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마감시황
7/8 KOSPI 2,857.76(-0.16%)
기관/개인 차익실현 매물(-),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속 외국인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고용시장 둔화 등에 따른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영국 총선 결과 소화 속 대부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862.58(+0.35P, +0.01%)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2,868.99(+6.76P, +0.2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오전 중 하락 전환하며 2,855.53(-6.70P, -0.23%)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강보합세로 돌아서기도 했지만, 재차 하락세로 돌아섰고 2,860선 부근에서
소폭 하락세를 이어가는 모습. 오후 들어 재차 반등에 성공하기도 했지만,
장후반 재차 하락했고 약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2,857.76(-4.47P, -0.16%)으로 장을 마감.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에도 최근 지수 강세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등이 출회되며
코스피지수는 소폭 하락, 4거래일만에 하락. 기관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기관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개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다만, 외국인이 현/선물시장에서 매수세를 이어가며 낙폭은 제한된 모습.
Fed 금리 인하 기대감,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기대감, 삼성전자 어닝 서프라이즈 속 지난 5일 2년5개월여 만에 2,860선을 넘어서는 등 연일 연고점 행진을 이어온 데 따른 숨고르기 장세를 보이며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차익실현 매물 등에 KB금융(-1.47%), 신한지주(-2.80%), 하나금융지주(-3.17%),
삼성생명(-5.02%), 미래에셋생명(-4.17%), 삼성화재(-3.66%), 현대해상(-2.03%),
삼성물산(-4.08%), LG(-2.29%), GS(-2.17%) 등 대표적 저PBR 관련주들이 하락.
삼성전자(+0.34%)는 장초반 2% 넘게 상승하며 52주 신고가를 또다시 경신하기도 했지만, 사상 첫 파업 영향 등에 상승폭 대부분을 반납하는모습. NAVER(+1.43%), 카카오(+2.17%) 등 인터넷 대표주는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했고, 두산에너빌리티(+7.47%) 등 원자력, HD현대중공업(+2.15%) 등 조선, 한화에어로스페이스(+4.14%) 등 방산 관련주가 상승.
다만, 지난 주말 발표된 美 고용지표가 둔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Fed 금리 인하 기대감은 지속되는 모습. 美 6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20만6,000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 19만1,000명 증가를 웃돌았지만, 앞선 4월과 5월 수치가 대폭 하향 조정되면서 고용시장이 냉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어 美 6월 실업률이 4.1%를 기록해 전월치이자 시장 예상치였던 4.0%를 상회, 지난 2021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이에 Fed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크게 높아졌고 美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대만이 상승한 반면, 일본, 중국, 홍콩은 하락하는 등 대부분 하락.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0원 상승한 1,383.3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3,468억, 1,854억 순매도, 외국인은 5,26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7,687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3,225계약, 4,516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4bp 상승한 3.119%,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5bp 하락한 3.212%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틱 오른 105.39로 마감. 외국인이 11,672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투신, 기타금융은 7,575계약, 2,033계약, 1,010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1틱 오른 115.15로 마감. 외국인이 6,887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6,592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삼성생명(-5.02%), 삼성물산(-4.08%), 하나금융지주(-3.17%), 신한지주(-2.80%), 현대모비스(-1.86%), 기아(-1.66%), KB금융(-1.47%), 삼성바이오로직스(-1.37%), 셀트리온(-1.29%), SK하이닉스(-1.06%), LG화학(-0.14%), 삼성SDI(-0.13%) 등이 하락.
반면, 카카오(+2.17%), NAVER(+1.43%), 현대차(+0.71%), 삼성전자(+0.34%), LG에너지솔루션(+0.28%), 포스코퓨처엠(+0.19%), POSCO홀딩스(+0.13%)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 음식료업(+2.53%), 기계(+1.82%), 의료정밀(+1.64%), 전기가스업(+1.35%), 서비스업(+0.69%), 건설업(+0.53%), 화학(+0.37%), 운수장비(+0.28%), 증권(+0.26%), 제조업(+0.11%), 철강금속(+0.10%), 종이목재(+0.10%), 전기전자(+0.04%) 업종 등이 상승. 반면, 보험(-3.92%), 운수창고(-1.83%), 금융업(-1.45%), 유통업(-1.41%), 의약품(-1.04%), 통신업(-0.51%), 섬유의복(-0.48%), 비금속광물(-0.22%)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857.76P(-4.47P/-0.16%)
코스닥 마감시황
7/8 KOSDAQ 859.27(+1.39%)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속 외국인 순매수(+),
2차전지/화장품/반도체 등 기술/성장주 강세(+)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고용시장 둔화 속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48.59(+1.10P, +0.13%)로 강보합 출발.
장중 저점에서 출발한 지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
장 막판까지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결국장중 고점인 859.27(+11.78P, +1.39%)로 장을 마감.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속 2차전지, 화장품, 반도체, 엔터, 일부 제약/바이오 등
기술/성장주들 이 강세를 보인 영향으로 코스닥지수는 1% 넘게 상승.
4거래일 연속 상승. 외국인이 4거래일 연속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기관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테슬라 8거래일 연속 상승 랠리 영향 등에
에코프로비엠(+4.47%), 에코프로(+6.21%), 레몬(+7.85%), 대보마그네틱(+6.85%)
등 2차전지 관련주가 강세를 나타냈고,
리더스코스메틱(+29.97%), 뷰티스킨(+10.92%), 코스메카코리아(+9.57%), 토니모리(+9.38%), 실리콘투(+7.00%) 등 화장품 관련주들이 아마존 프라임데이 기대감 등에 강세.
리노공업(+1.59%), 이오테크닉스(+2.64%), HPSP(+4.01%) 등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802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385억, 47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실리콘투(+7.00%), 에코프로(+6.21%), 에코프로비엠(+4.47%), HPSP(+4.01%), 클래시스(+3.77%), 이오테크닉스(+2.64%), 테크윙(+2.60%), 레인보우로보틱스(+2.00%), 리노공업(+1.59%), 리가켐바이오(+1.13%),휴젤(+0.88%), 셀트리온제약(+0.11%) 등이 상승. 반면, 알테오젠(-2.33%), 엔켐(-1.30%), 삼천당제약(-1.12%), 솔브레인(-1.00%), HLB(-0.97%), 펄어비스(-0.33%), 동진쎄미켐(-0.25%)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금융(+4.18%), 건설(+2.66%), 출판/매체복제(+2.01%), 일반전기전자(+1.92%), 유통(+1.89%), 음식료/담배(+1.69%), 오락/문화(+1.62%), 섬유/의류(+1.44%), 제조(+1.39%), 제약(+1.35%),비금속(+1.11%)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운송(-0.69%), 기타 제조(-0.41%)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59.27P(+11.78P/+1.39%)
테마시황
상승테마
6월 냉동김밥 수출액 100억원 상회, K-푸드 글로벌 열풍 지속 속 사조대림, 증권사 저평가 분석 등에 수산/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육계,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등테마도 상승.
체코 신규 원전 수주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우호적인 조선업황 및 수주 기대감 지속, HD현대중공업 3,430억(최근 매출액대비 2.87%) 규모 VLGC 2척, HD현대미포 1,49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70%) 규모 50K P/C 2척 수주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테슬라 8거래일 연속 상승 랠리 영향 등에 2차전지/전기차/ 리튬 테마 상승.
테슬라 로보택시 기대감 지속 등에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4분기부터 비중확대 구간 진입 전망 등에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GLP-1 비만약, 당뇨환자 비만 관련 암 위험 감소 효과 소식 속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아마존 프라임데이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한국, 글로벌해상풍력연합(GOWA) 합류 소식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삼성전자, 美 지역통신사 목표 5G 네트워크 장비 시장 공략 강화 소식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영천, 안동에 이어 전일 경북 예천서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발생 소식등에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테마 상승.
효성중공업(+6.60%)이 노르웨이 송전청과 3,035.1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06%) 규모 420kV 변압기 등 공급계약 체결 등에 상승한 가운데, 전력설비/ 전선 테마 상승.
수출입은행, UAE 태양광발전사업에 PF금융 1억 5,000만 달러 제공 소식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이 외에 초전도체, 항공기부품, 골판지 제조, 핵융합에너지, 의료AI, 해저터널( 지하화/지하도로 등), 유전자 치료제/분석, 마이크로바이옴, 영화, 영상콘텐츠, 탈모 치료, 여행, 원격진료/비대면진료, 철도,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탄소나노튜브, 광고, 셰일가스, 인터넷 대표주, 야놀자, 메타버스, 증강현실,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가자전쟁 휴전 가능성에 따른 해상운임 상승세 둔화 등에 해운/ 종합 물류 테마 하락.
생명보험, 은행, 손해보험, 자동차 대표주, 일부 지주사 등 밸류업 프로그램 관련
저PBR 관련주 하락.
이 외에 정유, IT 대표주, 모듈러주택, 종합상사, 제지, 건설 대표주, 통신, 유리 기판, 철강 주요종목, 항공/저가 항공사, 건설 중소형, LPG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수산/ 음식료업종
K-푸드 글로벌 열풍 지속 속 사조대림, 증권사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K-푸드의 글로벌 열풍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하나증권이 사조대림에 대해 목표주가를 현재 주가의 2배가까운 16만원으로 신규 제시하면서 수산 및 음식료업종에 대한 관심이 재부각되는 모습.
하나증권은 사조대림에 대해 올해 연결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2조5,591억원(YoY 24.0%), 1,918억원(YoY 49.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푸디스트’ 실적을 아직 반영하지 않은 수치임. 올해 큰 폭의 이익 증가는 원가율 개선 및 수출 확대에 따른 본업(가공식품)의 수익성 개선, ‘사조CPK’의 로열티 지급 종료및 곡물 투입가 안정 기인해 호실적이 예상된다고 밝힘. 중장기적으로는 ‘푸디스트’와의 원재료 통합 구매 및 제조 역량 강화, 유통 채널확보 기인한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겠다며, 내년 ‘푸디스트’ 실적이 온기 반영될 경우, 연결 매출액은 4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 현 주가는 12개월 Fwd PER 5배에 불과하다며, 강화된 펀더멘탈 대비 현저히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된다고 밝힘.
한편, 지난 4일 관세청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6월 김밥 수출액은 808만 달러로 잠정 집계. 이는 전년동월대비 475% 증가한 규모이며, 올해 1월 대비로도 3배 정도 규모임.
이 같은 소식 속 사조씨푸드, 사조대림, 사조산업, 사조오양 등 사조 그룹주를 비롯해 한성기업, CJ씨푸드, 국순당, 샘표식품, 신송홀딩스 등 수산/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체코 신규 원전 수주 기대감 등에 상승
총 사업비 30조원 규모 체코 신규 원전 수주전 결과가 이달 중순경에 발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업계에 따르면, 발주처인 체코전력공사가 한수원과 EDF의 입찰안 평가서를 지난달 14일 체코 정부에 제출했음. 이는 발주처인 체코전력공사가 심사를 마치고 체코 정부의 최종 검토 단계에 돌입했다는 뜻임. 통상적으로 검토 과정은 약 한 달이 걸리는 만큼, 우선협상대상자는 이달 중순경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체코 신규원전 건설사업은 프라하에서 남쪽으로 220km 떨어진 두코바니와 130km 떨어진 테믈린에 각각 2기씩 총 4기 원전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사업비는 총 30조원에 달할 전망임.
이 같은 소식 속 우리기술, 오르비텍, 두산에너빌리티, 한전기술, 우진엔텍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우호적인 조선업황 및 수주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주 신조선가지수는 187.53pt(+0.30pt), 중고선가지수는 180.03pt(+0.11pt)를 기록했다고 언급. EPS, SFL Corp, Seaspan Corp, Capital Maritime은 중국 New Times SB에 총 32척(8.4K-TEU 10척, 16.8KTEU 10척, 18K-TEU 12(8+4)척)의 대규모 컨테이너선 시리즈 물량을 발주하며신조선가지수 상승을 견인했다고 설명. 아울러 현재 Maersk, Hapag-Lloyd, COSCO 등의 탑-티어 라이너들 또한 컨테이너선 발주를 준비 중인것으로 파악되며, 이 중 일부는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과 협의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언급.
HD현대미포는 오세아니아 소재 선사와 1,495.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70%) 규모 공급계약(50K P/C 2척) 체결(계약기간:2024-07-05~2027-03-31) 공시. HD현대중공업은 중동 소재선사와 3,43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87%) 규모 공급계약(VLGC 2척) 체결(계약기간:2024-07-05~2027-06-30) 공시.
이 같은 소식에 HD현대미포,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HD현대중공업, 오리엔탈정공,
세진중공업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2차전지/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테슬라 8거래일 연속 상승 랠리 영향 등에 상승
지난 주말 뉴욕증시는 고용시장이 둔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Fed 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속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테슬라(+2.08%)는 8거래일 연속 상승해 251달러를 상회했고, 올해 기준 수익률이 플러스로 돌아섰음.
지난 분기 차량 인도량이 시장의 예상을 상회한 데 이어 이달 말 발표되는 2분기 실적이 좋은 것이란 기대감과 8월8일 공개하는 자율주행차 ‘로보택시’에 대한 기대감 등이 지속. 아울러, 지난 4일 장쑤성 정부조달 홈페이지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 Y는 '장쑤성 당·정부기관·단체 조직 2024~2025년 신에너지 자동차기본 계약 구매 입찰 공고'에서 장쑤성 정부의 신에너지 차량 조달 목록에 포함됐다는 소식도 전해짐.
전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 Y는 지난 1~6월 국내에서 1만41대가 등록됐음.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등록 대수인 2,027대보다 약 5배 증가한 수치로 테슬라 차량이 반기 기준 1위를 차지한 건 이번이 처음임.
이 같은 소식 속 대보마그네틱,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 이닉스, 코스모신소재, 윈텍, 천보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상승. 또한, 로보택시 기대감 지속 속 모바일어플라이언스, 현대오토에버, 팅크웨어, 넥스트칩 등 자율주행차 테마도 상승.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4분기부터 비중확대 구간 진입 전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엔터사에 대해 팬덤이 가장 강력한 BTS와블랙핑크의 공백이 있었고, 중국 앨범 공구 감소 지속과 인적 리스크 등 실적과 모멘텀이 예상보다 훨씬 부진하면서 SM을 제외한 3사 모두 연간 감익 및 디레이팅이 이어졌다고 분석.
다만, 4분기부터는 중국 앨범 감소 영향이 마무리 될 것이며, 내년에는 BTS와 블랙핑크가돌아온다고 언급. 또한, 하이브의 플랫폼 유료화 전략도 연내 구체화 될 것이고, 하반기에만 4팀의 신인 그룹이 추가로 데뷔할 것이라고 밝힘. 이에 3분기까지는 기회 비용이 있을 수 있겠지만, 4분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재차 비중확대 구간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디어유, NEW, 키이스트, 와이지엔터테인먼트, JYP Ent., 에스엠 등 음원/음반/엔터테인먼트 테마가 상승. SM C&C, 키이스트는 SM엔터테인먼트가 매각 주관사로 딜로이트안진을 선정했다는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
비만치료제
GLP-1 비만약, 당뇨환자 비만 관련 암 위험 감소 효과 소식 속 상승
언론에 따르면,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의대 네이선 A. 버거 교수팀은 지난 6일 의학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에서 당뇨 치료제로 GLP-1 작용제와 인슐린, 메트포르민을 복용한 당뇨 환자 165만여 명의 15년간 전자 건강 기록(EHR)을 분석, GLP-1 작용제와 10개 비만 관련 암 사이에서 이런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힘.
분석 결과 GLP-1 작용제 처방 그룹은 인슐린 처방 그룹에 비해 식도암과 대장암, 자궁내막암, 담낭암,신장암, 간세포암, 난소암, 췌장암, 수막종, 다발성 골수종 등 10가지 암 발생 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위험 감소 폭은담 낭암이 65%로 가장 크고 수막종 63%, 췌장암 59%, 간세포암 53%, 유방암 48%, 난소암 48%, 대장암 46%, 다발성 골수종 41%, 식도암 40%,자궁내막암 26%, 신장암 24% 등임.
아울러 노보노디스크 비만치료제 삭센다 특허가 올해 만료될 예정인 가운데, 글로벌 비만치료제시장 확대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 속 블루엠텍, 펩트론, 고바이오랩, 인벤티지랩, 올릭스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
화장품
아마존 프라임데이 기대감 등에 상승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7월16~17일(현지시간) 이틀에 걸쳐 대규모 온라인 할인 행사인 '프라임 데이'를 개최할 예정. 아마존은 이전처럼 이번 프라임 데이 행사에서도 수백만 건의 할인 혜택을 제공할 계획으로 행사 기간 특정 시간대에는 5분마다 새로운 할인 혜택이 제공될 예정. 프라임 데이 행사는 아마존 매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행사 기간 미국 내에서127억 달러의 온 라인 매출을 기록. 이는 2022년 119억 달러를 넘은 사상 최대임.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K-뷰티 글로벌 확산스토리가 견조한 가운데, 미국(+469%), 중국(+233%), 홍콩(+73%) 등 글로벌 판로 개척을 통해 K-뷰티 아이템 점유율 상승에 기여했다고 밝힘. 이에 업종 밸류에이션 상승 합당하다 판단하는 바, Positive 관점 유지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토니모리, 잉글우드랩, 제닉, 제이투케이바이오, 코스메카코리아,
브이티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풍력에너지
한국, 글로벌해상풍력연합(GOWA) 합류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2022년 11월 출범한 ‘글로벌해상풍력연합(GOWA)’에 한국이 21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할 것으로 전해짐. 미국, 영국 등 서방 20개 국가와 베스타스를 비롯한 글로벌 해상풍력 기업 6곳 등이 가입한 GOWA는 중국이 회원사로 있는 세계풍력에너지협회(GWEC)의 대항마로 부상한 협의체임. 이번 합류는 중국을 대체할 한국의 ‘해상풍력 파운드 리(수탁생산)’ 역량을 높이 산 것으로 알려졌음.
정부 및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GOWA 합류를 결정하고 하반기 가입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 정부 관계자는 “한국은 해상풍력발전소를 설립하는 데 필요한 밸류체인을 모두 갖추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중국산 배제 움직임에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
한편, GOWA는 이집트에서열린 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처음 조직됐으며, 중국이 태양광발전 시장을 장악한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것이 결성 배경으로 꼽히고 있음. 또한, 연합 소속 국가는 국산화 규정(LCR)과 자국 기업에 대한 보조금 정책으로 중국 업체를 견제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유니슨, 한전기술, 태웅, 세진중공업, SK오션플랜트, 효성중공업,
삼영엠텍, 우림피티에스 등 풍력에너지 테마가 상승.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삼성전자, 美 지역통신사 목표 5G 네트워크 장비 시장공략 강화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미국 지역통신사를 겨냥한 5G 이동통신네트워크 장비 공략을 강화한다고 전해짐.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 지역 통신사를 지원하기 위해 '백엔드 지원팀'을 구성했다며, 백엔드 지원팀은 미국 지역 이통사의 5G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기술 지원과 컨설팅을 담당하는 역할로 지역 통신사 시장 공략을 위한 조직을 확충한 것이라고 알려짐.
이제 막 5G 구축에 들어가는 지역통신사를 대상으로, '엔드 투 엔드' 5G 솔루션을 공급해 수익을 창출한다는 목표로 지역 이통사들은 LTE에서 5G 구축을 시작하려는 단계이며, 특히, 지역 이통사들은 미국의 넓은 국토 면적 특성상 5G를 유선망 대용으로 활용하는 고정형 무선접속장치(FWA) 시장 전망이 밝아지고 있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기가레인, 오이솔루션, 다보링크,우리넷, RFHIC 등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해운/ 종합 물류
가자전쟁 휴전 가능성에 따른 해상운임 상승세 둔화 등에 하락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상승세가 둔화되는 모습. 지난 5일(현지시간) 상하이컨테이너지수(SCFI)는 3,733.80로, 전주 대비 19.48P(+0.52%) 상승했음. 13주 연속 상승흐름을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둔화됐음.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휴전이 가속화되고 있는 점이 상승세 둔화 요인으로 꼽히고 있음. 외신에 따르면, 하마스는 임시휴전과 현재 남아 있는 인질 석방에 합의할 것을 시사했음. 이전까지 하마스는 인실 석방의 조건으로 영구휴전을 요구했지만, 이스라엘의 요구에 따라 한발 물러선 것임.
이 같은 소식 속 STX그린로지스, HMM, 팬오션, 대한해운, 삼일, 태웅로직스 등
해운/ 일부 종합 물류테마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사조씨푸드(+29.97%)
수산 테마 상승 및 사조대림,
증권사 저평가 분석에 사조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리더스코스메틱(+29.97%)
아마존 프라임데이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사조대림(+29.93%)
수산 테마상승 및 증권사
저평가 분석에 상한가
코아스(+29.89%)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등에 상한가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29.86%)
젝시믹스 온라인몰 40·50대신규
가입자 수 증가 소식에 상한가
바이오니아(+26.94%)
자회사 에이스바이옴, 다이어트 유산균
'비에날씬' 中 시장 진출 소식에 급등
우리기술(+20.93%)
풍력에너지 및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사조산업(+19.24%)
수산 테마 상승 및 사조대림,
증권사 저평가 분석에
사조그룹주 상승 속 급등
고바이오랩(+18.58%)
GLP-1 비만약, 당뇨환자 비만 관련
암 위험 감소 효과 소식 속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급등
한성기업(+17.06%)
K-푸드 글로벌 열풍 지속 속 사조대림,
증권사 저평가 분석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속 급등
제이투케이바이오(+16.71%)
아마존 프라임데이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CJ씨푸드(+15.53%)
K-푸드 글로벌 열풍 지속 속 사조대림,
증권사 저평가 분석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속 급등
블루엠텍(+15.06%)
GLP-1 비만약, 당뇨환자 비만 관련
암 위험 감소 효과 소식 속
비만치료제 테마상승 속 급등
사조동아원(+14.80%)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및 사조대림,
증권사 저평가 분석에 사조그룹주
상승 속 급등
LS마린솔루션(+14.27%)
최대주주 LS전선, 동사
지분추가매수 속 급등
사조오양(+13.12%)
수산 테마 상승 및 사조대림,
증권사 저평가 분석에
사조그룹주 상승 속 급등
펩트론(+12.89%)
GLP-1 비만약, 당뇨환자 비만 관련
암 위험 감소 효과 소식 속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급등
SM C&C(+12.79%)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속
SM엔터테인먼트, 동사·키이스트
매각 주관사 선정소식에 급등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12.68%)
최대주주 대상 총 6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및 400억원
규모 전환사채 발행 결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에스바이오메딕스(+11.70%)
파킨슨병 치료제 ‘TED-A9’
임상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오르비텍(+11.55%)
체코 신규 원전 수주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퀀텀온(+11.50%)
서울대와 양자배터리 기술확보 추진
모멘텀 지속 및 자금조달 금지
가처분 소송 취하 등에 급등
메디콕스(+11.08%)
우호적인 조선업황 및 수주
기대감 지속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급등
일신바이오(+11.07%)
삼성바이오로직스, 1.46조원 규모
의약품 위탁생산계약 체결 사실 부각 속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동결건조기 공급
이력 부각에 급등
뷰티스킨(+10.92%)
아마존 프라임데이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넥슨게임즈(+10.88%)
신작 퍼스트 디센던트,
동시 접속자 26만명 돌파 소식 등에 급등
케어랩스(+10.52%)
자회사 굿닥,
구글과 연동 소식 부각에 급등
HLB파나진(+10.49%)
자회사 바이오스퀘어 RSV 체외진단
의료기기 국내 허가 소식 및 HLB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FDA 승인
재추진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코스메카코리아(+9.57%)
아마존 프라임데이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토니모리(+9.38%)
아마존 프라임데이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스트(+9.17%)
이스라엘 방산업체와 추가
납품 계약 소식에 급등
다보링크(+9.07%)
삼성전자, 美지역통신사 목표 5G
네트워크 장비 시장 공략 강화 소식에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제이엔비 +9.98%
삼성전자, 최근 복수 협력사로부터
메모리 패키징용 차세대 테스트 장비
도입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유니테크노 +9.85%
시간외 일부 전력저장장치(ESS) 테마 상승.
삼성SDI, 美 전력기업에 1조원대 ESS용
배터리 공급 추진 모멘텀 지속 속 수혜주로 부각.
장 마감 후 [[시간외 특징주] 유니테크노,
고객사 미국에 1조원대 대형 호재로 급등]기사
오가닉티코스메틱 +9.80%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CHEN YUXIANG 등 대상 100,000,000주
(102.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발행가:102원, 상장예정:2024-08-05) 공시
에이에스텍 +8.32%
장 마감 후 600억원(자기자본대비 128.20%)
규모 신규시설(사업확장에 따른
제조시설 신축공사) 투자 결정 공시
한중엔시에스 +6.13%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잠정실적 발표,
ESS 매출 확대 등에 시간외 일부
전력저장장치(ESS) 테마 상승
오킨스전자 +4.92%
삼성전자, 최근 복수 협력사로부터 메모리
패키징용 차세대 테스트 장비 도입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테마 상승
캐리 +3.57%
시간외 일부 전력저장장치(ESS) 테마 상승.
장 마감 후 주주총회소집결의(임시주주총회) 공시
GS글로벌 +3.31%
장 마감 후 종속회사 지에스엔텍,
2,140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15.27%)
유형자산(해상풍력하부구조물 제작 기계설비)
취득 결정 공시
네오셈 +2.97%
시간외 일부 반도체/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테마 상승. 장 마감 후 [삼성전자, 차세대
메모리 테스터 도입...엑시콘·네오셈에
'러브콜'] 기사
유일에너테크 +2.81%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잠정실적 발표,
ESS 매출 확대 등에
시간외 일부 전력저장장치(ESS) 테마 상승
바이오니아 +2.34%
자회사 에이스바이옴, 다이어트 유산균
'비에날씬' 中 시장 진출 소식에
정규장 26.94% 급등
와이엠텍 +2.20%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잠정실적 발표,
ESS 매출 확대 등에
시간외 일부 전력저장장치(ESS) 테마 상승
에이비엘바이오 +1.72%
장중 [에이비엘바이오, ROR1
표적 단일항체 美 특허 결정] 기사
라메디텍 +1.72%
당뇨환자 대상 레이저 채혈기 유효성
확인 소식에 정규장 3.57% 상승.
[라메디텍, '레이저 채혈기'
유효성 확인 논문 발표] 기사
디아이티 +1.67%
삼성전자, 최근 복수 협력사로부터
메모리 패키징용 차세대 테스트 장비 도입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반도체/HBM
(고대역폭메모리) 테마 상승
신성에스티 +1.61%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잠정실적 발표,
ESS 매출 확대 등에 시간외 일부
전력저장장치(ESS) 테마 상승
하락종목
블루엠텍 -1.62%
시간외 비만치료제 테마 하락
디앤디파마텍 -1.63%
시간외 비만치료제 테마 하락
인벤티지랩 -1.71%
시간외 비만치료제 테마 하락
대봉엘에스 -1.84%
시간외 비만치료제 테마 하락
펩트론 -2.06%
시간외 비만치료제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투자주의]15일간
상승종목의 당일 소수계좌
매수관여 과다종목 공시
HLB파나진 -2.43%
장 마감 후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및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강동씨앤엘 -2.95%
장 마감 후 [투자주의]종가급변종목 공시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3.02%
장 마감 후 65,753,081주 추가상장
(유상증자(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공시
고바이오랩 -3.66%
시간외 비만치료제 테마 하락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9 (화) 장마감 (0) | 2024.07.09 |
---|---|
7.9 (화) 장마감 분석 (0) | 2024.07.09 |
7.8 (월) 장마감 분석 (0) | 2024.07.08 |
7.5 (금) 장마감 (0) | 2024.07.07 |
7.5 (금) 장마감 분석 (0) | 2024.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