤄지는 방법으로 국내 카드사 중에는 현대카드가

가장 먼저 뛰어들며 점차 확대돼 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한편, KT 금융·통신 계열사 스마트로는 언론을 통해 중소상공인도 애플페이를 결제할 수 있는 ‘프리페이’ 앱을 VAN사

최초로 개발해 출시했다고 밝힘. 스마트로는 스마트폰을 애플페이 결제기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페이 어플리케이션을

VAN사 최초로 개발 무료로 제공하며, 프리페이 서비스를 통해 중소상공인들은 고가의 단말기 교체 비용 없이 아이폰

사용자의 결제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고, 애플페이 결제도 더욱 편리해 질 것이라고 스마트로 측은 설명.

이와 관련 하인크코리아, 한국정보통신, 나이스정보통신 등 애플페이 테마가 상승.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아파트입주율 부진에 따른 건설사 영업현금흐름 악화 우려 등에 하락

신한투자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전국 기준 66.6%, 수도권 75.2%(서울 79%),

광역시 65.8%으로 2022년 상반기 전국 83.0%, 수도권 88.8%(서울 93.2%)에 비하면 하락폭이 가파르다고 언급.

이와 관련, 최근의 미입주 사태는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입주 포기라기 보다는 기존주택 처리 지연에 따른 입주

지연 때문으로 분석.

이러한 미입주에 따른 건설사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매출채권/공사미수금 회수 지연에 따른 영업현금흐름 악화,

중장기적으로는 미회수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설정(실적 훼손)이라고 설명. 현재로서 미회수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설정(실적 훼손)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올해 건설사들의 영업현금흐름 개선 시기는 일부 늦어질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에 GS건설, DL이앤씨, 현대건설, 우원개발, 삼부토건 등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테마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셀바스헬스케어(+29.84%)

챗GPT 열풍 속 정부 의료 AI 시스템 사업 확대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에프앤리퍼블릭(+30.00%)

최대주주 변경 속 상한가

브리지텍(+29.93%)

챗GPT 열풍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MDS테크(+29.64%)

챗GPT 열풍 지속 속 엔비디아 국내 공식 파트너사로 부각되며 급등

뷰노(+25.60%)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유럽영상의학회서

뷰노메드 솔루션 전시 및 국내외 제품 활용 사례 공개 기대감 지속에 급등

딥노이드(+23.99%)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메디허브와 AI 업무협약 체결 소식 등에 급등

라이프시맨틱스(+23.60%)

비대면 진료 상담 시스템 구축 추진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속 종합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으로 도약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코난테크놀로지(+22.57%)

챗GPT 열풍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모비스(+19.50%)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및 인공태양 상용화

기대감 속 핵융합 사업 부각 등에 급등

아이티아이즈(+19.05%)

엔비디아 호실적 발표 속 엔비디아 파트너 기업으로 부각 및

AI, 빅데이터 사업 추진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제이엘케이(+17.77%)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비대면 진료 상담

시스템 구축 추진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이수페타시스(+15.87%)

챗GPT 열풍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이씨에스(+14.14%)

대통령실, 육아 재택근무 등 저출산 종합대책 공개 소식 등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상승 속 급등

선익시스템(+13.84%)

지난해 영업이익 흑자전환 등에 급등

케이아이엔엑스(+13.40%)

챗GPT·메타버스 부각에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소프트캠프(+10.89%)

대통령실, 육아 재택근무 등 저출산 종합대책 공개 소식 등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상승 속 급등

링네트(+10.84%)

대통령실, 육아 재택근무 등 저출산 종합대책 공개 소식 등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윈(+10.35%)

챗GPT 열풍 지속 등에 AI 음성인식 솔루션 기술 부각 속 급등

알체라(+9.78%)

챗GPT 열풍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폴라리스오피스(+9.07%)

지난해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및 셀바스헬스케어,

정부 '의료 AI 시스템' 사업 확대 수혜 기대감에 따른

주가 급등 속 2대주주인 점이 지속 부각되며 급등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코리아에프티 +10.00%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615.12억원(전년대비 +20.58%),

영업이익 199.18억원(전년대비 +109.82%).

보통주 1주당 80원(시가배당율3.1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선익시스템 +6.08%

지난해 영업이익 흑자전환 등에 정규장 13.84% 급등

솔트룩스 +4.17%

지난해 매출 303억 '역대 최대'…

"AI 외부투자 성과도 기대" 기사

휴맥스홀딩스 +4.06%

시간외 휴맥스그룹주 상승

하인크코리아 +2.99%

애플페이 출시 기대감 및 KT 스마트로,

애플페이 결제 가능한 ‘프리페이’ 출시 소식 등에

애플페이 테마 상승 속 정규장 9.86% 급등

뉴프렉스 +2.88%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연결기준 매출액 2,594.97억원(전년대비 +51.16%),

영업이익 163.70억원(전년대비 +965.77%)

영림원소프트랩 +2.30%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국립공원공단과

ESG경영 위한 업무협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정규장 4.64% 상승

코오롱글로벌 +2.13%

장중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60조원(전년대비 -4.67%),

영업이익 1,663.99억원(전년대비 -10.95%).

보통주 1주당 300원(시가배당율1.54%), 종류주 1주당 350원

(시가배당율0.9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지난해 매출·당기순익 역대 최대 기사

 

중앙에너비스 +1.93%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16.20억원(전년대비 +17.96%),

영업이익 8.11억원(전년대비 +2,038.86%)

후성 (093370) ( +1.65%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278.56억원(전년대비 +64.68%),

영업이익 1,065.15억원(전년대비 +83.20%)

하락종목

자비스 -9.89%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6,500,000주(120.25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공시.

소프트캠프 -5.13%

시간외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하락

이씨에스 -5.13%

시간외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하락

링네트 -3.71%

시간외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하락

알서포트 -3.65%

시간외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하락

뉴로메카 -3.52%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7.54억원(전년대비 +32.69%),

영업손실 70.88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옵티코어 -3.34%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3.18억원(전년대비 -27.08%),

영업손실 20.73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66.60억원

(자기자본대비 28.72%)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아이티아이즈 -2.93%

장 마감 후 [투자주의]스팸관여과다종목 공시

에이디테크놀로지 -2.31%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단일가매매) 지정 공시

한국가스공사 -2.24%

장 마감 후 작년 순익 55% 늘어난 1조4970억…

미수금 8.6조 여파 무배당 결정 기사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7 (월) 장마감  (0) 2023.02.27
2.27 (월) 장마감 분석  (0) 2023.02.27
2.24 (금) 장마감 분석  (0) 2023.02.24
2.23 (목) 장마감  (0) 2023.02.23
2.23 (목) 장마감 분석  (0) 2023.02.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