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2.5 (수) 장마감

by 장주공 2025. 2. 5.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2/5 KOSPI 2,509.27(+1.11%)

트럼프發 관세 우려 완화(+),

샘 올트먼 오픈AI CEO 방한 효과(+),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 전쟁 우려에도 트

럼프,시진핑 협상 기대감, 멕시코?캐나다 관세 유예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증시도 소폭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503.94(+22.25P, +0.90%)로 상승 출발.

장초반 2,498.74(+17.05P, +0.69%)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지수는

이내 상승폭을 확대하며 오전 중 2,514.71(+33.02P, +1.33%)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2,505선 아래로 상승폭을 줄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키워 오후 장중 2,510선 부근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다

결국 2,509.27(+27.58P, +1.11%)로 장을 마감.

이틀 연속 1% 넘게 상승하며 2,500선 회복.

미국이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를 한 달 유예한 가운데,

트럼프 美 대통령과 시진핑 中 국가주석의 협상 기대감이 커지면서

트럼프發 관세 우려가 완화된 점이 호재로 작용.

아울러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방한 속 AI, 로봇, 반도체

등 관련주 강세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이틀 연속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7,000계약 넘게 순매수.

현지시간으로 지난 3일 트럼프 美 대통령이 관세 조치 발효를 하루 앞두고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조치를 한 달 유예한다고 밝힌 가운데,

4일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는 예정대로 발효됐음.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발효 전 추후 시진핑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중국의 대미 관세 조치 발표 후 미국의 추가 관세 등 재보복 조치가

발표되지 않으면서 관세 갈등 우려가 완화되며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모습.

한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4일 폴리티코 행사에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할 것이라고 언급.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전일 방한한 가운데,

국내 기업과의협업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점도 호재로 작용.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전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비공개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서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에 대해

이야기하길 원한다”고 언급했으며, 카카오와 협력 방향성을 공유한 것으로 전해짐.

이어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SK그룹 최태원 회장을 만나 반도체와 AI(인공지능) 협력을 논의했음.

이에 삼성전자(+0.38%), SK하이닉스(+4.03%), 한미반도체(+2.73%) 등 반도체,

카카오(+5.62%), NAVER(+4.81%) 등 인터넷/AI 관련주가 강세.

아울러 한국판 IRA 논의 및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영향 등에

LG에너지솔루션(+3.60%), 삼성SDI(+3.41%), 포스코퓨처엠(+5.20%) 등 2차전지 관련주도 강세.

반면, HD현대중공업(-3.43%), HD현대미포(-2.41%) 등 조선주들은 차익 매물 속 하락했고,

이날 신규 상장한 LG씨엔에스(-9.85%)는 급락.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한 반면, 중국, 홍콩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2원 하락한 1,444.3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62억, 314억 순매수, 개인은 1,93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7,097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730계약, 5,603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6bp 하락한 2.578%,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2.6bp 하락한 2.818%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 틱 오른 106.87로 마감. 투신, 외국인이 1,797계약, 1,661계약 순매수, 은행, 금융투자는 2,579계약, 1,829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1틱 오른 118.65로 마감. 은행이 1,825계약 순매수, 외국인, 금융투자는 580계약, 550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카카오(+5.62%), NAVER(+4.81%), SK하이닉스(+4.03%), LG에너지솔루션(+3.60%),

POSCO홀딩스(+2.33%), SK이노베이션(+1.94%), 현대차(+1.74%), 기아(+1.45%),

삼성바이오로직스(+1.21%), 삼성생명(+1.17%), 셀트리온(+0.51%), 삼성전자(+0.38%),

메리츠금융지주(+0.27%) 등이 상승.

반면, HD현대중공업(-3.43%), 한화오션(-1.48%), 신한지주(-0.59%),

현대모비스(-0.40%), KB금융(-0.33%), 삼성물산(-0.08%)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IT 서비스(+4.06%), 전기/가스(+2.24%), 섬유/의류(+2.07%), 전기/전자(+1.69%), 화학(+1.55%),

제약(+1.48%), 제조(+1.21%), 오락/문화(+1.00%), 유통(+0.93%), 음식료/담배(+0.82%), 금속(+0.72%), 의료/정밀기기(+0.50%)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증권(-0.80%), 비금속(-0.60%), 기계/장비(-0.55%), 보험(-0.54%), 건설(-0.53%)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KOSPI 2,509.27P(+27.58P/+1.11%)

코스닥 마감시황

2/5 KOSDAQ 730.98(+1.54%)

트럼프發 관세 우려 완화(+),

샘 올트먼 오픈AI CEO 방한 효과(+),

외국인/개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시진핑 협상 기대감, 멕시코?캐나다 관세 유예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4.60(+4.68P, +0.65%)으로 상승 출발.

장중 저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오전 장중 720선 중후반대에서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 상승폭을 더욱 키운 지수는 장후반 731.92(+12.00P, +1.6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730.98(+11.06P, +1.54%)로 장을 마감.

트럼프 美 대통령과 시진핑 中 국가주석의 무역 협상 기대감 속 관세 우려가 완화된 가운데,

샘 올트먼 오픈AI CEO의 방한 효과 기대감이 커지면서 코스닥지수는 1% 넘게 상승.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2거래일 연속 순매수, 개인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기관은 하루만에 순매도.

삼천당제약(+21.69%)이 아일리아 시밀러 SCD411 및

경구용 비만?당뇨 치료제 진행 현황 공개 등에 급등했고,

보로노이(+7.55%), 셀트리온제약(+1.94%) 등이 상승하는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샘 올트먼 오픈AI CEO 방한 속 레인보우로보틱스(+9.12%), 클로봇(+29.95%), 에브리봇(+12.36%),

솔트룩스(+17.14%), 바이브컴퍼니(+12.46%), 테스(+18.88%), 싸이맥스(+13.07%),

ISC(+9.08%) 등 로봇, AI, 반도체 관련주들도 강세.

에코프로비엠(+2.74%), 천보(+7.90%) 등 2차전지 관련주도 한국판 IRA 기대감 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46억, 257억 순매수, 기관은 335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삼천당제약(+21.69%), 레인보우로보틱스(+9.12%), HPSP(+5.83%), 에코프로비엠(+2.74%), 셀트리온제약(+1.94%), 루닛(+1.72%), 에코프로(+1.69%),에스엠(+1.27%), 파마리서치(+1.20%), 신성델타테크(+1.09%), 휴젤(+0.62%), 알테오젠(+0.53%), 엔켐(+0.25%), JYP Ent.(+0.25%), 리노공업(+0.25%) 등이 상승. 반면, 펩트론(-5.05%), 코오롱티슈진(-2.64%), HLB(-1.75%), 클래시스(-1.33%), 리가켐바이오(-0.16%)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IT 서비스(+3.10%), 기계/장비(+3.02%), 제약(+1.70%), 제조(+1.63%), 운송장비/부품(+1.58%), 화학(+1.48%), 전기/전자(+1.39%), 금융(+1.13%), 오락/문화(+0.89%), 섬유/의류(+0.79%), 음식료/담배(+0.76%), 운송/창고(+0.66%), 유통(+0.65%) 업종등이 상승. 반면, 통신(-0.61%), 건설(-0.51%), 금속(-0.19%)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30.98P(+11.06P/+1.54%)

테마시황

상승테마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의료AI, 인터넷 대표주 등 AI 관련 테마가 상승.

美 필라델피아반도체(+1.05%) 지수 상승 및 이재용·최태원 회장 올트먼 오픈AI CEO 회동 소식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스템반도체,

유리 기판, PCB(FPCB 등)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한국판 IRA 논의 및 테슬라(+2.22%)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영향

등에 2차전지/전기차/리튬 등 테마 상승.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에 양자 내성 암호(PQC) 기능 탑재소식 속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카카오뱅크(+7.28%) 지난해 순이익 4,400.65억원(전년동기대비 +23.99%)

역대 최대실적 기록 등에 카카오뱅크(kakao BANK) 테마 상승.

갤럭시 S25 시리즈 사전예약판매 역대 최대 기록 모멘텀 지속 등에 갤럭시 부품주 테마 상승.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배터리·바이오 등 첨단산업 기금 34조 규모 신설" 소식 등에 화이자, 제대혈, 모더나, 유전자 치료제/분석, 바이오시밀러, 제약업체, mRNA(메신저 리보핵산)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상승.

이 외에 마이데이터, 딥페이크, 전자결제(전자화폐), NFT(대체불가토큰), 고령화 사회(노인복지), 자율주행차, 화학섬유, 원격진료/비대면진료, 영상콘텐츠, 농업, 사료, 캐릭터상품, 가상현실, LPG, 비료, 웹툰, 공작기계,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OLED, 메타버스, 모바일콘텐츠, 카메라모듈/부품, 밸류업(25년 기업가치 제고계획 발표), 우주항공산업, 타이어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증시 상승 속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하락테마

1월 글로벌 신조선 발주 감소 여파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전선, 전력설비 등 전력 인프라 및 원자력발전 테마 하락.

HD현대인프라코어(-4.38%) 4분기 어닝 쇼크 속 건설기계 테마 하락.

이 외에 피팅(관이음쇠)/밸브,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희귀금속(희토류 등), 카지노,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국내 상장 중국기업, 손해보험, 제지, 핵융합에너지, 강관업체, 증권, 리츠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기업과 로봇 사업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전일 서울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비공개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서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에 대해 이야기하길 원한다”며, “이것이 한국에 온 이유”라고 밝힘. 이어 “우리는 로봇 공학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에 온 이유도 현지 기업들이 이 분야에 대한관심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다"라고 밝힌 바 있음.

금일 두산로보틱스는 태국 소재 로보틱스 솔루션 개발 전문 기업인 VRNJ Co., Ltd.와 자동차 제조용 협동 로봇 판매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공시. 두산로보틱스는 이번 MOU 체결에 따라 A·H·M·P 시리즈 등 자사협동로봇 모델 4종류 300대를 2년간 VRNJ에 공급할 예정. 또한, 양사는 생산 현장에 적용할 다양한 설루션을 개발하고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 수요처 발굴을 위해 서로 협력했음. 이와 관련,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는 "동남아는 중국에 이은 제2생산거점으로 신규공장이 늘어나는 추세라 협동로봇을 적용하고자 하는 니즈가 큰 편"이라며, "현지 SI 업체와의 협업과 마케팅 활동을 강화해 대규모 수주를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언급.

한편, 이 같은 소식 속 클로봇, 에스피시스템스, 삼현, 에스피지, 케이엔알시스템, 인탑스, 이랜시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가 상승.

AI 관련주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금일 언론에 따르면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다시 네이버 의장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네이버 이사회가 이해진 창업자의 사내 이사 복귀 안건을 오는 3 월 열리는 주주총회에 올릴 것을 계획하고 있으며 현재 글로벌투자책임자(GIO)인 이해진 창업자는 주주총회에서 사내 이사로 선임되면 다시 이사회 의장 자리를 꿰찰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해진 창업자가 이사회에서 나온지 7년 만에 다시 복귀를 결심한 이유로는

'네이버의 인공지능(AI)' 서비스의 본격 개발 및 글로벌 진출 활용 때문으로 오는

3월 연임이 확실시되는 최수연 대표와 함께 네이버의 AI 미래 사업을 과감하게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아울러 전일 언론에 따르면, 카카오가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올 상반기 출시 예정인 '카나나'를 비롯한 다양한 AI 서비스에 오픈AI 기술을 적용할 것이라는 소식도 전해짐. 전일 간담회에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카카오의 AI 미래 비전을 설명했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해 양사의 협력 방향성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짐. 또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전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회동을 갖고 인공지능(AI) 협력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샘 올트먼이 의료용 챗GPT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짐.

올트먼 CEO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개발자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 참석해

"우리는 의료 그룹이 모든 오픈AI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기 때문에 기업용 제품에 대해

HIPAA(미국 건강 보험 관련법) 규정을 준수하는 과정에 있다"며 "의학 분야에서 과학적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많은 생명을 구하고 좋은 일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솔트룩스, 바이브컴퍼니, 이스트소프트, 코난테크놀로지, 카카오, 클로봇, 피앤에스미캐닉스,

제이엘케이, 뷰노 등 AI 챗봇(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의료AI 테마 등 AI 관련주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1.05%) 지수 상승 및 이재용·최태원 회장 올트먼 오픈AI CEO 회동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美/中 무역전쟁 우려에도 트럼프·시진핑 협상 기대감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강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1.78(+1.05%) 상승한 4,976.59를 기록. 엔비디아(+1.71%), AMD(+4.58%), TSMC(+2.1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0.82%) 등이 상승.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엔비디아에 대해 딥시크의 부상 등에 따른 경쟁 심화와 글로벌 무역 전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향해 순항할 것으로 전망.

삼성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주가 회복을 예상한다며, 이번 Tech 투자는 AI 키워드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DeepSeek이 HBM 수요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고 여전히 메모리 대역폭 부족은 해결되지 않았다고 밝힘. ASIC의 HBM 탑재량 증가도 기대되며, 삼성전자의경우 주가 5만원 바닥의 믿음은 더욱 공고해지고 있어, 낮은 시장 기대감이 오히려 투자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전망. 또한, SK하이닉스의 높은 주가 변동성은 낙폭이 심한 지금 저점 매수의 기회를 준다며, SK하이닉스의 올해 호실적에 대한 의심은 없다고 설명.

전일 오픈AI 창업자 샘 올트먼 CEO(최고경영자)가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SK그룹 최태원 회장을 만나 반도체와 AI(인공지능) 협력을 논의했음. 이재용 회장은 샘 올트먼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3자 회동을 가졌으며, 인프라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 합작 등 삼성전자와도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알려지고 있음. 최태원 회장과 올트먼 CEO는 SK하이닉스의 HBM(고대역폭 메모리)를 포함한 반도체분야와 AI 비서 서비스 협력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음.

한편,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2023년 대비 18.1% 증가해 총 6,260억달러를 기록했다는 예비조사 결과를 이날 발표했음. 2025년 반도체 매출은 총 7,0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이번 조사에서 삼성전자는 2024년 총 665억달러의 매출과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10.6%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하면서 2023년 1위였던 인텔을 제치고 2년 만에 1위 자리를 탈환.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피에스케이홀딩스,

HPSP, ISC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 등

한국판 IRA논의 및 테슬라(+2.22%)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영향 등에 상승

전기차 캐즘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배터리 업계를 위해 '한국판 IRA'로 불리는 세액공제 직접환급제 도입 등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배터리 업계를 살리기 위해 공제액을 현금으로 지급하자는 내용으로 현행 연구·개발 비용이나 시설 설치에 들인 투자금을 법인세 감면 형태로 보존해주는 것에 비해 즉각적인 지원이 가능하다고 전해짐.

국회 이차전지 포럼 대표인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일 국회에서 '이차전지 배터리 직접 환급제 도입 토론회'를 주최한 가운데, 이상수 LG에너지솔루션 담당은 "배터리 산업은 중장기적으로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수 있다"며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힘. 김승태 한국배터리협회 정책지원실장은 "앞으로 몇 년 동안의 설비 투자가 향후 배터리 판도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략적으로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전향적 차원에서 직접 환급제가 필요하다"고 언급.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美-中 무역갈등 완화 낙관론 속 테슬라(+2.22%), 리비안(+3.87%), 루시드(+4.64%)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가 동반 상승.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가 예정대로 발효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발효 전 추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하겠다고 밝히면서 협상 기대감이 부각.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할것이라고 밝 힌 가운데,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서두르지 않고 적절한 때에 시 주석과 대화하겠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저가 매수세도 유입되며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금양, 포스코퓨처엠, SK이노베이션,

에코앤드림, 에코프로머티, 엘앤에프 등 2차전지 테마가 상승.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에 양자 내성 암호(PQC) 기능 탑재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삼성전자가 차세대 모바일 보안 기술인 ‘양자 내성 암호(PQC)’기능을 갤럭시 S25 시리즈에 최초로 탑재한다고 밝힘. 삼성전자는 “PQC는 현존하는 암호화 방식을 양자 컴퓨터가 위협할 가능성에 대비해 사용자 데이터를 한층 더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밝힘. 또한, 연결된 기기 생태계에서 업계를 선도하는 보안 솔루션인 녹스 매트릭스에 ‘PQ EDP’를 도입하며, 갤럭시 S25 시리즈를 시작으로 업계 최초로 PQC 기반의 클라우드 데이터 보호를 지원해 다가올 양자 컴퓨팅시대에 대비한 양자 내성 디지털 환경을 구축한다는 방침임.

한편,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의 이르면 3년 내 양자컴퓨터 상용화 전망 발언 모멘텀도 지속. 빌 게이츠는 3일(현지시간)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대해 "젠슨황이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앞으로 3~5년 안에 이러한 기술 가운데 하나가 매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만큼 충분한 큐비트를 얻을 수 있다"고 밝힘. 이어 "마이크로소프트가 그 분야의 경쟁자"라고 강조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양자 기계를 공동 설계 및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말 출시될 예정"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아이윈플러스, 아이씨티케이, 엑스게이트 등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1월 글로벌 신조선 발주 감소 여파에 하락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1월 글로벌 신조선 발주는 총 51척으로 전년동월 287척 대비 82.2% 감소했다며, CGT 기준으로는 전년동월대비 73.9% 감소한 146만 CGT를 기록했다고 밝힘. 선종별로는 Bulker 97.2%, Tanker 89.0%, LNG선 48.8%, Container선 8.6% 감소했으며, LPG 선은 발주가 없었다고 언급. 국가별로는 (CGT 기준) 한국 -31.9%, 중국 -92.0%를 기록했으며, 일본은 수주가 없었다고 밝힘.

한편, 한국 조선사들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1월 23.8%에서 올해 1월 62.1%로 상승(CGT기준)했다며, 이는 한국이 올해 1월 발주된 18,000TEU급 Container선 12척을 모두 수주했기 때문(클락슨 기준)이라고 밝힘. 다만, 한달치 수주로 M/S를 분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설명.

이에 금일 HJ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영이엔씨, 태광, 성광벤드, 동성화인텍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애드바이오텍 (+29.97%)

음식물처리기 미생물제 대형 고객사 확보 소식에 상한가

클로봇 (+29.95%)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지능형로봇/

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상한가

SOOP (+27.31%)

생성형 AI 활용 기대감 부각 속 급등

해성에어로보틱스 (+22.72%)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협력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삼천당제약 (+21.69%)

아일리아 시밀러 SCD411 및 경구용

비만·당뇨 치료제 진행 현황 공개 등에 급등

삼현 (+19.71%)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윈플러스 (+19.14%)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에 양자 내성 암호(PQC) 기능

탑재 소식 속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속 급등

테스 (+18.88%)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1.05%) 지수 상승 및 이재용·최태원 회장

올트먼 오픈AI CEO 회동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솔트룩스 (+17.14%)

AI 챗봇(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Gen AI Hands-On 행사서 루시아2.5 공개 소식에 급등

듀켐바이오 (+16.63%)

치매 진단 증가에 따른 핵의학 영상 수요 급증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어보브반도체 (+16.01%)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오픈AI·소뱅 협업 소식 속

온디바이스 AI MCU칩 삼성전자 가전제품 납품

추진 사실부각에 급등

케이엔알시스템 (+14.72%)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한국무브넥스 (+13.92%)

보스턴다이내믹스 로봇 부품 공급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옵투스제약 (+13.67%)

최대주주 삼천당제약, 아일리아 시밀러 SCD411 및

경구용 비만·당뇨 치료제 진행 현황 공개 등에 급등

피앤에스미캐닉스 (+13.31%)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보행재활로봇 '워크봇(Walkbot)' 상용화 및 판매 진행 사실 부각에 급등

싸이맥스 (+13.07%)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지난해 호실적 모멘텀 지속에 급등

APS (+12.74%)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급등

바이브컴퍼니 (+12.46%)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에브리봇 (+12.36%)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AI 로봇 전문업체 하이코어 성과 기시화기대감 부각에 급등

아남전자 (+12.34%)

AI 스피커 시장 내 챗GPT 적용 가능성 부각 등에 수혜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HS효성첨단소재 (+12.19%)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 등에 급등

에스피시스템스 (+12.07%)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및 현대차그룹,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 생산 현장 투입 추진 소식

속 로봇 자동화 시스템 '갠트리 로봇' 납품 지속 부각에 급등

오브젠 (+11.71%)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CRM

솔루션에 '딥시크' 적용 추진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포메탈 (+11.64%)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진양화학 (+11.63%)

오세훈, 대선 출마 기대감 지속에

일부 정치/인맥(오세훈) 테마 상승 속 급등

올릭스 (+11.34%)

비만치료제 'OLX702A' 글로벌빅파마와

기술이전 논의 모멘텀 지속에 급등

SK가스 (+10.87%)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 등에 급등

오스코텍 (+10.60%)

올해 연구개발 성과 본격화

기대감 부각 등에 급등

에스에이티이엔지 (+10.44%)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필옵틱스 (+10.05%)

2차전지 테마 상승 및 임백균 전 삼성SDI 부사장

영입 소식 속 반도체 유리기판 장비 사업 강화 기대감 등에 급등

이노룰스 (+9.97%)

지난해 실적 호조 등에 급등

제이엘케이 (+9.55%)

의료AI 테마 상승 속 하반기

美 시장 매출발생 기대감 등에 급등

웨이비스 (+9.50%)

GaN RF 반도체, 방산, 안티 드론 등

전방 산업 적용 확대 기대감 등에 급등

토마토시스템 (+9.37%)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의료AI 테마 상승 속 급등

카카오페이 (+9.23%)

지난해 4분기 호실적 및 오픈AI와의 협업 기대감

등에 카카오 그룹주 상승속 급등

에이엘티 (+9.16%)

양자암호/양자컴퓨팅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코어라인소프트 (+9.14%)

의료AI 테마 상승 속 AI 기술 기반

글로벌 원격진단 시장 공략 가속화 소식에 급등

레인보우로보틱스 (+9.12%)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삼성전자와 글로벌 탑티어 수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가속화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ISC (+9.08%)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1.05%) 지수 상승 및

이재용·최태원 회장 올트먼 오픈AI CEO 회동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2.5 (수)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케이씨텍 ( +10.00% )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3,854.33억원

(전년대비 +34.33%), 영업이익 497.83억원(전년대비 +52.22%).

보통주 171,233주(50.00억원) 소각 결정 및 보통주 1주당

270원(시가배당율 0.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에스앤디 ( +9.97% )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1,161.39억원

(전년대비 +31.56%), 영업이익 201.15억원(전년대비 +56.19%)

범양건영 ( +9.95%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일부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한국가구 ( +9.89% )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87.19억원

(전년대비 +25.03%), 영업이익 178.22억원(전년대비 +43.42%)

셀바스헬스케어 ( +9.02% )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의료AI 테마 상승

에스와이스틸텍 ( +7.05%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티웨이항공 ( +6.55% )

2건(원고:주식회사 소노인터내셔널)의 소송

등의 제기ㆍ신청(경영권 분쟁 소송) 공시

삼양식품 ( +5.26% )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2조원

(전년대비 +45.01%), 영업이익 3,442.39억원(전년대비 +133.36%)

폴라리스AI ( +4.67% )

일부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유진로봇 ( +4.50% )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엔시스 ( +3.91% )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28.99억원

(전년대비 +22.78%), 영업이익 104.59억원(전년대비 +464.10%).

보통주 1주당 160원(시가배당율 2.1%)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큐렉소 ( +3.61% )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삼부토건 ( +3.58%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전진건설로봇 ( +3.34%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SG ( +3.23%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대림B&Co ( +3.02% )

보통주 278,164주(9.99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공시

SK아이이테크놀로지 ( +2.76% )

2,914.0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4.9%)

규모 공급계약(중장기 LiBS) 체결 공시

지아이텍 ( +2.69% )

2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및 보통주 1주당

11원(시가배당율 0.56%), 종류주 1주당 45원

(시가배당율 2.31%)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에스와이 ( +2.49%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및 일부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넵튠 ( +2.47% )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16.83억원

(전년대비 +21.99%), 영업이익 97.24억원(전년대비 +351.11%)

셀바스AI ( +2.38% )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의료AI/AI 챗봇(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케이엔알시스템 ( +2.33% )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4.72% 급등

로보로보 ( +2.13% )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코텍 ( +2.11% )

보통주 375,000주(3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공시

대모 ( +1.95%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 상승

뷰노 ( +1.88% )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의료AI 테마 상승

TYM ( +1.78%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풍산홀딩스 ( +1.76% )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93.95억원

(전년대비 +10.49%), 영업이익 1,050.10억원(전년대비 +54.79%).

보통주 1주당 1,400원(시가배당율 5.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휴맥스 ( +1.74% )

감경사유로 불성실공시법인 미지정 공시

현대에버다임 ( +1.73%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 상승

소니드 ( +1.66% )

[소니드-소니드에이아이, 'AI CCTV 솔루션' 개발 완료] 기사

폴라리스오피스 ( +1.61% )

일부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폴라리스AI파마와 제약

도메인 특화 AI 모델 개발 본격화 기대감에 정규장 4.89% 상승

엔텔스 ( +1.56% )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24년 연결기준 매출액 478.78억원

(전년대비 +6.67%), 영업손실 2.42억원(전년대비 적자폭 축소).

4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79.70억원(전년동기대비 +15.24%),

영업이익 33.15억원(전년동기대비 +135.78%)

KS인더스트리 ( +1.54% )

장 마감 후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공시

다스코 ( +1.52%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푸틴과 직접 대화 가능성 시사

등에 시간외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하락종목

엘오티베큠 ( -1.25%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659.69억원

(전년대비 -43.77%), 영업손실 41.71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바이온 ( -1.37% )

장 마감 후 공시불이행,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 공시.

시간외거래 마감 후 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계약 체결 공시

퓨런티어 ( -1.48% )

장 마감 후 40,000주 추가상장(주식매수선택권행사) 공시. 하이비젼시스템,

유동성 확보 및 해외법인 투자 목적 목적으로 주식회사

퓨런티어(대한민국) 주식 700,000주를 165.90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후지분율:30.50%, 처분예정일:2025-03-07) 공시

씨엑스아이 ( -1.61% )

시간외 일부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하락

샌즈랩 ( -1.73% )

시간외 일부 보안주(정보) 테마 하락

한싹 ( -2.03% )

시간외 일부 보안주(정보) 테마 하락

피델릭스 ( -2.73% )

시간외 딥시크 관련주 및 일부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하락

엠케이전자 ( -2.89% )

시간외 딥시크 관련주 하락.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에스에이티이엔지 ( -3.32% )

장 마감 후 투자경고종목지정 공시

삼성중공업 ( -3.36% )

장 마감 후 6,245.64억원(자기자본대비 18.32%)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2025년 사업연도 매출액 10.50조원,

영업이익 6,300억원, 조선·해양 수주목표 98억불 전망 공시

케이알엠 ( -3.83% )

투자주의종목 지정 속 정규장 12.15% 급락

GRT ( -4.71% )

시간외 딥시크 관련주 및 일부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하락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목) 장마감  (0) 2025.02.06
2.6 (목) 장마감 분석  (0) 2025.02.06
2.5 (수) 장마감 분석  (0) 2025.02.05
2.4 (화) 장마감  (0) 2025.02.05
2.4 (화) 장마감 분석  (0) 2025.02.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