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4.21 (월) 장마감

by 장주공 2025. 4. 21.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4/21 KOSPI 2,488.42(+0.20%)

韓/美 관세 협상 관망 속 개인/기관 순매수(+),

외국인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와 유럽 주요국 증시가 성 금요일(Good Friday)로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피지수는 2,486.38(+2.96P, +0.12%)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약보합세로 돌아선 지수는 2,480선을 하회하기도 했지만, 반등에 성공한 뒤 상승폭을 키워 2,498.84(+15.42P, +0.6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전 중 상승폭을 줄여 2,480선

초중반대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오후 들어 재차 하락세로 돌아섰고 2,479.23

(-4.19P, -0.1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내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장 마감까지

상승폭을 다소 키워 결국 2,488.42(+5.00P, +0.20%)로 장을 마감.

이번주로 예정된 韓/美 관세 협상을 앞두고 관망 심리가 짙어진 가운데 코스피지수는 소폭 상승.

개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개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기관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반면, 외국인은 7거래일 연속 순매도.

4월 반도체 수출 호조, 올 해 메모리 수급 개선 전망, 반도체 관세 완화 기대감 등에

삼성전자(+0.18%), SK하이닉스(+0.91%), 한미반도체(+2.60%) 등 반도체관련주가 상승.

신한지주(+2.20%), 하나금융지주(+1.53%) 등 은행, 한화손해보험(+1.41%) 등 보험,

미래에셋증권(+4.79%) 등 증권 등 금융주도 상승했고,

기아(+0.80%), 현대차(+0.05%), 현대모비스(+0.21%) 등 자동차 대표주도 소폭 상승.

한국전력(+4.12%)은 호실적 및 배당 기대감 등에 상승세를 이어가며 52주 신고가를 기록.

반면, 삼성중공업(-3.65%), HD현대미포(-3.13%), HD현대중공업(-2.09%) 등 조선주가

美, 中 해운사·중국산 선박에 美 입항 수수료 부과 결정 관련 엇갈린 분석 속 하락.

LG에너지솔루션(-1.63%), 삼성SDI(-1.22%), 포스코퓨처엠(-1.74%)

등 2차전지 관련주가 업황 부진 지속 속 하락.

韓/美 관세 협상을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지고 있음.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韓/美 양 국 간 첫 번째 관세협상은 우리시간으로 24일 오후 9시(현지시간 오전 8시)로 예정되어 있으며, 최상목 부총리와 안덕근장관이 美 베센트 재무장관·그리어 美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이른바 '2+2 통상협의'를 개최할 예정. 아울러 2+2 통상협의에 이어 양국 통상장관끼리 개별 협의도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에 앞서 비관세 장벽을 지속적으로 문제 삼아온 점을 감안해, 향후 미국과의 협의 과정에서 관련 오해를 하나씩 해소해 나간다는 방침으로, 특히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에 부과된 25% 품목별 관세와 90일 간 유예된 상호관세(25%)를 인하하거나 유예하는 것을 이번 협상의 일차적인 목표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관세청에 따르 면, 4월1∼20일까지 수출액은 339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2%(18억7,000만 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특히, 美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영향이 본격화하며 대미 수출액은 61억8,2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4.3% 급감했음. 승용차 수출액이 36억6,800만달러로 6.5% 줄었으며,

철강 제품 수출액도 8.7% 감소했음. 이 밖에 석유제품(-22%), 선박(-9.1%), 컴퓨터주변기기기(-23.3%), 가전제품(-29.9%) 등의 수출이 감소.

다만, 주요 10대 수출 품목 중 반도체만 유일하게 전년보다 수출이 10.7% 증가했음.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홍콩이 휴장한 가운데, 일본, 대만이 하락한 반면, 중국은 상승.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5원 하락한 1,419.1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864억, 233억 순매수, 외국인은 2,883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기관이 524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28계약, 280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3.1bp 하락한 2.331%,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8bp 하락한 2.602%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1틱 오른 107.72로 마감. 외국인이 12,766계약 순매수, 은행, 금융투자, 투신은 5,929계약, 3,062계약, 2,146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1틱 오른 121.06으로 마감. 외국인이 2,451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337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메리츠금융지주(+2.88%), 신한지주(+2.20%), 삼성바이오로직스(+2.19%), SK하이닉스(+0.91%), 기아(+0.80%), KB금융(+0.49%), 한화에어로스페이스(+0.24%), 현대모비스(+0.21%),

삼성전자(+0.18%), 삼성물산(+0.09%), 현대차(+0.05%) 등이 상승.

반면, HD현대중공업(-2.09%), LG에너지솔루션(-1.63%), POSCO홀딩스(-0.79%),

한화오션(-0.64%), 크래프톤(-0.39%), 카카오(-0.26%) 등은 하락. 셀트리온, NAVER는 보합.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전기/가스(+3.45%), 비금속(+2.94%), 증권(+2.86%), 종이/목재(+2.07%), 제약(+1.23%), 금융(+0.93%), 섬유/의류(+0.88%), 통신(+0.85%), 보험(+0.74%), 의료/정밀기기(+0.62%), 부동산(+0.60%), 음식료/담배(+0.22%), 기계/장비(+0.20%)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운송/창고(-1.71%), 일반서비스(-0.88%), 운송장비/부품(-0.53%), IT 서비스(-0.14%)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88.42(+5.00P/+0.20%)

코스닥 마감시황

4/21 KOSDAQ 715.45(-0.32%)

韓/美 관세 협상 관망 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개인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성 금요일(Good Friday)로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17.25(-0.52P, -0.07%)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낙폭을 키우기도 했던 지수는 이내 반등에 성공하며 722.18(+4.41P, +0.6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점차 상승폭을 축소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던 지수는 오전 장 후반 하락세로

방향을 잡은 뒤 낙폭을 키워 오후 장중 714.05(-3.72P, -0.52%)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715선 부근에서 하락세를 이어가다 결국 715.45(-2.32P, -0.32%)로 장을 마감.

韓/美 관세 협상을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진 가운데,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코스닥 지수는 하락.

외국인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개인은 2거래일 연속 순매수.

삼천당제약(-6.05%), 코오롱티슈진(-4.29%), 펩트론(-3.11%), HLB(-2.73%),

리가켐바이오(-2.29%), 보로노이(-2.21%) 등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하락.

에코프로비엠(-1.66%), 에코프로(-1.25%), 엔켐(-3.58%) 등 2차전지,

와이지엔터테인먼트(-4.04%), 에스엠(-2.41%), JYP Ent.(-1.26%) 등 엔터주 들도 하락.

반면, 파크시스템스(+5.01%), 동진쎄미켐(+6.14%), 주성엔지니어링(+2.71%)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했고, 엑스페릭스(+30.00%), 팬스타엔터프라이즈(+29.96%), 토마토시스템(+12.83%)

등 퓨리오사AI 관련주 및 컴퍼니케이(+30.00%), LB인베스트먼트(+29.86%), 나우IB(+29.76%), SV인베스트먼트(+24.93%) 등 창투사 관련주가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57억, 635억 순매도, 개인 은 1,961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삼천당제약(-6.05%), 코오롱티슈진(-4.29%),펩트론(-3.11%), HLB(-2.73%), 에스엠(-2.41%), 리가켐바이오(-2.29%), 실리콘투(-2.22%), 보로노이(-2.21%), 에코프로비엠(-1.66%), 알테오젠(-1.65%), 파마리서치(-1.50%), JYP Ent.(-1.26%), 에코프로(-1.25%) 등이 하락. 반면, 휴젤(+4.56%), 레인보우로보틱스(+1.43%), 클래시스(+0.32%), 에이비엘바이오(+0.31%), 펄어비스(+0.15%) 등은 상승. 셀트리온제약은 보합.

업종별로도 하락 업종이 우세. 금속(-2.07%), 오락/문화(-1.59%), 출판/매체복제(-1.14%), 제약(-0.99%), 일반서비스(-0.73%), 섬유/의류(-0.59%), 건설(-0.59%), 유통(-0.47%), 운송/ 창고(-0.45%), 운송장 비/부품(-0.33%), IT 서비스(-0.28%), 제조(-0.27%) 업종 등이 하락. 반면, 통신(+3.65%), 비금속(+1.98%), 금융(+1.29%), 기타제조(+1.29%), 음식료/담배(+0.77%), 의료/정밀기기(+0.59%), 화학(+0.07%)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15.45P(-2.32P/-0.32%)

테마시황

상승테마

4월 반도체 수출 호조, 올해 메모리 수급 개선 전망, 반도체 관세 완화 기대감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등 반도체 관련주 상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 늘리겠다" 언급 속

모험자본 육성 기대감 등에 창투사 테마 상승.

퓨리오사AI, 자금 조달 규모 확대 및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모멘텀

지속 등에 퓨리오사AI 테마 상승.

STO(토큰증권 발행) 법제화 기대감 지속 등에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지속 등에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상승.

아울러 일부 시멘트/레미콘, 건설 중소형 테마도 동반 상승.

美 희토류 자립 움직임 속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상법개정안 재추진 등 자본시장 저평가 해소를 통한

코스피 5000 시대 언급 소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일라이 릴리, 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Orforglipron)' 임상 3상시험 통과

모멘텀 지속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대선 후보들 잇단 AI 정책 발표에 대한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의료AI 등 일부 AI 관련주 상승.

저출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 지속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美,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한 반덤핑(AD)·상계관세(CVD) 부과 모멘텀 지속 속

국내 태양광업체 실적 회복세본격화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김문수 대선 예비후보, "GTX 전국 확대 및 5대 광역권 급행철도망 추진" 발언

등에 일부 철도/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테마 상승.

이 외 4대강 복원, 콜드체인(저온 유통), 모더나(MODERNA), 마이데이터, 야놀자(Yanolja), 2차전지(LFP/ 리튬인산철), 사료, DMZ 평화공원, 비료, 골판지 제조, 애플페이, 캐릭터상품, 생명보험, 마리화나(대마), 태풍및 장마, 페인트, 제지, 편의점, 타이어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美, 中 해운사·중국산 선박에 美 입항 수수료 부과 결정 관련 엇갈린 분석 속 조선/ 조선기자재/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 하락.

전기차 및 배터리 업황 부진 여파 지속 등에 2 차전지/전기차 테마 하락.

이 외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밥솥,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윤활유, 국내 상장 중국기업, 남-북-러 가스관사업, LPG(액화석유가스), 전기차(충전소/충전기),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도체 관련주

4월 반도체 수출 호조, 올해 메모리 수급 개선 전망, 반도체 관세 완화 기대감 등에 상승

관세청에 따르면, 4월1~20일 수출액이 339억달러를 기록해 전년동월대비 5.2% 감소했지만,

주요 10개 수출품 중 반도체 수출액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음.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동 월대비 10.7%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음.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메모리 수급은 관세 불확실성에도 지난해와 달리 하반기까지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 이는 올 연말까지 DRAM, NAND 공급축소 효과가 이어지며 2025년 메모리 수요 증가율이 공급 증가율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언급. 2025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RAM 생산 증가율은 +10%, NAND 생산 증가율은 +4% 수준으로 추정되 어 수요 증가율을 크게 못 미칠 것으로 추정. 특히, NAND의 경우 싱글 스택에서 더블 스택, 트리플 스택 등으로 전환 추진이 가속화되고 있어 이에 따른 장비 교체 및 생산량 축소가 예상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보여 올 연말까지 NAND 수급 개선 폭은 DRAM 대비 더욱 커질 전망이라고 밝힘.

아울러 현지시간으로 4월24~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재무·통상 장관이 동시에 참여하는 ‘2+2’ 고위급 협의가 열릴 예정인 가운데,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 무역 불균형 해소와 비관세 장벽 개선을 포함한 종합적인 제안을 제시할 방침임. 특히,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의 관세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핵심 목표임.

이 같은 소식 속 파크시스템스, 원익홀딩스, 에이직랜드, 아이텍, 시지트로닉스, 마 이크로투나노, 타이거일렉, 동진쎄미켐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특히, 마이크로투나노는 SK하이닉스 HBM용 프로브카드 퀄테스트 통과 소식 도 호재로 작용했으며, 에이직랜드는 퓨리오사AI와 광주 AI 사업에 참여중인 점,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퓨리오사AI 등과 HBM 관련 국책과제를 주관한 이력이 부각되는 모습.

창투사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 늘리겠다" 언급 속 모험자본 육성 기대감 등에 상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 선후보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과감한 투자와 초격차의 압도적 기술만이 세계를 주도할 수 있다"며, "과학기술 R&D 예산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언급. 이어 "인공지능(AI),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백신, 수소, 미래차 등 국가전략기술 미래 분야를 키우는 데 집중하겠다"고 설명했음. 아울러 이 후보는 금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를 찾아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과 국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면서, 모험자본 육성에대한 기대감이 커진 점 등도 VC주에 수혜로 작용하는 모습.

아울러 최근 이 후보가 퓨리오사AI를 방문한 가운 데, 이에 따른 모멘텀도 지속되고 있음.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는 최근 퓨리오사 AI를 방문해 백준호 대표, 구본철·이주윤 연구원 등과 약 40분간 비공개 간담회를 진행했으며, 연구개발(R&D) 투자와 인재 육성 방안을 논의한 바 있음.

또한, 이날 국민의힘도 제58회 과학의 날을 맞이해과학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아낌없는 투자와 과감한 정책 마련에 힘쓰겠다고 언급했음. 이와 관련,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 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과학기술이 국가경쟁력의 핵심 원천이라는 확신으로 이전보다 더욱 과감하고 치열한 정책과 아낌없는 투자가 필요하 다"며, "기초 연구 지원 강화와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양과 질 향상, 연구개발(R&D) 집중 투자 등을 통해 과학기술 발전에 사활을 걸어주길 정부에 요청한다"고 언급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컴퍼니케이, LB인베스트먼트, 나우IB, SV인베스트먼트, 캡스톤파트너스 등 창투사 테마가 상승.

퓨리오사AI

퓨리오사AI, 자금 조달 규모 확대 및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모멘텀 지속 등에상승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퓨리오사AI는 최근 시리즈C브릿지 라운드 투자유치 규모를 최대 900억원으로 올려 잡았다고 전해짐. 현재 퓨리오사AI 기업가치는 투자유치 전 기업가치 기준 8,300억원으로 책정됐으며, 900억원 규모 투자유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투자 후 기업가치는 9,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퓨리오사AI를 방문한 가운데, 이에 따른 모멘텀도 지속되고 있음.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는 퓨리오사 AI를 방문해 백준호 대표, 구본철·이주윤 연구원 등과 약 40분간 비공개 간담회를 진행했으며, 연구개발(R&D) 투자와 인재 육성 방안을 논의 한 바 있음.

한편, 지난 18일 팬스타엔터프라이즈와 퓨리오사AI는 지난 15일 군 관계자 및 관련 기업들과 함께 신경망처리장치(NPU) 기반 AI 솔루션 기술설명회를 열었다고 밝힘. 이번 행사는 팬스타엔터프라이즈와 퓨리오사AI가 지난해 4월 체결한 방위산업 공동 진출 협력 방안의 하나로 마련됐으며, 설명회에서는 퓨리오사AI의 대표 제품인 AI 추론용 NPU '레니게이드'(RNGD)와 이미 지 및 영상 분석 등에 특화된 '워보이'(WARBOY)가 중점적으로 소개됐음.

이 같은 소식 속 엑스페릭스, 팬스타엔터프라이즈, 나우IB, 토마토시스템 등 퓨리오사AI 테마가 상승.

STO(토큰증권 발행)

STO(토큰증권 발행) 법제화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가 금일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과의 간담회를 예고한 가운데, STO(토큰증권)에 대한 제도적 정비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음. 언론에 따르면, 이 예비후보와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과의 간담회에서는 상 법개정안, 밸류업 등 국내 증권시장 현안외에 STO 등 윤석열 정부에서 입법화되지 못한 블록체인 기반 신성장 사업에 대한 논의도 포함될 것 으로 전해짐.

아울러 서강대 김용진 경영학부 교수가 이 전 대표의 싱크탱크에 합류했다고 알려짐. 김 교수는 17일에 출범한 이 전 대표의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에 성장전략분과 부위원장으로 영입됐으며, 지난 2월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의원과 함께 STO 간담회를 주최한 바 있음. 특히, 김 교수는 디지털 금융 경제 정책분야에서 정책 자문을 맡아 STO 시장 활성화와 정책안 마련에 힘쓸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아이티아이즈, 유라클, 아이티센, 뱅크웨어글로벌, 유진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가 상승.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이재명 후보를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들이 행정수도 이전을 예고한 데 이어,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등도 여의도 국회 시대를 끝내겠다고 밝히며 세종시 이전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이재명 후보는 최근 "충청은 국토의 중심이자 수도권과 남부권을 잇는 전략의 요충지"라며 "대선에서 승리하면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건립하겠다"고 밝힌 바 있음.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국회의 세종 이전을 약속하면서 "여의도 국회의사당 국민 환원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힘. "이와 함께 세종 대통령 제2 집무실 건립 속도를 더욱 높이겠다"며 "그동안 법률과 예산으로 이를 뒷받침해 왔으며 향후 대통령 집무실 세종 완전 이전까지 염두에 두고 여러 가지를 준비해왔다"고 언급. 또한, 개혁신당 이준 석 대선 후보는 "대통령이 되면 취임 이후 바로 세종시에 의사당과 대통령 집무실을 설치하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계룡건설, 대주산업, 성신양회 등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가 상승.

아울러 모헨즈, 유진기업, 삼호개발, 대원 등 일부 시멘트/레미콘, 건설 중소형 테마도 동반 상승.

희귀금속(희토류 등)

美 희토류 자립 움직임 속 상승

최근 중국 정부가 희토류를 관세전쟁의 무기로 사용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 중심의 희토류 공급 망 탈피를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내 희토류채굴과 공급망 구축을 강력하게 지원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3월 미국에 상장한 희토류 기업 USA레어어스의 조슈아 밸러드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 해 “우리는 미국 내에서 완전한 영구자석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며, “2026년 초반 영구자석을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어 “한국에는 훌륭한 가공 기술과 금속 기술이 많아 훌륭한 파트너를 찾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며, “미국과 한국 사이에 좋은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전략적 투자를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동국알앤에스, 노바텍, 유니온, 삼화전자 등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가 상승.

조선 등

美, 中 해운사·중국산 선박에 美 입항 수수료부과 결정 관련 엇갈린 분석 속 하락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기존 발표안보다 완화됐다는 의견과 완화는 오해라는 분석이 나오며, 미국의 최종 규제안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는 모습.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기존 계획안보다 부과할 입항료가 작기 때문에 USTR 규제가 순하다고 평가. 당초 미국은 순 톤수 당 최대 1천달러까지 중국 선주가 기항할 때마다 입항료를 부과하려 했지만, 완화안은 항차 기준으로 순 톤수당 50달러로 시작해 2028년 4월 140달러로 올리고, 연 최대 5회까지만 부과하는 방안이 라고 설명. 또한, 미국은 일부 중소형 선박에 수수료 면제를 부여하며 규제 적용 범위를 기존보다 축소했다고 밝힘.

반면,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10월부터 향후 3년간 수수료가 점진적으로 늘어난 구조로, 2028년에 인도될 중국산 선박이 미국에 입항할 경우 상당한 수수료를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USTR 규제안에 대해 여전히 강경하다고 평가. 이어 3월 초기안 대비 완화됐을 뿐인 아주강력한 수수료 시스템이라며,

향후 미국 서비스를 염두에 둔다면 중국으로의 신조 투자를 회피할 수밖에 없는 메커니즘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HJ중공업, 성광벤드, 태광, STX엔진, HD현대마린솔루션,

성광벤드 등 조선/조선기자재/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엑스페릭스 (+30.00%)

퓨리오사AI, 자금 조달 규모 확대 및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모멘텀

지속 등에 퓨리오사AI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협진 (+29.97%)

최근 상지건설 급등 속

상지건설 지분 보유 지속 부각에 상한가

아이티아이즈 (+29.97%)

STO(토큰증권 발행) 법제화 기대감 지속 등에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팬스타엔터프라이즈 (+29.96%)

퓨리오사AI, 자금 조달 규모 확대 및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모멘텀

지속 등에 퓨리오사AI 테마 상승 속 상한가

계룡건설 (+29.88%)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지속 등에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컴퍼니케이 (+30.00%)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 늘리겠다" 언급 속 모험자본 육성 기대감

등에 창투사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삼호개발 (+29.93%)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및 지난해 세종·충남 지역

전문건설업계 기성실적 1위 소식 재부각 속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상한가

마이크로투나노 (+29.93%)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SK하이닉스 HBM용

프로브카드 퀄테스트 통과 성공 소식에 상한가

성신양회 (+29.91%)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지속 등에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시멘트/

레미콘 테마 상승 속 상한가

LB인베스트먼트 (+29.86%)

퓨리오사AI 및 창투사 테마 상승 속 상한가

대원 (+29.81%)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및 2011년부터 11년

연속 충청북도 시공능력평가 1위 건설사로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상한가

나우IB (+29.76%)

퓨리오사AI 및 창투사 테마 상승 속 상한가

대주산업 (+28.99%)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지속 등에 세

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대한과학 (+26.08%)

이재명 후보, 과학기술 R&D 예산 대폭

확대 언급 속 연구용 실험기기

업체로 부각되며 급등

신신제약 (+25.67%)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지속 등에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SV인베스트먼트 (+24.93%)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 늘리겠다" 언급 속 모험자본 육성

기대감 등에 창투사 테마 상승 속 급등

캡스톤파트너스 (+22.33%)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 늘리겠다" 언급 속 모험자본 육성

기대감 등에 창투사 테마 상승 속 급등

소마젠 (+19.88%)

페이스북 저커버그 재단 빌리언으로부터

단일 세포 분석 서비스 수주 소식에 급등

더즌 (+18.25%)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

에이직랜드 (+17.60%)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이재명 후보,

10조원 규모 호남 'AI 시범도시' 공약 추진

검토 속 퓨리오사AI와 '광주 AI사업'

참여 사실 부각에 급등

엑스플러스 (+16.73%)

최대주주 엑스페릭스가 퓨리오사AI

관련주인 점이 지속 부각되며 급등

영보화학 (+16.52%)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지속 등에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CBI (+16.07%)

총 12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및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모멘텀 지속 속 급등

아세아제지 (+14.85%)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지속 속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씨아이테크 (+14.57%)

AI 헬스케어 플랫폼 신사업 진출 및

최근 상지건설 급등 속 상지건설의

투자사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유라클 (+13.35%)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및 퓨리오사AI,

LG 엑사원에 NPU 공급 임박 소식 속

LG 엑사원과 AI 협업 사실 부각에 급등

미래에셋벤처투자 (+13.35%)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 늘리겠다" 언급 속 모험자본 육성 기대감

등에 창투사 테마 상승 속 급등

손오공 (+13.06%)

저출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 지속 등에

엔젤산업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텍 (+12.97%)

4월 반도체 수출 호조, 올해 메모리

수급개선 전망, 반도체 관세 완화 기대감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토마토시스템 (+12.83%)

퓨리오사AI, 자금 조달 규모 확대 및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모멘텀 지속

등에 퓨리오사AI 테마 상승 속 급등

코난테크놀로지 (+12.64%)

기업용 데이터 분석 AI

'코난 RAG-X' 공개 예정 소식 속 급등

대한제당 (+12.61%)

정치/인맥(한덕수)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일양약품 (+11.50%)

백혈병치료제 주가조작 의혹

무혐의 모멘텀 지속에 급등

모헨즈 (+11.25%)

시멘트/레미콘 테마 상승 및 정치/인맥

(한덕수)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아이큐어 (+10.68%)

일라이 릴리, 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Orforglipron)' 임상 3상시험

통과 모멘텀 지속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급등

스톤브릿지벤처스 (+10.55%)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 늘리겠다" 언급 속 모험자본 육성

기대감 등에 창투사 테마 상승 속 급등

인벤티지랩 (+10.51%)

일라이 릴리, 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Orforglipron)' 임상 3상시험

통과 모멘텀 지속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급등

압타머사이언스 (+10.37%)

일라이 릴리, 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Orforglipron)' 임상 3상시험

통과 모멘텀 지속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급등

누보 (+9.95%)

국내 조경용 비료 업체로

산불 관련 추경 수혜 기대감에 급등

캔버스엔 (+9.75%)

STO 관련 간담회 주최 교수 김용진,

이재명 싱크탱크 참여 소식 속 콘텐츠기반

STO 플랫폼 개발 진행 이력 지속 부각에 급등

아주IB투자 (+9.59%)

창투사 테마 상승 및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

싱크탱크 과학기술분과 위원장에 윤석진 전

KIST 원장 배치 소식 속 동사의 사외이사인

점이 부각되며 급등

타이거일렉 (+9.50%)

4월 반도체 수출 호조, 올해

메모리 수급 개선 전망, 반도체 관세 완화

기대감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4.21 (월)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파인텍 (+10.00%)

시간외 홀로그램 관련주로 부각.

장중 [[단독] 삼성전자, 2.5D 패키징

라인에 '홀로그램' 도입한다] 기사

토박스코리아 (+7.09%)

저출산 정책 기대감 지속 속 시간외 일부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 상승

크라운제과 (+6.57%)

장 마감 후 [크라운제과 급등,

"충청권 생산공장 몰빵" 숨은 수혜주로 등극] 기사

미트박스 (+4.48%)

장 마감 후 [미트박스, 베이징 식당서

美소고기 퇴출…한국 수입 확대

기대감에 수입육 플랫폼 부각] 기사

신신제약 (+3.34%)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지속 등에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상승 속 정규장 25.67% 급등

스피어 (+3.06%)

장 마감 후 미국 글로벌 우주항공

발사업체와 10.1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9.72%)

규모 공급계약(특수합금) 체결 공시

크라운해태홀딩스 (+3.02%)

종속회사 크라운제과 시간외 상승

캐리소프트 (+2.64%)

저출산 정책 기대감 지속 속

시간외 일부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 상승

아이큐어 (+2.00%)

일라이 릴리, 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Orforglipron)' 임상 3상시험

통과 모멘텀 지속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0.68% 급등

제로투세븐 (+1.91%)

저출산 정책 기대감 지속 속

시간외 일부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 상승

깨끗한나라 (+1.85%)

저출산 정책 기대감 지속 속

시간외 일부 출산장려정책 테마 상승

이렘 (+1.63%)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에스앤티제1호투자조합(최대주주) 대상으로

5,096,839주(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

희림 (+1.61%)

장중 [희림, 이재명 국회 세종 이전

발언에 주가 급등… 관련 용역 수주 이력 재조명] 기사

아이텍 (+1.59%)

4월 반도체 수출 호조, 올해 메모리

수급 개선 전망, 반도체 관세 완화 기대감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정규장 12.97% 급등

씨아이테크 (+1.55%)

AI 헬스케어 플랫폼 신사업 진출 및

최근 상지건설 급등 속 상지건설의 투자사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정규장 14.57% 급등

꿈비 (+1.54%)

저출산 정책 기대감 지속 속

시간외 일부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 상승

하락종목

토마토시스템 (-1.58%)

시간외 일부 퓨리오사AI 및 의료AI 테마 하락

대성창투 (-1.62%)

시간외 일부 창투사 테마 하락

TS인베스트먼트 (-1.66%)

시간외 일부 창투사,

퓨리오사AI 테마 하락

한국선재 (-1.72%)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하락

유라클 (-1.74%)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퓨리오사AI 관련주 하락

셀바스헬스케어 (-1.78%)

시간외 일부 의료AI 테마 하락

에이티넘인베스트 (-1.81%)

시간외 일부 창투사 테마 하락

갤럭시아에스엠 (-1.89%)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하락

삼일 (-1.91%)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하락

경남스틸 (-2.00%)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하락

린드먼아시아 (-2.02%)

시간외 일부 창투사 테마 하락

나인테크 (-2.35%)

장 마감 후 2,066,115주

추가상장(국내사모 CB전환) 공시

스톤브릿지벤처스 (-2.39%)

시간외 일부 창투사 테마 하락

핑거 (-2.42%)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하락

케이옥션 (-2.60%)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하락

영보화학 (-2.75%)

시간외 일부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하락

애니젠 (-2.75%)

[특례 상장 바이오 기업들 상폐 위기

속출…"성장성만 믿었다간 낭패"] 기사

캡스톤파트너스 (-2.78%)

시간외 일부 창투사 테마 하락

프럼파스트 (-3.44%)

시간외 일부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하락

대주산업 (-5.13%)

시간외 일부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하락

라닉스 (-9.98%)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5,600,000주(100.35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공시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2 (화) 장마감  (2) 2025.04.23
4.22 (화) 장마감 분석  (0) 2025.04.23
4.21 (월) 장마감 분석  (0) 2025.04.21
4.18 (금) 장마감  (1) 2025.04.20
4.18 (금) 장마감 분석  (0) 2025.04.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