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11.11 (월) 장마감

by 장주공 2024. 11. 11.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11/11 KOSPI 2,531.66(-1.15%)

외국인·기관 순매도(-),

中 부양책 실망감 및 트럼프 재선 여파 지속(-)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트럼프 랠리 지속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트럼프 보편 관세 우려 및 中 부양책 실망감 등에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562.05(+0.90P, +0.04%)로 강보합 출발.

시가를 고점으로 하락 전환했고, 낙폭을 키워 오후 한때 2,525.56(-35.59P, -1.39%)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장 후반 2,450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장 막판 재차 하락해 2,531.66(-29.49P, -1.15%)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

기관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반면, 개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중국의 경기 부양책에 대한 실망감과 트럼프 대통령 재선에 따른 여파 등이

증시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모습.

중국 정부는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지방부채 상환 재원을 5년간 10조위안 늘리기로 결정.

당초 경기 진작을 위해 특별국채 발행 규모 등을 확정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지방정부 부채 상환 재원 증가에만 방점을 두고 막을 내리면서 시장의 실망감이 커지는 모습.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대중국 관세 폭탄 부과를 공약한 만큼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될 때까지

대응할 여지를 남겨둔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되고 있음.

이에 중국의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음.

트럼프 대통령 재선에 따른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우려가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주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0.81%) 및

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의 DDR5 양산 돌입 추정 소식 등이

반도체 관련주에 악재로 작용하는 모습.

이날 삼성전자(-3.51%), SK하이닉스(-3.94%), 한미반도체(-6.84%)는 동반 약세.

中 부양책실망감 등에

신세계인터내셔날(-6.35%), 한국화장품(-5.94%), 아모레퍼시픽(-5.28%), 한국콜마(-4.41%)

등 화장품, 롯데관광개발(-3.87%), 하나투어(-3.86%) 등 여행,

진에어(-2.52%), 티웨이항공(-1.91%), 제주항공(-1.60%) 등 항공 등 중국 소비 관련 테마가 하락. POSCO홀딩스(-2.66%)는 3파이넥스 공장 화재 소식 속 하락.

반면, LG에너지솔루션(+4.39%)은 스페이스X 우주왕복선 배터리 공급 가능성 등에 상승.

삼성중공업(+7.36%), 한화오션(+3.04%), HD현대중공업(+1.19%) 등 조선주는

트럼프 美 대통령 당선인, 尹 대통령과 통화서 조선업 협력 필요 언급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이 외에 현대차(+3.69%), 기아(+1.72%), 현대모비스(+4.09%) 등 자동차 대표주도 상승.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홍콩, 대만이 하락, 일본, 중국은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336억, 2,378억 순매도, 개인은 7,33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294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1,488계약, 798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394.7원으로 전거래일대비 2.3원 하락.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2bp 상승한 2.901%,

10년물은 전일 대비 1.1bp 하락한 3.038%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6틱 내린 105.94 마감. 은행과 금융투자가 각각 1,305계약, 553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투신은 각각 631계약, 849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틱 오른 116.80 마감. 외국인이 1,795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1,544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다소 우세.

셀트리온(-4.08%), SK하이닉스(-3.94%), 삼성전자(-3.51%), 삼성SDI(-3.51%), POSCO홀딩스(-2.66%), 고려아연(-1.83%), 삼성물산(-1.46%), 삼성생명(-1.43%), 메리츠금융지주(-0.57%),

KB금융(-0.54%) 등이 하락.

반면, LG에너지솔루션(+4.39%), 현대모비스(+4.09%), 현대차(+3.69%),

한화에어로스페이스(+3.10%), 기아(+1.72%), HD현대중공업(+1.19%), NAVER(+0.80%),

LG화학(+0.33%), 삼성바이오로직스(+0.30%)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섬유/의복(-5.35%), 의료정밀(-4.63%), 운수창고(-3.22%), 화학(-2.58%), 음식료(-2.20%), 전기/전자(-2.10%), 철강/금속(-2.05%), 유통(-1.86%), 건설(-1.64%), 비금속광물(-1.48%), 기계(-1.45%), 종이/목재(-1.37%), 제조(-1.25%), 서비스(-1.22%) 등이 하락. 반면, 통신(+3.39%), 운수장비(+2.98%), 증권(+0.32%)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531.66P(-29.49P/-1.15%)

코스닥 마감시황

11/11 KOSDAQ 728.84(-1.96%)

외국인 순매도(-), 2차전지·반도체株 하락(-)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트럼프랠리 지속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44.86(+1.48P, +0.20%)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745.42(+2.04P, +0.2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하락 전환했고,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727.04(-16.34P, -2.2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장 후반 730선까지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결국 728.84(-14.54P, -1.96%)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하루만에 반락. 외국인이 하루만에 재차 순매도한 반면,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수, 개인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중국의 경기 부양책에 대한 실망감과 트럼프 대통령 재선에 따른 여파 등이 증시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

LG엔솔 스페이스X에 배터리 공급 가능성 등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전 대통령 재선에 따른 업황 둔화 우려 및 가격 경쟁력 저하로

인한 수요 둔화 우려 지속 등에 2차전지 관련주가 하락.

에코프로비엠(-4.92%), 에코프로(-3.77%), 엔켐(-5.01%), 중앙첨단소재(-3.13%),

에코앤드림(-9.69%), 더블유씨피(-6.04%) 등이 하락.

트럼프 재선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지난주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의 DDR5 양산 돌입 추정 소식 등에

HPSP(-6.18%), 리노공업(-5.03%), 이오테크닉스(-2.05%),

테크윙(-6.45%) 등 반도체 관련주도 하락.

반면, 알테오젠(+1.95%), 리가켐바이오(+7.20%), 펩트론(+18.35%),

보로노이(+3.08%), 에스티팜(+3.90%) 등 제약/바이오,

위지트(+10.08%), 티사이언티픽(+9.77%), 우리기술투자(+8.22%),

갤럭시아머니트리(+6.52%)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등 테마는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843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869억, 42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실리콘투(-7.39%), HPSP(-6.18%), 휴젤(-5.07%), 리노공업(-5.03%), 엔켐(-5.01%), 에코프로비엠(-4.92%), 셀트리온제약(-4.73%), 에코프로(-3.77%), 레인보우로보틱스(-2.97%), 클래시스(-2.58%), 펄어비스(-2.55%), 삼천당제약(-1.33%), HLB(-1.15%) 등이 하락. 반면, 펩트론(+18.35%), 리가켐바이오(+7.20%), 에스티팜(+3.90%), 보로노이(+3.08%), 알테오젠(+1.95%), 파마리서치(+1.14%)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화학(-5.18%), 비금속(-3.65%), 일반전기전자(-3.56%), 기계/장비(-3.56%), 섬유/의류(-2.91%), 유통(-2.72%), 제조(-2.45%), 출판/매체복제(-2.34%), 오락문화(-2.19%), 음식료/담배(-1.93%), 기타제조(-1.87%), 금융(-1.74%), 건설(-1.71%), 운송(-1.63%), 종이/목재(-1.33%) 등이 하락. 반면, 기타서비스(+0.35%)는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28.84P(-14.54P/-1.96%)

테마시황

상승테마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우주항공산업/ 자율주행차/ 조선/ 조선기자재/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남북경협 등 테마 상승.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푸틴과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통화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테마 상승.

비트코인 8만1천달러 돌파 소식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테마 상승.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도 상승.

LG에너지솔루션, 스페이스X 우주선에 배터리 공급 소식 속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보스턴 다이내믹스 '로봇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자택 순찰 소식 속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트럼프 대통령 당선 속 피해 우려 부각 등에 최근 하락세를 나타냈던

자동차 대표주 개별 이슈 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

KT(+8.03%)가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분석 및 주주가치 제고 기대감 등에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통신 테마 상승.

이 외 야놀자, 모더나, 모듈러주택, 창투사, 건설 중소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LNG, 항공기부품,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마켓컬리, 증권, 렌터카, 네옴시티, 피팅(관이음쇠).밸브 등 일부 테마만 상승.

하락테마

中 전인대 실망감 등에 화장품, 여행, 항공, 면세점, 카지노, 엔터, 게임 등

중국 소비 관련주 하락. 철강, 화학 등 시크리컬 업종 및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등도 하락.

美 칩스법 폐기 우려 지속 및 中 반도체 성장 우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HBM,

뉴로모픽 반도체, 온디바이스 AI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국제유가 급락 영향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 가스)/ 도시가스 테마 하락.

트럼프 대통령 당선 속 美 IRA 폐기 우려 지속 등에 대부분 2차전지,

전기차, 리튬,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수소차 등 친환경 에너지 테마 하락.

건설업 경기 부진 지속 등에 건설 대표주 하락.

이 외 탄소나노튜브(CNT), 유리 기판, 해운, 갤럭시 부품주, MLCC, 증강현실(AR), LED장비, 웹툰, 딥페이크, 희귀금속(희토류 등), 화학섬유, 무선충전기술, 마이크로 LED,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가상현실(VR), 출산장려정책, 3D 프린터, AI 챗봇(챗GPT 등), 폴더블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종합상사, 휴대폰부품, 온실가스(탄소배출권), OLED,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엔젤산업, 전자파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증시 부진 속 대부분 테마가 하락.

우주항공산업/ 자율주행차/ 조선/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등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진행된 제47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음. 초박빙의 승부가 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트럼프 전 대통령은 경합주에서 사실상 거의 다 승리하며

압승을 거뒀음. 아울러 공화당은 4년 만에 상원을 탈환했고, 하원마저 싹쓸이 할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번 대선에서 트럼프의 당선을 지원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있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머스크의 주요 사업체인 테슬라와 스페이스X가 기존의 각종 규제에서 벗어나 완전자율주행, 우주사업 등에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면 머스크에게 불필요한 정부 규제를 없애는 '효율화' 부서를 이끌도록 맡기겠다고 약속한 만큼

머스크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입각이 현실화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음.

이에 지난 주말 뉴욕증시서 테슬라는 8.19% 급등세를 기록.

이 같은 소식 속 제노코, LK삼양, 한화시스템, 한국항공우주, 에이치브이엠, 휴니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퓨런티어, 라이콤, 에스오에스랩, HL만도 등 일부 자율주행차,

남광토건, 일신석재, 인디에프 등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 또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尹 대통령과 통화서 조선업 협력 필요 언급 모멘텀 지속 속 HJ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현대힘스, 한화엔진, SK오션플랜트, 성광벤드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도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푸틴과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통화 소식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7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당선 후 처음 통화했다고 전해짐. 트럼프당선인은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있는 자신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푸틴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격화시키지 말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짐.

또한, 트럼프 당선인과 푸틴 대통령은 통화에서 ‘유럽 대륙의 평화’라는 목표에 대해 논의했으며,

트럼프 당선인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해결”을 논의하는 후속 대화에 관심을 보였다고 전해짐.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전을 24시간 내 끝내겠다”고 공언한 바 있으며,

구체적인 종전 방안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우크라이나를 향해 “양보했어야 한다”고 일갈하는등

러시아가 점령한 4개 영토(돈바스·루한스크 인민 공화국·자포리자·헤르손)에 대해

우크라이나가 포기한다는 내용의 협상안을 지지하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삼부토건, 현대에버다임, 이노인스트루먼트, 디와이디, HD현대건설기계 등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비트코인 8만1천달러 돌파 소식 등에 상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 효과로 비트코인 가격이 연일 초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전일 밤 사상 처음으로 8만달러를 돌파한 데 이어 이날 8만1,000달러선까지 넘어선 것으로 전해짐. 시장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이 가상화폐 규제 완화를 내세운 영향으로 일각에서는 9만달러를 넘길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오고 있음.

한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10분 경 비트코인 가격은 81,000달러 선 부근에서 거래중이며,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에서는 1억1,300만원 대에서 거래중임.

이 같은 소식에 티사이언티픽, 갤럭시아머니트리, 한화투자증권, 위지트, 우리기술투자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 테마가 상승.

2차전지

LG에너지솔루션, 스페이스X 우주선에 배터리 공급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스페이스X로부터 우주선에 탑재할 전력 공급용 배터리 납품을

의뢰받아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고 있음. 개발 중인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 제품은 스페이스가X 가

이르면 내년 선보일 차세대 우주왕복선 '스타십'(Starship)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짐.

그동안 스페이스X는 대부분 자체 생산한 배터리만 우주왕복선에 장착해왔음.

업계에서는 우주선 시장 특성상 배터리 공급 규모가 크진 않겠지만, 우주선에 쓸 수 있을 만큼

높은 품질 기준을 충족한 점에 주목하고 있음.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가 제조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옵티머스)의 파트너가 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음. 머스크 테슬라 CEO는 자체 개발한 휴머노이드를 테슬라 전기차 제조공장은 물론 각 가정에도

판매한다는 중장기 계획에 따라 휴머노이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해 나라엠앤디, 성우, 케이엔에스, 나인테크, 엘앤에프 등 일부 2차전지 테마가 상승. 반면, 에코프로, 삼성SDI,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 등 대부분 2차전지/전기차/ 리튬 등의 테마는 美IRA 폐기 우려 지속 등에 하락.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보스턴 다이내믹스 '로봇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자택 순찰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 자회사인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자택을 순찰하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전해짐. 미국 비밀경호국(USSS)은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개 '스폿'을 플로리다주 마라라고 리조트에 전격 투입했으며, 스폿은 트럼프 당선인의 저택 인근을 돌며 주변을 순찰하고 감시하는 임무를 맡는다고 알려짐.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이 스페이스X로부터우주선에 탑재할 전력 공급용 배터리 납품을 의뢰받아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테슬라가 제조하는 휴머노이드로봇(옵티머스)의 파트너가 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음. 머스크 테슬라 CEO는 자체 개발한 휴머노이드를 테슬라 전기차 제조공장은 물론 각가정에도 판매한다는 중장기 계획에 따라 휴머노이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클로봇, 로보로보, 유일로보틱스, 케이엔알시스템 등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중국 소비 관련주

中 전인대 실망감 등에 하락

중국이 지방정부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향후 5년간 10조위안(약 1,935조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할 예정.

지난 8일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제12차 회의에서 '국무원의 지방정부 채무 한도치환 잠재 채무 심의제청 안건'을 승인했음. 이 안건은 지방 정부의 주요 책임을 통합하는 것을 기 반으로 잠재된 부채를 대환하기 위해 지방 정부 부채 한도를 6조위안(약 1161조3,600억원)으로 증액하는 내용이 포함됐음.

이와 관련,란포안 재정부장은 "2024년부터 5년간 매년 지방정부 특별채권 중 8,000억위안을 부채 해결에 배정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이번에 승인한 6조위안의 부채한도를 더하게 될 경우 지방 부채 해결을 위한 재원은 10조위안으로 늘어난다고 설명.

다만, 시장에서는 이번 전인대상무위에서 수조위안 규모의 특별국채 발행을 발표할 것이란 예상도 있었고 중국 정부가 앞으로도 재정 정책을 펼칠 여지가 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 조치는 없었다며, 부양책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는 모습.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된 후 중국 정부가 곧바로 구체적인 추가 부양책을 발표할 것이란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왔다며, 부동산과 소비 관련 세부 정책이 공개되지 않았던 점이 아쉬웠다고 평가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잉글우드랩, 코스메카코리아, 클리오, 실리콘투, 코스맥스 등 화장품, 참좋은여행, 노랑풍선, 진에어, 모두투어 등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LCC), 호텔신라, 신세계, 토비스, GKL 등 면세점/카지노 및 F&F, 씨싸이트, 노브랜드, 감성코퍼레이션 등 패션/의류, 디어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엔터테인먼트, 미투온, 웹젠, 넷마블 등 게임 등의 테마가 하락. 또한, 롯데케미칼, 금호석유, 효성화학, 대한유화, 이수화학 등 석유화학, 포스코스틸리온, 동국제강, 대한제강, 동국씨엠 등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테마 등 시크리컬 업종 및 헝셩그룹, 컬러레이, 크리스탈신소재, 로스웰 등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도 하락.

특히, 화장품 테마는 잉글우드랩, 코스메카코리아, 클리오 등 주요 화장품 업체들의 3분기 실적 부진 소식,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관세 우려 등에 부담으로 작용. 업계에서는 트럼프 정부가 관세 부과 등 보호무역을 강화할 경우 K뷰티 등을 비롯한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 피해는 불가피하다고 분석하고 있음.

반도체 관련주

美 칩스법 폐기 우려 지속 및 中 반도체 성장 우려 등에 하락

트럼프 전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진행된 제47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美 반도체과학법(칩스법) 폐기 우려가 지속되고 있음.

삼성전자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텍사스주 테일러에 170억달러(약 23조5,000억원)를 들여

반도체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으며,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에 후공정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데 38억7,000만달러(약 5조2,000억원)를 투자하기로한 바 있음.

트럼프 2기 정부가 칩스법을 폐기하거나 보조금 규모를 축소한다면

미국 공장 건설은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

지난 주말 뉴욕주식시장이 트럼프 랠리 지속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하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3.47(-0.81%) 하락한 5,290.52를 기록. 엔비디아(-0.84%)는 하락했으며, AMD(-1.25%), 마이크론테크놀로지(-1.33%) 등이 하락.

중국 반도체 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

업계에 따르면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SMIC가 올해 3분기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실적 대부분이 레거시 반도체에서 나온 것으로 전해짐.

실제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 3분기 실적발표에서 ‘중국 업체의 레거시 제품 공급 증가’가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한 바 있으며, 업계에서는 중국 메모리 업체가 내년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중국 메모리 업체의 점유율이 올해 3분기 6% 수준이었으나, 내년 3분기에는 10.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중국의 D램 제조사 CXMT는 최근 DDR5 양산에 돌입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업계 관계자는 "CXMT가 DDR4 에 이어 DDR5 제품까지 저가 물량 공세에 나선다면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위협이 될 것"이라면서도 "양산에 필요한 안정적인 수율(양품 비율)과

기술력을 확보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구심이 있다"고 언급.

한편,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까지 수출액은 149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7.8% 감소. 조업일수 고려 일평균 수출액은 21억3,000만 달러로 0.1% 감소한 가운데, 주요 수출 품목중 반도체는 17.4% 증가.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리노공업, HPSP, 한미반도체, 테크윙,

DB하이텍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도시가스

국제유가 급락 영향 등에 하락

지난 주말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2월 인도분 가격은 달러

급반등 및 中 부양책실망감 등에 전거래일보다 1.98달러(-2.74%) 급락한 70.38달러에 거래 마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집권하면 무역분쟁과 인플레이션 반등 등으로 달러화 가치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中 정부가 제14기 전국 인민대표회(전인대)에서 지방 부채 상환 재원을 10조위안 늘리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란포안 중국 재정부장(장관)은 이번 회의 결과를 발표하며 "이번에 전인대 상무위가 승인한 부채 한도 6조 위안에 더해 지방 부채 상환재원을 직접 10조위안 늘리기로 했다"고 밝힘. 시장에서는 이번 부양책이 거의 효과가 없을 것으로 분석하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S-Oil, SK이노베이션, 흥구석유, 중앙에너비스, 지에스이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도시가스 테마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삼부토건(+30.00%)

남북경협 및 우크라이나

재건테마 상승 속 상한가

지오릿에너지(+30.00%)

일부 리튬 테마 상승 속

LG에너지솔루션 리튬 공급망

포함 가능성 부각에 상한가

케이엔더블유(+29.94%)

LG디스플레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개발 소식 속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개발 관련 국책과제 참여 사실 부각에 상한가

DS단석(+29.93%)

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상한가

LK삼양(+29.83%)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

상승 및 머스크 트레이드 스페이스X 사업

가속화 기대감 속 스페이스X 위성에

별추적기 탑재 예정 사실 부각에 상한가

엔투텍(+29.79%)

LG에너지솔루션, 스페이스X 우주선에

배터리 공급 소식 속 자회사 지오릿에너지,

LG에너지솔루션 리튬 공급망 포함

가능성 부각에 상한가

미래에셋벤처투자(+24.89%)

스페이스X 유상증자

참여 이력 부각에 급등

토모큐브(+23.76%)

홀로토모그래피(HT) 기술

보유 지속 부각 속 급등

팬젠(+20.37%)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한화투자증권(+17.18%)

비트코인 8만1천달러 돌파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두나무

(Dunamu) 테마 상승 속 급등

인디에프(+15.94%)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속 급등

그래디언트(+14.56%)

499.99억원 규모 자사주

공개매수 및 소각에 급등

디와이디(+14.42%)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푸틴과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통화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속 급등

이노인스트루먼트(+14.38%)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푸틴과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통화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힘스(+13.48%)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지속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급등

한화시스템(+13.15%)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

상승 속 내년 방산 수출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일신석재(+13.14%)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속 급등

나라엠앤디(+12.74%)

LG에너지솔루션, 스페이스X 우주선에

배터리 공급 소식 속 일부 2차전지/

전기차 테마 상승 속 급등

퓨런티어(+12.47%)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자율주행차

테마상승 속 급등

클로봇(+12.38%)

보스턴 다이내믹스 '로봇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자택 순찰

소식 속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제노코(+12.37%)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우주항공산업

(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SK오션플랜트(+11.39%)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대만발

대형 정책 호재 확정 분석 등에 급등

와이제이링크(+11.04%)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일론 머스크

최대 수혜기대감 속 테슬라에 SMT

장비 직접공급계약 체결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케어젠(+10.98%)

3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남광토건(+10.36%)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속 급등

위지트(+10.08%)

비트코인 8만1천달러 돌파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티사이언티픽(+9.77%)

비트코인 8만1천달러 돌파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빅텐츠(+9.62%)

100억원 규모

사모 CB 발행 결정 속 급등

지역난방공사(+9.58%)

3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한화엔진(+9.27%)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에버다임(+9.13%)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푸틴과

우크라이나 전쟁관련 통화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급등

11.11 (월)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일승 ( +9.55% )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62% 상승

더본코리아 ( +6.76% )

11월6일 유가증권시장 신규 상장

HL홀딩스 ( +4.27% )

장 마감 후 보통주 295,340주 소각 결정

(소각예정일:2024-11-13) 공시.

기업가치 제고 계획(기존 주주환원정책의

자사주 소각을 3년에서 2년 단축 등) 공시

NHN ( +3.29% )

장 마감 후 보통주 615,400주(1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4-11-12~

2025-02-11) 공시. 장중

[NHN, 서브컬쳐 신작게임 ‘어비스디아’

공식 타이틀 공개] 기사

인디에프 ( +3.14% )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5.94% 급등

에어레인 ( +3.10% )

11월8일 코스닥시장 신규 상장

신송홀딩스 ( +2.71% )

장 마감 후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연장 결정

(기간:2024-12-17~2025-06-16,

한국투자증권(주)(KOREA INVESTMENT &

SECURITIES CO. LTD.)) 공시

교촌에프앤비 ( +2.53% )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75.70억원

(전년동기대비 +14.49%), 영업이익 76.42억원

(전년동기대비 -10.69%).

["복날에 신메뉴까지" 교촌 3분기

매출 1276억원…분기 기준 최대] 기사

이지스밸류리츠 ( +2.49% )

배당 서프라이즈 분석

등에 정규장 4.70% 상승

남광토건 ( +2.14% )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0.36% 급등

SBI인베스트먼트 ( +2.13% )

비트코인 8만1천달러 돌파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정규장 2.93% 상승

키다리스튜디오 ( +2.06% )

장 마감 후 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02.67억원

(전년동기대비 +18.23%),

영업이익 5.40억원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우리기술투자 ( +1.92% )

비트코인 8만1천달러 돌파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속

정규장 8.22% 강세

오리엔탈정공 ( +1.75% )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정규장 3.35% 상승

빛과전자 ( +1.44% )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군장투자조합 등 대상 685,400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발행가:1,459원, 상장예정:2024-12-17) 공시

이스트소프트 ( +1.40% )

장중 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9.37억원

(전년동기대비 +11.54%),

영업손실 32.68억원

(전년동기대비 적자폭 개선)

고려아연 ( +1.24% )

장 마감 후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최대주주 영풍 특별관계자((주)한국기업투자홀딩스)

소유주식수 변동 전자공시

(장내매수, 보유주식등에 관한 계약 변경).

[MBK·영풍, 고려아연 지분율 39.83%까지 끌어올려] 기사

하락종목

비트나인 ( -2.13% )

장 마감 후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주)타임폴리오자산운용) 소유주식수 변동

(사모2CB 행사가액 조정으로 인한

보유비율 변동) 전자공시

클로봇 ( -2.40% )

장 마감 후 612,242주

(행사비율 2.6%) 규모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공시

루미르 ( -2.70% )

장 마감 후 573,000주

(행사비율 3.34%) 규모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공시

제노포커스 ( -3.58% )

장 마감 후 333,084주

추가상장(국내사모 CB전환) 공시

나노브릭 ( -7.45% )

장 마감 후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양수도 계약 해제ㆍ취소 등 공시.

주주총회소집결의 철회 및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2건 철회 공시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2 (화) 장마감  (5) 2024.11.12
11.12 (화) 장마감 분석  (0) 2024.11.12
11.11 (월) 장마감 분석  (0) 2024.11.11
11.8 (금) 장마감  (10) 2024.11.10
11.8 (금) 장마감 분석  (0) 2024.11.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