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2.6 (목) 장마감

by 장주공 2025. 2. 6.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2/6 KOSPI 2,536.75(+1.10%)

美 국채금리 하락(+),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우려 완화, 엔비디아?슈퍼마이크로컴퓨터 급등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주요 기업 실적 소화 속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21.82(+12.55P, +0.50%)로 상승 출발.

장초반 2,515.34(+6.07P, +0.2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확대했고

오전 중 2,525선 부근에서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 오후 들어 2,53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이어가던 지수는 장막판 재차 상승폭을 키워 결국 장중 고점인 2,536.75

(+27.48P, +1.10%)로 장을 마감.

美 국채금리 하락 속 금리가 안정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코스피지수는 1% 넘게 상승.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中 딥시크 쇼크와 트럼프發 관세 충격 직전 수준을 회복.

외국인과 기관은 3거래일 연속 동반 순매수,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밤사이 美 국채금리가 하락한 점이 증시에 훈풍으로 작용.

美 재무부가 4월까지는 기존 계획대로만 국채를 발행할 계획을 밝힌 가운데 장기물 중심으로

美 국채금리가 하락세를 보임.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무렵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전거래일보다 9.10bp 하락한 4.421%를 기록했으며,

30년물 국채금리는 전거래일보다 10.40bp 하락한 4.643%를 나타냄.

2년물 국채금리는 전거래일보다 3.10bp 하락한 4.185%를 기록.

이에 반도체, 제약/바이오, 인터넷, IT 대표주 등 기술/성장주들이 강세를 보임.

특히, 美 빅테크 AI 투자 확대 수혜 기대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삼성전자(+2.08%), SK하이닉스(+2.36%) 등 반도체 대표주가 강세.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에

삼성전기(+2.75%), SKC(+6.47%) 등 유리 기판 테마도 상승했고,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삼부토건(+11.87%), HD현대건설기계(+11.13%),

HD현대인프라코어(+7.64%) 등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도 강세.

반면, KB금융(-6.70%)이 사상 최대 실적에도

주주환원책 실망감에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 업종은 하락.

HD현대미포(-7.96%), 삼성중공업(-3.36%), HD현대중공업(-2.10%) 등 조선주도 하락.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동반 상승.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3.8원 상승한 1,447.7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558억, 1,593억 순매수, 개인은 6,042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257계약, 19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219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4bp 상승한 2.582%,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2.2bp 하락한 2.79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틱 내린 106.83으로 마감. 외국인, 은행이 1,589계약, 1,156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1,540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5틱 오른 118.80으로 마감. 외국인, 은행이 4,439계약, 3,38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6,442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카카오(+4.86%), 한화에어로스페이스(+4.47%), 한화오션(+2.83%), SK하이닉스(+2.36%),

삼성전자(+2.08%), 셀트리온(+1.51%), NAVER(+1.31%), 삼성물산(+0.93%),

기아(+0.71%), 삼성바이오로직스(+0.37%), POSCO홀딩스(+0.21%) 등이 상승.

반면, KB금융(-6.70%), 메리츠금융지주(-3.00%), HD현대중공업(-2.10%), 신한지주(-1.38%),

LG에너지솔루션(-0.87%), 현대차(-0.49%), 삼성생명(-0.21%) 등은 하락. 현대모비스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의료/정밀기기(+3.71%), 음식료/ 담배(+3.56%), 건설(+3.30%), 일반서비스(+3.07%), IT 서비스(+2.01%), 전기/전자(+1.65%), 섬유/의류(+1.45%), 제조(+1.30%), 부동산(+1.20%), 화학(+1.12%), 보험(+1.09%), 제약(+1.06%), 종이/목재(+0.67%), 기계/장비(+0.55%), 유통(+0.53%), 운송장비/부품(+0.51%)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증권(-0.53%), 운송/창고(-0.30%), 오락/문화(-0.03%)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536.75P(+27.48P/+1.10%)

코스닥 마감시황

2/6 KOSDAQ 740.32(+1.28%)

美 국채금리 하락(+),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 우려 완화, 엔비디아?슈퍼마이크로컴퓨터 급등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35.94(+4.96P, +0.68%)로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키우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폭을 축소하며 오전 중 734.91(+3.93P, +0.54%)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점차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결국 장중고점인 740.32(+9.34P, +1.28%)로

장을 마감.

美 국채금리 하락 속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1% 넘게 상승.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개인은 하루만에 순매도.

특히, 알테오젠(+4.26%), 리가켐바이오(+5.65%), 삼천당제약(+4.46%) 등 제약/바이오,

리노공업(+6.40%), 이오테크닉스(+5.80%), ISC(+9.38%) 등 반도체,

와이씨켐(+29.80%), 필옵틱스(+24.96%), 씨앤지하이테크(+21.68%) 등 유리 기판,

디와이디(+12.03%), 에스와이스틸텍(+10.28%), SG(+8.83%)

등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7억, 701억 순매수, 개인은 644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파마리서치(+6.92%), 리노공업(+6.40%), 리가켐바이오(+5.65%), 삼천당제약(+4.46%),

알테오젠(+4.26%), 휴젤(+4.12%), 펩트론(+2.87%), 루닛(+2.12%),

레인보우로보틱스(+0.94%), 셀트리온제약(+0.76%), 클래시스(+0.19%) 등이 상승.

반면, HLB(-3.68%), 엔켐(-3.57%), JYP Ent.(-2.40%), 신성델타테크(-2.27%),

에코프로(-1.00%), HPSP(-0.81%), 에코프로비엠(-0.73%), 코오롱티슈진(-0.51%) 등은 하락.

에스엠은 보합.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비금속(+5.32%), 일반서비스(+2.77%), 기계/장비(+2.41%), 음식료/담배(+1.47%), 제조(+1.23%), 건설(+1.19%), IT 서비스(+1.19%), 제약(+1.10%), 화학(+1.06%), 전기/전자(+1.05%), 기타제조(+0.99%), 유통(+0.86%), 종이/목재(+0.66%)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운송장비/부품(-0.85%), 출판/매체복제(-0.53%), 운송/창고(-0.35%), 금융(-0.34%), 오락/문화(-0.29%)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40.32P(+9.34P/+1.28%)

테마시황

상승테마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美 빅테크 AI 투자 확대 수혜 기대감, 필라델피아 반도체(+2.31%) 지수 급등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스템반도체,

온디바이스 AI,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PCB(FPCB 등)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의료용 챗GPT 개발 기대감 지속 및 AI 신약개발업체 '리커전'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 등에 의료AI 테마 상승.

美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속 전력기기 슈퍼사이클 지속 전망 등에 전력설비/ 전선 테마 상승.

샘 올트먼 오픈AI CEO,범용AI 도달 위해 '핵융합' 필요 발언 부각 등에 핵융합에너지 테마 상승.

노보노디스크,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 등에 비만치료제테마 상승.

정부 부처-민간기업 등 보안 우려에 따른 딥시크 접속 차단 소식 등에 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구글 퀀텀 AI 설립자, 5년 내 상용 양자컴퓨팅 앱 출시 언급 소식 등에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DL이앤씨(+13.75%)가 지난해 연간및 4분기 실적 발표,

올해 매출액 7.8조, 영업이익 5,200억 전망 속 급등한 가운데, 건설 대표주 상승.

카카오(+4.86%)가 오픈AI와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NAVER(+1.31%)가

이해진 창업자 7년만에 이사회 복귀 방침 속 상승한 가운데, 인터넷 대표주 상승.

갤럭시 S25시리즈 역대 최대 사전판매량 기록 등 흥행 모멘텀 지속 등에 갤럭시 부품주 테마 상승.

美 국채금리 하락, 암젠/노보노디스크 실적 호조 소식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mRNA(메신저 리보핵산), 유전자 치료제/분석, 화이자, 모더나 등 제약/바이오 관련테마 상승.

이 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폴더블폰, OLED, 미용기기, 수산, 철도, 전기차 화재 방지(배터리 열폭주 등), 태양광에너지, 2차전지(장비),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풍력에너지, 전기차(충전소/충전기), 음식료업종, IT 대표주, 건강기능식품, 아이폰, 석유화학, 드론, 남북경협, 강관업체, 우주항공산업, 원격진료/비대면진료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미국의 대중국 관세발효 속 중국의 대미 관세 조치 발표 후 미국의 추가 관세 등

재보복 조치가 나오지 않은 가운데,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하락.

동해서 추가 유망구조 발견 소식에 이번주 초 시장에서 부각됐던

피팅(관이음쇠)/밸브, LPG, 일부 자원개발 등 대왕고래·마귀상어 관련주하락.

샘 올트먼 오픈AI CEO 방한에 부각됐던 AI 챗봇(챗GPT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등 테마 하락.

이 외에 조선, 조선기자재, 요소수, 탄소나노튜브, 스마트홈, 토스, 리튬, 은행, 탈모 치료, 2차전지(생산), STO(토큰증권 발행), 국내 상장 중국기업, 자동차 대표주, 전자결제(전자화폐), 리비안, 생명보험, 해운, 종합 물류, 증권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유리 기판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전해짐.

삼성전자는 반도체 유리기판을 생산하기 위해 복수의 소재·부품·장비 회사들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삼성 반도체 사업부(DS) 내 구매팀 주도로 논의가 진행 중이로 삼성만의

독자적인 공급망 구축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사업 추진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으로 그동안 유리기판은 반도체 업체 중에선 인텔이, 부품·소재 업계에선 앱솔릭스,

삼성전기, LG이노텍 등이 준비하고 있는 정도로만 알려짐. AMD는 유리기판을 공급 받아 자사 반도체 칩에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임.

AI 시대 개화로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유리기판을 선점하면 차세대 반도체 제조, 즉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같은 시스템 반도체를 만드는 파운드리도 강화할 수 있고, 자체 시스템 반도체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어 삼성 반도체 사업 전반 경쟁력을 끌어올릴 핵심 기술로 활용도가 높아 사업 추진을 결정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음. 실제로 유리기판을보유하게 되면 고성능 반도체를 만들고 싶어하는 고객사의 위탁생산 주문을 받을 수 있고, 여기에 고대역폭메모리(HBM)까지 한 꺼 번에 패키징하는 서비스도 가능해지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와이씨켐, 씨앤지하이테크, 필옵틱스, 켐트로닉스, HB테크놀러지 등 유리기판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美 행정부가 다음 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종전

구상을 공개할 것으로 전해짐.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특사인 키스 켈로그가 현지시간으로 14~16일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MSC)에서

우크라이나전 종전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 특히, 이번계획의 주요 내용은 분쟁을 동결시키고

러시아 군이 점령한 영토를 인정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에 러시아의 재침공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보장을 제공하는 것임.

이 같은 소식 속 디와이디, 삼부토건, 에스와이스틸텍, SG, 대모, 전진건설로봇, 진성티이씨,

에스와이, 범양건영 등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등의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빅테크 AI 투자 확대 수혜 기대감, 필라델피아 반도체(+2.31%) 지수 급등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 주식시장이 트럼프 관세 우려 완화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4.91(+2.31%) 상승한 5,091.50를 기록. 엔비디아(+5.21%), TSMC(+2.22%), 마이크론 테크놀로지(+3.24%), 브로드컴(+4.30%) 등이 상승.

MS·메타·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이 AI 투자를 확대한다는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

전일 실적을 발표한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올해 AI 인프라 등에 약 750억 달러(109조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힘. 이는 시장 추정치인 597억 3천만 달러를 25% 상회 하는 수치임.

앞서 마이크로소프트(MS)도 지난해보다 60% 늘어난 800억 달러를 AI 분야에 투자하고,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도 650억 달러 투자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음.

또한,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인 블랙웰을 탑재한 AI 데이터 센터

시스템을 공개할 것이란 소식이 전해짐.

슈퍼마이크로컴퓨터(+7.99%)는 "블랙웰을 활용한 AI 데이터 센터용 서버를 대량

생산 및 공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리노공업, 한화비전, 테스, 티씨케이,

케이씨텍, 넥스틴, 이오테크닉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의료AI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의료용 챗GPT 개발 기대감 지속 및 AI 신약개발업체 '리커전'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 등에 상승

최근 한국을 방문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의료용 챗GPT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는 발언 속 관련주들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음. 올트먼 CEO는 최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 참석해 "우리는 의료 그룹이 모든 오픈AI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기 때문에 기업용 제품에 대해 HIPAA(미국 건강 보험 관련법) 규정을 준수하는 과정에 있다"며, "의학 분야에서 과학적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많은 생명을 구하고 좋은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라고 언급한 바 있음.

아울러 AI 신약개발 바이오텍 리커전 파마슈티컬스가 AI를 기반으로 개발한 REC-994의 해면상

혈관기형(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 CCM) 임상2상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AI 신약개발 분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5일(현지시간) 리커전은 국제 뇌졸중 컨퍼런스에서 CCM 환자의 REC-994 2상 연구(SYCAMORE)에서 12개월 데이터를 공개했으며, 임상 결과 안전성 및 내약성에 이상 신호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12개월 치료 후 50%의 환자가 평균 병변 부피가 감소했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온코크로스, 신테카바이오, 파로스아이바이오, 딥노이드, 루닛,

토마토시스템, 셀바스헬스케어 등 의료AI 테마가 상승.

전력설비/ 전선

美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속 전력기기 슈퍼사이클 지속 전망 등에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미국에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라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 전력기기 기업들이 미국 내 공장 증설과 생산설비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데이터센터는 미국 전체 전기 소비량의 약 10%를 차지할 정도로 막대한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데이터센터용 전력 수요 증가로 초고압 변압기,

배전반(전기 배분 장치), 전선 등 전력기기 시장이 호황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음.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달 울산 공장 시설 증설과 미국 앨라배마주 제2공장 건립에 약 4,000억원을 투자해 765킬로볼트(kV·kilovolt)급 초고압 변압기 생산능력을 확대한다고 밝혔으며, 이를 통해 초고압 변압기 합산 생산능력을 연 400개에서 약 510개로 30%가량 늘릴 예정임.

LS일렉트릭은 올 연말 준공을 목표로 미국 텍사스주 3,300㎡ 규모 땅에 공장을 짓고 있으며,

미 유타주 배전반 공장 생산 시설도 증설중에 있음.

효성중공업은 미 테네시주 초고압 변압기 공장에 시험·생산설비 증설을 진행중이며,

창원 공장 증설과 함께 약 1,00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효성중공업, LS, LS에코에너지, 일진전기, 가온전선

등 전력설비/전선 테마가 상승.

핵융합에너지

샘 올트먼 오픈AI CEO, 범용AI 도달 위해 '핵융합' 필요 발언 부각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AI를 위한 전력 문제와 관련해 핵융합이 필요하다고

발언하며 지속적으로 투자를 이어온 사실이 부각되고 있음. 올트먼 CEO는 미국 핵융합 스타트업인 헬리온에너지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오고 있으며, 헬리온에너지는 지난달 4억2,500만 달러(약 6,162억원)를 모금한 것으로 알려짐. 이번 모금에는 올트먼 CEO를 포함한 기존 투자자를 비롯

재일교포 3세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음.

한편, 헬리온에너지는 2023년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2028년 핵융합발전소를 가동해 전기 생산에 성공하겠다는 계획.

올트먼 CEO는 지난해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에너지) 돌파구 없이 는

그곳(범용 AI)에 도달할 방법이 없다. 우리는 핵융합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음.

이에 금일 다원시스, 일진파워, 비츠로테크 등 핵융합에너지 테마가 상승.

비만치료제

노보노디스크, 지난해4분기 실적 호조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덴마크 제약기업 노보노디스크가 지난 분기 비만 치료제 위고비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나면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달성했다고 전해짐.

지난해 4분기 노보노디스크의 순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30% 증가한 856억8,300만

덴마크크로네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367억3,700만 크로네로 전년동기대비 37% 증가,

이는 시장 예상치 336억 크로네를 상회한 수준이라고 알려짐.

특히, 지난해 4분기에는 위고비 매출이 198억6,600만 크로네로 전년동기대비 107% 급증.

노보노디스크는 올해 매출 성장률이 고정환율 기준 16%~24%, 영업이익 성장률은 19~2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러한 전망에는 당뇨병 및 비만 치료 분야에서 경 쟁 심화 및 지속적인 가격 압박, 최근 예상보다 높은 판매량 증가와 일부 제조시설의 생산 역량 제한으로 인한 주기적인 공급 제약 및 의약품 부족 가능성도 반영돼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편, 노보노디스크는 차세대 비만 치료제 중 하나인 카그리세마(CagriSema)의 2번째 핵심

임상 3상 결과가 1분기 안에 나올 것이며, 올해 안에 새로운 임상 3상도 계획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디앤디파마텍, 펩트론, 인벤티지랩, 블루엠텍, 라파스, 압타머사이언스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 한편,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물질 특허 2심 소송에서

승소한 HK이노엔도 상승.

보안주(정보)

정부 부처-민간기업 등 보안 우려에 따른 딥시크 접속 차단 소식 등에 상승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외교와 안보, 통상 분야 정부 부처들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있음. 국방부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경찰청, 금융위, 금감원 등이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 또한, 국내 기업 등 민간 영역에서도 딥시크 사용 금지 사례가 잇따라 나오고 있음. 카카오는 최근 "딥시크의 사내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사내에 공지했으며, LG유플러스도 딥시크 사용 금지에 대한 정보보안 안내문을 공지. KB국민은행, 신한은행,하나은행 등 은행권도 딥시크 차단에 나섰음.

이 같은 소식 속 모니터랩, 인스피언, 신시웨이, 샌즈랩, 에스넷 등 보안주(정보) 테마가 상승.

양자암호/양자컴퓨팅

구글 퀀텀 AI 설립자, 5년 내 상용 양자컴퓨팅 앱 출시 언급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구글 퀀텀 AI 설립자이자 책임자인 하트무트 네벤은 "5년이내에 양자 컴퓨터로만 해결할 수 있는 앱이 등장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구글 퀀텀 AI를 설립했을 때 우리의 비전은 자연의 '운영 체제' 라고 할 수 있는 양자 역학을 이용해 사회의 가장 큰 난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대규모 양자 컴퓨터를 구축하는 것이었다"며"우리 팀은 장기 로드맵을 수립했고, 윌로우는 상용화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향한 여정에서 시간을 크게 앞당겨 줄 것"이라고 강조.

양자 컴퓨팅이 상용화되려면 20년 이상 필요할 것이라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전망과 대비되는 입장으로 더불어 전기차용고성능 배터리 개발, 신약 연구, 신재생 에너지 등 재료 과학 분야에서 양자컴퓨팅이 활용될 것이라고 전망했음.

한편,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는 3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 팟캐스트에 출연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대해 "젠슨황이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앞으로 3~5년 안에 이러한 기술 가운데 하나가 매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만큼 충분한 큐비트를 얻을 수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케이씨에스, 엑스게이트, 시큐센, 아이씨티케이

등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상승.

당일 상승종목

삼일씨엔에스: (+29.97%)

전남 고흥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공급사 선정 소식

램테크놀러지: (+29.95%)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온코크로스: (+29.92%)

의료AI 테마 상승 및 AI 신약개발업체 '리커전'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

와이씨켐: (+29.80%)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에스앤디: (+29.78%)

4분기 역대 분기 최대 실적 및 수익성 달성

범양건영: (+28.75%)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필옵틱스: (+24.96%)

PCB(FPCB 등) 테마 상승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씨앤지하이테크: (+21.68%)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한화비전: (+21.21%)

美 빅테크 AI 투자 확대 수혜 기대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신테카바이오: (+19.78%)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의료용 챗GPT 개발 기대감 지속 및 AI 신약개발업체 '리커전'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

아이엠: (+17.85%)

베트남 종속법인 회계감사 우려 불식 속 내달 회계감사 순항 전망에 급등

더존비즈온: (+17.65%)

지난해 사상 첫 연 매출 4,000억 돌파 등에 급등

켐트로닉스: (+17.18%)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SK바이오팜: (+17.16%)

지난해 흑자전환 등에 급등

현대로템: (+17.02%)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달성 등에 급등

삼양식품: (+14.91%)

지난해 실적 호조 및 북미/유럽 매출 확대 기대감 등에 급등

HB테크놀러지: (+14.57%)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인스피언: (+14.11%)

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및 삼성전자·오픈AI·소프트뱅크 협업 기대감 속 삼성전자 개인정보 분리 보관 및 파기 관련 솔루션 관리 이력 지속 부각에 급등

한빛레이저: (+13.77%)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제이앤티씨: (+13.76%)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DL이앤씨: (+13.75%)

올해 양호한 실적 가이던스 제시 등에 급등

자람테크놀로지: (+13.75%)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전자-엔비디아 등 참여 리스크 파이브 기반 통신반도체 양산 추진 소식에 급등

코미코: (+13.13%)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업황 우려에도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급등

클로봇: (+12.96%)

삼성전자 美 스타게이트 협력 기대감 속 로봇 산업 확대 수혜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티씨케이: (+12.76%)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속 급등

전진건설로봇: (+12.43%)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급등

PI첨단소재: (+12.26%)

PCB(FPCB 등) 테마 상승 속 업황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급등

모아라이프플러스: (+12.19%)

22.75억원 규모 건강기능식품 공급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모니터랩: (+12.15%)

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속 라온시큐어와 제로트러스트 보안 사업 추진 소식에 급등

디와이디: (+12.03%)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속 급등

삼부토건: (+11.87%)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속 급등

이녹스첨단소재: (+11.24%)

PCB(FPCB 등)/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지난해 4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및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급등

케이피에스: (+11.23%)

자회사 배터리솔루션즈, BYD 리사이클링 협력사 등록 절차 진행 및 LFP 전처리시설 완공 소식 부각에 급등

HD현대건설기계: (+11.13%)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206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및 총 486.22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결정 등에 급등

테스: (+10.92%)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삼성전자와 108.72억원 규모 반도체 제조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SOOP: (+10.64%)

글로벌 전략 변화로 디레이팅 해소 분석에 급등

케어젠: (+10.59%)

마이오키, 미국식품의약국으로부터 NDI로 승인에 급등

에이럭스: (+10.46%)

美 정부, 中 드론 규제 수혜주 분석 등에 급등

아이톡시: (+10.42%)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스와이스틸텍: (+10.28%)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속 급등

사이냅소프트: (+10.28%)

올해 AI 기반 B2C SW 론칭 기대감 부각 속 급등

2.6 (목)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아모센스: (+9.90%)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1,341.55억원(전년대비 +53.40%), 영업이익 71.63억원(전년대비 +799.81%)

한빛레이저: (+9.90%)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장중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직접 뛰어든다] 기사

켐트로닉스: (+7.74%)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씨앤지하이테크: (+6.77%)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에프엔에스테크: (+4.86%)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기가비스: (+4.69%)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교보증권: (+4.05%) -

장 마감 후 보통주 1주당 500원(시가배당율 9.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교보증권, 소액주주는 주당 500원·최대주주 무배당…파격 안건 결의] 기사

필옵틱스: (+3.92%)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이수앱지스: (+3.56%)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602.58억원(전년대비 +10.96%), 영업이익 134.01억원(전년대비 +244.86%)

케이씨: (+3.41%)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384.88억원(전년대비 +1.57%), 영업이익 279.77억원(전년대비 -57.85%). 보통주 322,781주 소각 결정 및 보통주 1주당 320원(시가배당율 2.0%)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리드코프: (+3.30%)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204.79억원(전년대비 -14.28%), 영업이익 215.53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HB테크놀러지: (+3.23%)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SKC: (+3.17%)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테마 상승

한국정보인증: (+3.04%)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16.36억원(전년대비 +31.89%), 영업이익 185.88억원(전년대비 +33.08%)

위메이드플레이: (+2.98%) -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24년 연결기준 매출액 1,204.11억원(전년대비 -1.04%), 영업이익 10.53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24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18.10억원(전년동기대비 +1.76%), 영업이익 19.02억원(전년동기대비 +3,123.72%)

토모큐브: (+2.89%) -

[토모큐브, 올해 비바이오 매출 20% 목표…5년내 과반 전망] 기사

야스: (+2.70%)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관련주로 부각

HD현대미포: (+2.51%) -

장중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2조원(전년동기대비 +29.01%), 영업이익 469.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별도기준 매출액 1.40조원(전년동기대비 +28.75%), 영업이익 368.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에스오에스랩: (+2.50%) -

장중 [신한투자證 "에스오에스랩, 로봇향 라이다 수주 확대로 흑자전환 전망"] 기사

제이티: (+2.27%)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관련주로 부각

로체시스템즈: (+2.25%)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시간외 유리 기판 관련주로 부각

하락종목

경남스틸 ( -1.71%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아모레퍼시픽 ( -1.74% ):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3.88조원(전년대비 +5.74%), 영업이익 2,204.81억원(전년대비 +103.82%).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9조원(전년동기대비 +17.88%), 영업이익 784.81억원(전년동기대비 +279.57%), 순손실 462.3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GRT ( -1.83% ):

시간외 일부 딥시크 관련주 및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하락

코오롱글로벌 ( -1.83%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이스트아시아홀딩스 ( -1.85% ):

시간외 일부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하락

엔비티 ( -1.90%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51.17억원(전년대비 -1.44%), 영업손실 32.55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현대ADM ( -2.02% ):

장 마감 후 15.63억원(자기자본대비 23.31%)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엠케이전자 ( -2.02% ):

시간외 일부 딥시크 관련주 하락

인스웨이브시스템즈 ( -2.15%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04.12억원(전년대비 -6.71%), 영업손실 34.94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대동스틸 ( -2.22%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동양에스텍 ( -2.49%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우림피티에스 ( -3.01%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지에스이 ( -3.02%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동방 ( -3.18%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와이팜 ( -3.43% ):

장 마감 후 [투자주의]15일간 상승종목의 당일 소수계좌 매수관여 과다종목 공시. 488,197주(발행주식총수 대비 1.16%) 규모 전환청구권 행사 공시

휴스틸 ( -3.66%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포스코인터내셔널 ( -3.98%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대성에너지 ( -4.11%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하이스틸 ( -4.43%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중앙에너비스 ( -5.21%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디케이락 ( -7.80%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GS글로벌 ( -7.81%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한국가스공사 ( -9.87%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동양철관 ( -9.91%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한선엔지니어링 ( -9.91%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흥구석유 ( -9.94%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한국석유 ( -9.97%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화성밸브 ( -9.97% ):

동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 경제성 부족 평가 등에 시간외 대왕고래 관련주 하락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 (금) 장마감  (1) 2025.02.08
2.7 (금) 장마감 분석  (0) 2025.02.07
2.6 (목) 장마감 분석  (0) 2025.02.06
2.5 (수) 장마감  (0) 2025.02.05
2.5 (수) 장마감 분석  (0) 2025.02.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