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3.21 (목) 장마감

by 장주공 2024. 3. 22.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3/21 KOSPI 2,754.86(+2.41%)

Fed 연내 3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어닝 서프라이즈(+),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올해 3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FOMC 결과 대기 속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731.18(+41.04P, +1.53%)로 갭상승 출발.

장초반 2,724.25(+34.11P, +1.2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점차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확대하던 지수는 2,755.45(+65.31P, +2.4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후반 일부 상승폭을 반납하기 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키워 결국 장중 고점 부근인

2,754.86(+64.72P, +2.41%)으로 장을 마감.

美 Fed 올해 3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어닝 서프라이즈 등에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되며 코스피지수는 2% 넘게 급등.

종가 기준 2022년 4월5일 이후 약 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 외국인과 기관이 이틀 연속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급등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1조8,0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며 지난달 2일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기관은 1조원 넘게 순매수하며 지난해 12월20일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16,000계약 넘게 순매수.

밤사이 美 FOMC에서 연내 세 차례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유지된 가운데,

뉴욕 3대 지수가 동반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점이 국내증시에도 호재로 작용.

Fed는 시장 예상대로 연방기금금리를 기존 5.25~5.5%로 5회 연속 동결하면서 점도표를 통해

올해 연말 금리 전망치를 종전대로 4.6%로 유지했음.

이는 현재 5.25~5.5% 수준에서 0.25%포인트씩 3회 인하가 가능함을 예고한 것으로,

당초 연내 금리 인하 횟수를 3회에서 2회로 줄일 것이란 우려가 해소되는 모습.

다만, 내년과 내후년 금리 전망치는 상향해 더 느린 속도로 금리가 내려갈 것을 시사.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1, 2월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해 일희일비하지 않는다는 뜻을

언급하는 등 연내 금리 인하 방침을 재확인했음.

美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점도 반도체 관련주를 중심으로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뉴욕증시 장 마감 후 2024회계연도 2분기 매출이 58억2,000만 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으며, 일반회계기준(GAAP)상 순이익 7억9,300만 달러,

주당 0.71달러를 기록해 흑자로 돌아섰음.

조정 순이익은 4억7,600만 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42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2배 가까이

상회. 이어 3분기 매출은 66억 달러로 시장 전망치 60억2,000만 달러를 10%가량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에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시간외 거래에서 급등세를 기록했고,

이날 국내증시에서도 SK하이닉스(+8.63%), 삼성전자(+3.12%) 등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를 보임.

최근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배당과 자사주 소각에 대한

법인세 감면 혜택을 추진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신한지주(+4.30%), KB금융(+3.12%) 등 은행, 삼성화재(+8.72%), 동양생명(+5.16%) 등 보험,

SK스퀘어(+10.95%), 삼성물산(+5.63%) 등 지주사,

현대차(+4.56%), 현대모비스(+5.14%) 등 자동차 등 저PBR 관련 업종들의 강세도 이어지는 모습.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이 하락한 반면, 일본, 대만, 홍콩은 상승하는 등 대부분 상승.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7.4원 급락한 1,322.4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조8,783억, 1조506억 순매수, 개인은 2조9,100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6,164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404계약, 16,430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6.5bp 하락한 3.306%,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4.0bp 하락한 3.41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7틱 오른 104.82로 마감. 보험, 외국인,금융투자가 604계약, 529계약, 432계약 순매수, 투신, 은행, 기타금융은 773계약, 456계약, 455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32틱 오른 113.33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2,313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3,337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SK하이닉스(+8.63%), 삼성물산(+5.63%), 현대모비스(+5.14%), 현대차(+4.56%), 신한지주(+4.30%), KB금융(+3.12%), 삼성전자(+3.12%), 하나금융지주(+3.06%), 삼성생명(+1.67%),

셀트리온(+1.47%), LG에너지솔루션(+1.47%), 카카오(+1.32%), 포스코퓨처엠(+0.95%),

삼성바이오로직스(+0.82%), NAVER(+0.71%), 삼성SDI(+0.55%), POSCO홀딩스(+0.35%),

LG화학(+0.11%) 등이 상승. 기아만 보합 마감.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상승.

보험(+3.93%), 전기전자(+3.40%), 금융업(+3.06%)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유통업(+2.65%), 제조업(+2.48%), 전기가스업(+2.29%),운수장비(+2.27%), 증권(+1.85%), 의료정밀(+1.69%), 통신업(+1.36%), 건설업(+1.33%) 등이 큰 폭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754.86P(+64.72P/+2.41%)

코스닥 마감시황

3/21 KOSDAQ 904.29(+1.4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어닝 서프라이즈(+),

외국인/기관 순매수(+), 반도체·통신장비·제약株 강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올해 3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00.46(+9.01P, +1.01%)로 강세 출발.

장초반 899.24(+7.79P, +0.8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빠르게 상승폭을 확대해 오전 중 906.26(+14.81P, +1.66%)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일부 상승폭을 반납하다

오후 장중 903선 아래로 밀려나기도 했지만, 장후반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결국

904.29(+12.84P, +1.44%)로 장을 마감.

美 Fed 올해 3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어닝 서프라이즈 등

미국發 호재가 이어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코스닥지수는 1% 넘게 상승.

종가 기준 900선을 회복하며 지난해 9월11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

美 마이크론 어닝 서프라이즈 속 SK하이닉스(+8.63%), 삼성전자(+3.12%)가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동진쎄미켐(+16.52%), 유진테크(+14.03%), 피에스케이(+9.53%), 원익QnC(+7.32%) 등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

통신장비주 대세 상승기 진입 분석 및 AI 활성화에 따른 신규 주파수 투자 가능성 등에

케이엠더블유(+21.11%), 인포마크(+16.44%), 와이어블(+12.26%), 에이스테크(+11.74%) 등

통신장비 테마도 강세.

HLB(+8.57%), HLB생명과학(+12.59%) 등 HLB 그룹주를 비롯한 제약/바이오株도 강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592억, 177억 순매수, 개인은 3,623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동진쎄미켐(+16.52%), HLB생명과학(+12.59%), HLB(+8.57%), 레고켐바이오(+4.82%), 레인보우로보틱스(+4.58%), 에코프로비엠(+4.15%), 솔브레인(+3.29%), 클래시스(+2.75%), 셀트리온제약(+2.69%), HPSP(+2.33%), 에코프로(+1.65%), 삼천당제약(+1.04%), 알테오젠(+0.36%) 등이 상승. 반면, 엔켐(-5.02%), 휴젤(-2.25%), 리노공업(-1.00%), 신성델타테크(-0.91%), 이오테크닉스(-0.83%), 위메이드(-0.53%) 등은 하락. JYP Ent.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통신장비(+4.96%), 제약(+3.45%)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일반전기전자(+2.78%), 비금속(+2.75%), 음식료/담배(+1.92%), 제조(+1.76%), 운송(+1.65%), 금융(+1.61%), 반도체(+1.61%), IT H/W(+1.59%), 기타서비스(+1.33%), 통신서비스(+1.27%), 건설(+1.23%), 유통(+1.15%) 업종 등이큰 폭 상승. 반면, 인터넷(-3.48%), 기타 제조(-0.84%), 화학(-0.71%), 섬유/의류(-0.53%) 등 일부 업종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904.29P(+12.84P/+1.44%)

테마시황

상승테마

美 마이크론 어닝 서프라이즈 및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삼성전자 HBM 테스트 언급 모멘텀 지속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시스템반도체, 뉴로모픽 반도체, 온디바이스 AI,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통신장비주 대세 상승기 진입 분석 및 AI 활성화에 따른 신규주파수 투자 가능성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ELS 손실배상에도 2024년 양호한 이익 전망 등에 은행 테마 상승. 생명보험, 손해보험 등

저PBR 관련 테마, 증시 상승 속 증권 테마가 상승하는 등 여타 금융 테마도 동반 상승.

Euro 7 환경 규제 완화 수혜 기대감 및 2분기 자동차 수출 호조 전망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네덜란드 연구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이용 에이즈 치료 방식 소개 등에

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 상승.

비트코인 반등 영향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등)/ 두나무(Dunamu) 테마 상승.

엔비디아-유니버설로봇 AI 협동로봇 동맹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삼성전자, 차세대 전력반도체 및 증강현실(AR) 글래스를 위한 마이크로 LED 기술 등

적극 개발 소식 등에 AR(증강현실)/마이크로 LED 테마 상승.

美/中 갈등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및 日 마이너스 금리 해제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부각 등에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세포라코리아 철수 결정 모멘텀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테슬라(+2.53%), 루시드 그룹(+3.33%), 리비안(+0.89%)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속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이 외에 비만치료제, IT 대표주, 야놀자, 골판지 제조, 전선, 비철금속, mRNA, 건강기능식품, 바이오시밀러, 자원개발, 출산장려정책, 니켈, 종합상사, 그래핀, 창투사, 보톡스, 초전도체, 마리화나(대마),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치매, 타이어,건설기계, 전력설비, 통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하락테마

日 독성 감염병 확산 소식 등에 전일 시장에서 부각됐던 일부 코로나19(진단키트),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테마 하락.

이 외에 소매유통, 밥솥, 탄소나노튜브, 영상콘텐츠,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빈대,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일부 테마만이 하락.

반도체 관련주

美 마이크론 어닝 서프라이즈 및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삼성전자 HBM 테스트 언급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 장 마감 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2024회계연도 2분기 매출이 58억2,000만 달러를 기록,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 일반회계기준(GAAP)상 순이익은 7억9,300만 달러, 주당 0.71달러를 기록해 흑자 전환, 조정 순이익은 4억7600만 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42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2배 가까이 상회. 회계연도 3분기 매출은 66억 달러로 시장 전망치 60억2,000만 달러를 10%가량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음.

산자이 메로트라 CEO는 "우리는 마이크론이 반도체 업계에서 인공지능(AI)이 제공하는 다년간의 기회에서 가장 큰 수혜자 중 하나라고 믿는다"고 밝힘. 이어 2024년에는 반도체 산업이 반등할 것이고 2025년에는 기록적인 매출 수준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음. 마이크론은 "지난 2분기 HBM3E으로부터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이 반도체는 엔비디아 AI 가속기의 일부"라고 설명. 아울러, 2024 회계연도에 수억 달러의 HBM 매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2025년에도 HBM의 생산량 대부분이 이미 판매 계약이 끝났다고 밝힘.

이에 마이크론의 주가는 뉴욕증시 시간외거래서 18% 넘게 급등.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삼성전자 HBM 테스트 언급 모멘텀도 지속되고 있음.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삼성전자의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테스트하고 있다고 밝힘. 젠슨 황 CEO는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GTC 24' 둘째 날인 이날 '삼성의 HBM을 사용하고 있나'라는 질문에 "아직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현재 테스트하고(qualifying) 있 으며 기대가 크다"고 언급.

일부 언론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오는 28일(현지시간) 삼성전자에 지원할 반도체 보조금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짐. 삼성전자가 미국 정부에 추가 투자를 약속하면서 보조금 액수가 당초 블룸버그가 관측한 60억달러(약 8조원)보다 많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한편,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Fed 올해 3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상승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5.38(+1.60%) 상승한 4,788.18를 기록. 엔비디아(+1.09%), 퀄컴(+2.18%), 인텔(+0.36%) 등이 상승. Fed가 FOMC 회의를 마치고 시장 예상대로 연방기금금리를 기존 5.25~5.5%로 동결한 가운데, 제롬 파월 Fed 의장이 1, 2월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해 일희일비하지 않는다는 뜻을 밝혔으며, 올해금리 인하 횟수 전망치를 종전대로 3회로 유지하면서 안도감이 형성되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유진테크,피에스케이, 동진쎄미켐, 타이거일렉, 테크윙,

케이씨텍, 하나머티리얼즈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통신장비주 대세 상승기 진입 분석 및 AI 활성화에 따른 신규 주파수 투자 가능성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거래량, 발생 예상 이벤트로 보면 통신장비주는 이미 대세 상승기로 진입 중이라고 밝힘. 최근 화웨이, 노키아 등 글로벌 통신장비업체들을 중심으로 5G Advanced 상용화, 6G Ready 장비 출시를 예고하고 있고 삼성전자 역시 이러한 흐름에 편승하며 5G 도입기 초반 부진에 대한 설욕을 준비 중이라고 언급. 선행 지표 역할을 하는 주파수 공급 계획 및트래픽 동향도 양호하다며, 통신업계 전반적으로 AI가 급부상하는 가운데 고주파수 발굴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설명.

아울러 AI 활성화로 2025년엔 전세계적으로 신규 주파수 투자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이와 관련, 국내 과기부가 디지털 스펙트럼 플랜을 발표하였고 2024년내 신규 주파수 경매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비추었으며 제반 일정을 감안하면 6~7월 주파수 할당 공고가 나오고 10~11월 주파수 경매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언급. 미국 주파수 경매도 2024년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현재 상황은 LTE Ready 장비가 도입되었던 2010년과 흡사하며 5G의 실패와 AI의 활성화가 5G Advanced의 조기 상용화, 6G Ready 장비의 도입을 촉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통신장비 업종에서 새로운 아이템이 주도 업종으로 부상할 가능성은 낮다며, 여전히 기지국/인빌딩/스몰셀 업체를 주목하는 가운데 위성 장비 업체에 관심을가져야 한다고 언급. 더불어 최근 3년간 주가 하락 폭이 크거나 오르지 못한 2025년 실적 호전 통신장비주에 주목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에이스테크, 케이엠더블유, 라이트론, 인포마크, 이노와이어리스, RFHIC 등

통신장비/5G(5세대 이동통신) 테마가 상승.

은행

ELS 손실배상에도 2024년 양호한 이익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은행들의 ELS 손실배상 규모는 작지 않을 전망이나 자본비율을 유지하면서 주주친화정책을강화하는데 어려움 없을 것으로 전망. 아울러 은행업종 PBR은 2024년말 BPS 기준 시가총액 가중평균 0.45배, 단순평균 0.37배로 손실배상을반영해도 ROE 전망치 8.6%를 감안하면 PBR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밝힘.

또한, 밸류업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하고, 은행주는 주주환원에 대한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향후 정책 구체화에 발맞춰 주주친화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JB금융지주,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BNK금융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등 은행 테마가 상승.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Euro 7 환경 규제 완화 수혜 기대감 및 2분기 자동차 수출 호조 전망 등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 3월14일, 완화된 Euro 7 환경 규제가 찬성 297표(반대 190표, 기권 37표)로 EU 의회에서 승인됐다고 밝힘. Euro7 도입 시점은 초기 2025년 7월(승용차 기준) 발효가 예상되었으나, 대응 시간이 부족하다는 산업계의 의견을 받아들여 발효 후 2.5년/3.5년 후로 연기됐다고 언급.

이는 2035년 내연기관차 단종에 집중하기 위해서는 규제 강화보다는 EV 보급 확대에 더 힘써야한다는 업계의 논리가 반영된 결과임. 다만, EV 수요가 둔화되면서 내연기관차 금지 시점도 2035년에서 2040년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힘.

환경 규제 완화로 글로벌 완성차는 천문학적인 금액의 벌금 리스크에서 벗어나고, 내연기관차 판매를 통한 높은 수익성을 2030년 이후까지 유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기차 판매 강제 정책이 사라짐에 따라 EV 판매를 위한 출혈 경쟁에 뛰어들 필요가 사라졌다고 밝힘. 이에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밸류에이션 정상화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이날 '2024년 2·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를 발표한 가운데, 조사 대상 15개 품목 중 반도체(148.2), 선박(127.6),자동차·자동차부품(124.5) 등 8개 품목의 수출 여건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전체 수출을 이끌 것으로 예상됐음. 특히,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은 수요 증가와 수출단가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출 여건이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됐음.

아울러 최근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배당과 자사주 소각에 대한 법인세 감면 혜택을

추진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에 따른 수혜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현대차,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한온시스템, 휴림에이텍, 서진오토모티브, 코다코 등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테마가 상승.

유전자 치료제/분석

네덜란드 연구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이용 에이즈 치료 방식 소개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대표적인 불치병으로 꼽히는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방식이 소개됐음. 유전자를 원하는 대로 편집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세포에 침투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연구진은 20일(현지시각)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바이러스의 유전자에 오류를 일으켜 비활성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언급.

한편, 전 세계 에이즈 환자는 약 4,000만명에 이르고

국내에도 1만5,000여명에 달하지만 이렇다 할 치료법은 개발하지 못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코오롱생명과학, 아미코젠, 올리패스, 셀레믹스 등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비트코인반등 영향 등에 상승

최근 급락세를 기록하던 비트코인 가격이 반등세를 보이며 금일 6만7,000달러 선을 회복하는 모습.

시장에서는 연준의 올해 3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결정이 가상화폐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경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전 대비 약 8% 상승한 6만7,00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국내 가상거래소 업비트와 빗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9,750~9,800만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와 관련 우리기술투자, 위지트, 티사이언티픽, 다날, 한화투자증권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두나무(Dunamu) 테마가 상승.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엔비디아-유니버설로봇 AI 협동로봇 동맹 소식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협동로봇 전문 기업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은 1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세네제이에서 열린 세계 최대 AI 컨퍼런스 엔비디아 GTC 2024(GPU Technology Conference)에서 모기업 테라다인이협동로봇 및 모바일로봇에 새로운 AI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AI 반도체 시장의 90%를 장악하고 있는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협력한다고 발표한 것으로 전해짐.

이번 엔비디아와의 협업으로 유니버설 로봇 애플리케이션은 아폴로에 탑재된 엔비디아 ‘젯슨 AGX 오린’ (NVIDIA Jetson AGX Orin), 최첨단 로봇 팔 인식, 경로 계획과 운동 제어 라이브러리인 엔비디아의 아이작 매니퓰레이터(Isaac Manipulator)를 활용한 큐모션 경로 플래너(cuMotion path planner), 폴리스코프 X(PolyScope X) 소프트웨어 및 UR5e 코봇 플랫폼을 결합할 것으로 전해짐.

우즈왈 쿠마르(Ujjwal Kumar) 테라다인 로보틱스 대표는 "이번 협업은 협동로봇과 AI 결합의 신호탄이 될 것이다"라며 "우리는 제어 시스템에 고성능 컴퓨팅 하드웨어를 추가하고 소프트웨어 스택에 대한 목표 업그레이드에 투자함으로써 유니버설 로봇이 AI 애플리케이션개발 및 배포에 선호되는 로봇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밝힘.

한편, 엔비디아는 현지시간으로 18일 GTC 2024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용 AI 플랫 폼 '그루트'를 공개했음.

이 같은 소식에 해성티피씨, 휴림네트웍스, 휴림로봇, 삼익THK, 링크제니시스, 인포마크,

알에스오토메이션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 테마가 상승.

금일 신규 상장한 삼현(+56.67%)은 급등 마감.

당일 상승종목

경동인베스트(+29.89%)

자회사 경동, 태백 면산일대

티타늄 광체 확인 등에 상한가

메디앙스(+29.93%)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 등에 상한가

디모아(+29.81%)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상한가

레몬(+29.96%)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 등에 상한가

코오롱티슈진(+29.96%)

관리종목지정사유 해제 등에 상한가

삼현(+56.67%)

신규상장 첫날 급등

에이치앤비디자인(+25.86%)

관리종목 해제(파산신청 사유 해소)로

거래재개 속 58.80억원 규모

사모 CB 발행 결정 등에 급등

HLB제약(+22.72%)

리보세라닙, 케어론Rx 유력 허가 예상

의약품 목록 등재 소식에

HLB 그룹주 상승 속 급등

케이바이오(+21.21%)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케이엠더블유(+21.11%)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및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아미코젠(+20.17%)

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 상승 속

송도 배지 공장 5월 본격 가동

임박 소식 등에 급등

대양금속(+19.33%)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스피어파워(+17.61%)

적정의견 감사보고서제출 속 급등

투비소프트(+17.24%)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엑서지21(+16.55%)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동진쎄미켐(+16.52%)

美 마이크론 어닝 서프라이즈 및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삼성전자

HBM 테스트 언급 모멘텀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인포마크(+16.44%)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및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코오롱생명과학(+15.77%)

네덜란드 연구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이용 에이즈 치료 방식 소개 등에

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 상승 속 급등

셀레믹스(+15.35%)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및

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

상승 속 급등

한국비엔씨(+14.20%)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비에녹스주(보툴리눔독소A형)

국내품목허가 등에 급등

유진테크(+14.03%)

美 마이크론 어닝 서프라이즈 및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삼성전자

HBM 테스트 언급 모멘텀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비엘(+13.76%)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아이오케이(+13.73%)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HLB생명과학(+12.59%)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및 리보세라닙,

케어론Rx 유력 허가 예상 의약품 목록

등재 소식에 HLB 그룹주 상승 속 급등

와이어블(+12.26%)

통신장비주 대세 상승기 진입 분석 및

AI 활성화에 따른 신규 주파수 투자

가능성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해성티피씨(+12.07%)

엔비디아-유니버설로봇 AI 협동로봇

동맹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이스테크(+11.74%)

통신장비주 대세 상승기 진입 분석 및

AI 활성화에 따른 신규 주파수 투자

가능성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휴림로봇(+11.73%)

엔비디아-유니버설로봇 AI 협동로봇

동맹 소식 등에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이프로젠(+11.71%)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美 생물보안법 통과 임박에 CDMO 사업

가속화 기대감 지속 등에

에이프로젠 그룹주 상승 속 급등

소룩스(+11.27%)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손창환 사외이사 장내매수 전자공시 및

적정의견감사보고서 제출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11.10%)

2차전지(전고체), 2차전지(소재/부품),

PCB(FPCB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케이씨텍(+10.94%)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감성코퍼레이션(+10.75%)

비트코인 반등 영향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국제약품(+10.39%)

日 독성 감염병 확산 소식 속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센서뷰(+10.33%)

통신장비주 대세 상승기 진입 분석 및

AI 활성화에 따른 신규 주파수 투자 가능성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대영포장(+10.26%)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정치/인맥(조국)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쏠리드(+10.09%)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및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플레이그램(+10.08%)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라이프시맨틱스(+10.05%)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올리패스(+9.87%)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모멘텀

지속 및 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

상승 속 급등

일신바이오(+9.81%)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급등

우리기술투자(+9.72%)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및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피에스케이(+9.53%)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신규장비로 인한 매출

성장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이노와이어리스(+9.04%)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및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3.21 (목)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와이오엠 +9.87%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TS트릴리온 +9.77%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스킨앤스킨 +9.41%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아이엠 +8.28%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비보존 제약 +7.69%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휴림로봇 +6.41%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알루코 +5.11%

장 마감 후 LG Energy Solution

Wroclaw sp. z o.o.와 477.69억원

(최근 매출액대비 7.40%) 규모 공급계약

(전기차 배터리 엔드플레이트) 체결 공시

중앙첨단소재 +4.27%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신풍제약 +4.26%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에이치앤비디자인 +3.29%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관리종목 해제(파산신청 사유 해소)로

거래재개 속 58.80억원 규모 사모

CB 발행 결정 등에 정규장 25.86% 급등

오리엔트정공 +3.26%

Euro 7 환경 규제 완화 수혜 기대감 및

2분기 자동차 수출 호조 전망 등에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속 정규장 4.04% 상승

리튬포어스 +3.19%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비투엔 +2.80%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이엔플러스 +2.74%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레인보우로보틱스 +2.67%

엔비디아-유니버설로봇 AI 협동로봇

동맹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정규장 4.58% 상승

지어소프트 +2.01%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장 마감 후 [오아시스마켓 영업익 133억,

전년 대비 178%↑] 기사

셀루메드 +1.97%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코오롱생명과학 +1.95%

계열사 코오롱티슈진,

관리종목지정사유 해제 등에 정규장 상한가.

네덜란드 연구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이용

에이즈 치료 방식 소개 등에 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5.77% 급등

피에스케이홀딩스 +1.88%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티피씨글로벌 +1.88%

장 마감 후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최대주주간 매매)

전자공시

오스코텍 +1.75%

세비도플레닙,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소식

등에 정규장 5.15% 상승

위메이드 +1.72%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하이드로리튬 +1.69%

관계사 리튬포어스,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쎌바이오텍 +1.60%

장중 대장암치료제 PP-P8

제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공시

크라우드웍스 +1.59%

장 마감 후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현대차 +1.19%

장 마감 후 보통주 2,115,315주,

종류주 626,381주 소각 결정

(소각예정일:2024-03-27) 공시.

[현대차·기아 2월 유럽 판매량 7만9천대…

전년 대비 2.3% 증가] 기사

하락종목

알에스오토메이션 -2.11%

장 마감 후 [투자주의]스팸관여과다종목 및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HLB이노베이션 -2.31%

시간외 HLB 그룹주 하락

소룩스 -2.73%

장 마감 후 매매거래정지 예고 및

투자위험종목 지정예고 공시.

조회공시 요구(현저한시황변동)

HLB바이오스텝 -2.74%

시간외 HLB 그룹주 하락

한탑 -2.80%

장 마감 후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HLB글로벌 -3.03%

시간외 HLB 그룹주 하락

HLB파나진 -3.13%

시간외 HLB 그룹주 하락

시너지이노베이션 -3.21%

장 마감 후 [투자주의]

스팸관여 과다종목 공시

대영포장 -3.26%

장 마감 후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및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

정예고 공시. 조회공시 요구(현저한시황변동)

삼현 -3.30%

신규상장 첫날 56.67% 급등

HLB테라퓨틱스 -3.43%

시간외 HLB 그룹주 하락

HLB -3.46%

시간외 HLB 그룹주 하락

국보 -3.79%

장 마감 후 의견거절

감사보고서 제출 및 매매거래정지 공시

HLB제약 -4.41%

시간외 HLB 그룹주 하락.

장 마감 후 [투자주의]

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공시

삼부토건 -6.80%

장 마감 후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단일판매ㆍ공급계약 체결 정정공시

(준공 정산에 따른 정정)

HLB생명과학 -9.53%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11,005,125주(1,499.99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공시.

시간외 HLB 그룹주 하락

디와이디 -9.94%

자회사 삼부토건,

장 마감 후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웰바이오텍 -9.95%

장 마감 후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엔케이맥스 -10.00%

장 마감 후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2 (금) 장마감  (1) 2024.03.24
3.22 (금) 장마감 분석  (1) 2024.03.22
3.21 (목) 장마감 분석  (0) 2024.03.21
3.20 (수) 장마감  (2) 2024.03.21
3.20 (수) 장마감 분석  (0) 2024.03.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