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1.9 (화) 장마감

by 장주공 2024. 1. 9.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1/9 KOSPI 2,561.24(-0.26%)

삼성전자 실적 부진(-), 기관/개인 순매도(-), 美 증시 상승(+)

밤사이 뉴욕증시가 기술주 반등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598.31(+30.49P, +1.19%)로 갭상승 출발.

장초반 2,599.37(+31.55P, +1.2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반납해

2,575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축소했고, 하락세로 돌아서며

낙폭을 확대하는 모습. 장후반 2,556.00(-11.82P, -0.46%)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장 막판 일부 낙폭을 만회해 결국 2,561.24(-6.58P, -0.26%)로 장을 마감.

밤사이 美 대형 기술주 강세 속 뉴욕 3대 지수가 상승한 영향으로 장초반 강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삼성전자 실적 실망감 등에 하락 전환하며 장을 마감. 5거래일 연속 하락.

기관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기관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은 5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외국인이 현물시장에서 이틀 연속 매수세를 이어갔지만,

선물시장에서 4,400계약 넘게 순매도한 점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삼성전자(-2.35%)는 이날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67.00조원(전년동기대비 -4.91%), 영업이익 2.80조원(전년동기대비-35.03%)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

D램 흑자 전환 및 낸드플래시 적자폭 축소 등으로 4분기 실적이 반등세를 이어갔지만,

비메모리 적자가 지속되고 가전과 TV수요 부진 등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했음.

미래에셋증권은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3.9조원) 및 당사 추정치(4.2조원)을

하회했다고 밝힘.

지난해 연간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58.16조원(전년대비 -14.58%),

6.54조원(-84.92%)으로 잠정 집계.

이번주 금융통화위원회, 美/中 물가지표 발표등을 앞두고 경계 심리가 커진 점도 부담으로 작용.

오는 11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현지시간으로 11일에는 美 소비자물가지수(CPI), 12일에는 美 생산자물가지수(PPI),

中 소비자/생산자물가지수가 발표될 예정.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의 12월 CPI는 전월보다 0.2% 오르고 전년동월보다는 3.3%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는 전월의 0.1% 상승과3.1% 상승에 비해 오름폭이 커진 수치임.

다만,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음식료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3.8%상승해 전월 상승률 0.3%, 4.0%에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밤사이 발표된 美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는 둔화된 모습을 보임.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년 기대인플레이션이 3%를 기록.

이는 지난 2021년 1월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로, 직전월 수치인 3.4%에서도

큰 폭으로 둔화됐음. 3년 기대인플레이션은 2.6%로, 5년 기대인플레이션은 2.5%로 각각 둔화됐음.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이 상승한 반면, 대만, 홍콩은 하락.

특히, 일본 닛케이지수는 1% 넘게 상승하며 1990년 3월 이후 약 33년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3원 하락한 1,315.7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671억, 78억 순매도, 외국인은 684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반대로 외국인이 4,473계약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각각 2,528계약, 1,907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4.2bp 하락한 3.255%,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2.1bp 하락한 3.32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5틱 오른 104.99로 마감. 외국인이 2,162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1,362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43틱 오른 114.09로 마감. 외국인이 1,399계약 순매수, 은행, 금융투자는 542계약, 365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삼성전자(-2.35%), POSCO홀딩스(-1.92%), LG화학(-1.57%), LG전자(-1.11%), 삼성SDI(-0.92%), 현대모비스(-0.92%), 포스코퓨처엠(-0.91%), 현대차(-0.05%) 등이 하락.

반면, 카카오(+2.62%), 에코프로머티(+2.08%), NAVER(+1.32%), SK하이닉스(+1.03%),

신한지주(+0.81%), LG 에너지솔루션(+0.60%), 삼성바이오로직스(+0.40%),

KB금융(+0.38%), 기아(+0.22%), 삼성물산(+0.08%)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

의료정밀(+2.78%), 전기가스업(+2.62%), 건설업(+1.86%), 증권(+0.99%), 서비스업(+0.96%), 금융업(+0.77%), 보험(+0.46%), 통신업(+0.43%), 의약품(+0.42%), 섬유의복(+0.40%), 운수창고(+0.36%)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전기전자(-1.16%), 철강금속(-1.14%), 제조업(-0.69%), 운수장비(-0.38%)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561.24P(-6.58P/-0.26%)

코스닥 마감시황

1/9 KOSDAQ 884.64(+0.60%)

美 대형 기술주 강세 속 외국인/기관 순매수(+), 개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기술주 반등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86.10(+6.76P, +0.77%)으로 상승 출발.

오전 중 상승폭을 확대해 강세 흐름을 이어가던 지수는 890.06(+10.72P, +1.2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점차 상승폭을 축소하는 모습.

오후 장중 881.97(+2.63P, +0.30%)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장후반 상승폭을 다소 키워 결국 884.64(+5.30P, +0.60%)로 장을 마감.

美 대형 기술주 강세 속 나스닥지수가 급등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코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특히,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CES 2024 기대감 지속 등에 반도체, AI 관련주들이 강세를 나타냈고,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기대감 등이 제약/바이오 관련주들도 강세.

비트코인 반등 속 가상화폐,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 등에 메타버스,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의 테마도 강세. 다만, 개인 순매도 등에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55억, 1,204억 순매수, 개인은 1,950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위메이드(+8.01%), 알테오젠(+6.53%), 카카오게임즈(+2.50%), HLB(+1.88%),

에스엠(+1.82%), 리노공업(+1.69%), 펄어비스(+1.60%), 클래시스(+1.49%), 루닛(+1.27%),

엘앤에프(+0.25%), HPSP(+0.24%) 등이 상승.

반면, LS머트리얼즈(-10.21%), 에코프로비엠(-3.65%), 솔브레인(-2.98%),

동진쎄미켐(-2.65%), JYP Ent.(-1.15%), 셀트리온제약(-0.89%), 레인보우로보틱스(-0.77%),

에코프로(-0.78%)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디지털컨텐츠(+3.50%), 인터넷(+3.28%), 기타서비스(+3.04%), IT S/W & SVC(+2.47%)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오락/문화(+1.87%), 제약(+1.81%), 소프트웨어(+1.79%), 출판/매체복제(+1.76%), 의료/정밀 기기(+1.68%), 컴퓨터서비스(+1.18%), 화학(+1.17%), 통신서비스(+1.16%)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일반전기전자(-3.17%), 방송서비스(-1.13%), 섬유/의류(-1.00%), 통신방송서비스(-0.34%), 금융(-0.27%) 등 일부 업종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84.64P(+5.30P/+0.60%)

테마시황

상승테마

국제유가 급락 및 12월 인천공항 여객·화물 수송실적 역대 최대 달성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기대감 및 MIT-브로드연구소, 유전자가위 기술 이용 실명 쥐 시력 회복 성공 소식 등에 제약업체,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유전자 치료제/분석, 비만치료제등의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상승.

美 SEC 비트코인 ETF 승인 시한을 앞두고, 비트코인 가격 반등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STO 시장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에 NFT(대체불가토큰)/STO(토큰증권 발행) 테마도 상승.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 등에 메타버스(Metaverse)/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테마 상승.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 확대 속 정유/LPG/해운 등 테마 상승.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기록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일부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온디바이스 AI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美 기술주 강세 영향 등에 인터넷 대표주 상승.

삼성전자-LG전자, 투명 마이크로 LED·OLED TV 공개 소식 등에 LED/마이크로 LED 등 테마 상승.

한화큐셀, 마이크로소프트와美 역대 최대 규모 태양광 계약 체결 소식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우주항공청 특별법 국회 본회의 통과, 이르면 5월 출범 소식 등에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 상승.

태영건설(+7.67%) 워크아웃 기대감 지속, 산업은행 오는 10일 주요 채권단소집 소식 등에 건설 대표주/일부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GPT 스토어 출시 기대감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이 외에 면세점, U-Healthcare(원격진료), 영상콘텐츠, 영화, 쿠팡, 의료AI, 화장품, 게임, 모바일게임, 광고, 웹툰, 의료기기, 2차전지(장비/소재/부품), 핀테크, 통신장비, 폐기물처리, 강관업체,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하락테마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장이 연세대 양자산업융합선도단(QILI) 비전 선포 공식

석상에서 초전도체 개발 계획을 밝힐 예정인 가운데, 초전도체 테마 하락.

최근 글로벌 신조선 발주량 감소 등에 따른 피크아웃 우려 부각 속 조선/일부 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이 외에 철강 주요종목, 국내 상장 중국기업, 피팅(관이음쇠)/밸브, 자동차 대표주, 타이어 등의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항공/저가 항공사(LCC)

국제유가 급락 및 12월 인천공항 여객·화물 수송실적 역대 최대 달성 등에 상승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2 월 인도분 가격은

사우디 원유 가격 인하 소식 등에 전거래일보다 3.04달러(-4.12%) 하락한 70.77달러에 거래 마감.

언론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는 지난 일요일 아시아에서 주력 제품인 아랍 경질유를 포함한 여러 등급의 사우디산 원유의 2월 가격이 오만?두바이 지역 벤치마크의 1월 가격 수준보다 배럴당 2달러 인하될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XM의 마리오스 하드키리아코스 선임투자 애널리스트는 마켓워치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산유국이 가격을 내릴 때는 수요 환경이 약화할 것에 대한 우려를 시사한 것이거나 미국과 같은 해외 산유국들이 점유율을 잠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고 밝힘.

하나증권은 금일 보고서를 통해 12월 인천공항 여객 수송이 560만명으로 23년 월간 최대치를 기록했고 코로나19 이전의 92% 수준까지 회복했다고 설명. 12월 화물 수송은 24.7만톤으로전년동기대비 6.4% 증가함과 동시에 지난해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힘. 12월 국제선 여객과 화물 수송 실적 모두 월별 최대치를 달성한 가운데 항공주 투자심리에 부담으로 작용했던 외부변수 변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도 완화되었다고 설명. 원/달러 환율은 1,300원 수준이 유지되고 있지만, 영업비용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항공유 가격은 10월 말 123달러/배럴로 연중 최고치 기록 이후 1월에는 104달러/배럴까지 하락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티웨이항공, 한진칼, 에어부산, 티웨이홀딩스, 제주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한편, 팬데믹 기간 재무 안정을 목적으로 정책 자금을 지원받았던 제주항공이 지난 연말부터 상환 작업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제약/바이오 관련주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기대감 및 MIT-브로드연구소,

유전자가위 기술 이용 실명 쥐 시력 회복 성공 소식 등에 상승

매년 1월 미국에서 개최되는 제약바이오 최대 투자 행사인 JP모건헬스케어 컨퍼런스(JPMHC)가 막을 올렸음. 현지시간으로 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오전 오프닝 연설을 시작으로 제42회 JP모건 헬스케어컨퍼런스가 개막하는 가운데, 최근 글로벌 제약사들은 수 조원을 들여 유망 바이오벤처와 M&A에 나서고 있는 만큼 이번 행사를 통한 추가 M&A가 이뤄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대형 기술 수출에 대한 기대감도 부각되고 있음.

존슨앤드존슨(JNJ)는 8일(현지시간) 표적암치료 약물개발업체인 암브렉스 바이오파마(AMAM)을 20억달러(2조6,400억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 또한, 국내 기업인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번 행사에서 글로벌 빅5의 제약사와 기술이전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힘. 특히, 이번 계약은 약 3조원 규모로 반환의무없는 계약금 2,000억원이 논의됐다고 언급.

한편, 美 매사추세츠공대(MIT)와 브로드연구소연구진은 8일(현지시간) 유전병으로 실명 한 쥐의 망막 세포에 프라임 에디팅 유전자가위를 넣어 시력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힘. 미국MIT와 하버드대학이 공동 운영하는 브로드연구소 연구진이 프라임 편집에 쓸 수 있는 고효율 인공 바이러스 유사 입자(eVLP)를 개발한 가운데, 이 기술을 시력을 잃는 유전병에 걸린 쥐에 적용하자 일부 시력을 되찾았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지아이이노베이션, 에이프로젠, 알테오젠, 메드팩토, 에이비엘바이오, 삼일제약, 부광약품, JW중외제약, 인벤티지랩 등 제약업체/면역항암제/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유전자 치료제/분석, 줄기세포, 치매, 비만치료제 테마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美 SEC 비트코인 ETF 승인 시한을 앞두고, 비트코인 가격 반등 등에 상승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후 4시 경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6% 가량 상승한 46,780달러 부근에서 거래중임. 빗썸과 업비트에선 6,260~6,270만원선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비트코인 가격이 반등한 이유는 美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비트코인 ETF 승인 시한(1월10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시장에서는 비트코인 ETF가 승인될 경우 기관 투자자 유입으로 시장 규모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과거 SEC 위원장을 지낸 제이 클레이턴은 비트코인 ETF에 대해 “승인이 불가피하다”고 밝히기도했으며, 비트코인 ETF 출시를 준비 중인 갤럭시 디지털은 미국 비트코인 ETF 시장 규모를 출시 첫해 약 14조달러, 이듬해 26조달러로 예상한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위메이드, 우리기술투자, 위지트, 네오위즈홀딩스, 티사이언티픽, 다날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NFT(대체불가토큰) 테마가 상승.

메타버스(Metaverse)/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애플 비전프로 2월2일美 출시 예정 소식 등에 상승

애플은 8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비전 프로를 2월2일(현지시간) 미국 내 애플스토어와 애플스토어 온라인에서 판매한다고 밝힘. 온라인 사전 예약은 1월19일(현지시간)부터 가능하며, 당초 예고한 대로미국 내 판매가격은 256GB(기가바이트) 저장용량 기준 3,499달러(약 460만원)로 알려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비전 프로는 지금까지 출시한 전자기기 중 가장 진보한 제품"이라며, "혁신적이고 마법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우리가 연결하고 창조하고 검색하는방식을 다시 정의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비전 프로는 양쪽 눈에 4K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각각 탑재해 눈의 피로를 낮춘 한편,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외부 화면을 자연스럽게 구현한 것이 특징임.

이 같은 소식에 자이언트스텝, 엔피, 스코넥, 맥스트, 덱스터, 이노시뮬레이션 등

메타버스(Metaverse)/증강현실(AR)/가상현실(VR) 테마가 상승.

정유/LPG/해운 등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 확대 속 상승

가자지구에서 하마스 소탕전을 벌이는 이스라엘이 북부 전선에선 헤즈볼라와 전면전 위기로 치닫으면서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는 모습. 외신에 따르면, 8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이 레바논 남부 마즈달 셀름을 공습했으며 이 공격으로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 정예 라드완 부대의 지휘관 중 하나인 위삼 알타윌이 사망했음. 지난해 10월 가자지구 전쟁이 시작된 뒤 이스라엘과 레바논 국경지대에서 가열된 이스라엘군과 헤즈볼라의 교전에서 지금까지 사망한 헤즈볼라 지휘관 가운데 최고위급으로 헤즈볼라가 2006년처럼 이스라엘과 전면전을 벌일 가능성도 커지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흥구석유, 중앙에너비스, 극동유화, GS, 대성에너지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도시가스 등 에너지 관련주 및 흥아해운, 대한해운 등 해운, 국보, 한익스프레스, 태웅로직스, 동방 등 종합 물류 테마가 상승. 아울러, 빅텍, 에스코넥, 휴니드, 스페코 등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도 상승.

반도체 관련주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기록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기술주 반등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등 마감.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28.99(+3.28%) 급등한 4,062.48를 기록. 인텔(+3.33%), AMD(+5.48%), 마이크론테크놀로지(+1.80%) 등이 상승세를 기록했으며,특히, 엔비디아(+6.43%)는 급등세를 보이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

8일(현지시간) 엔비디아는 AI 기반의 새로운 그래픽처리장치(GPU)인 '지포스 RTX 40 슈퍼 시리즈' 3종을 공개했음. 새로운 제품은 일반 소비자들이 가정과 사무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로컬 AI'용 GPU로, 이날 공개된 제품은 개인용 기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클라우드에 접속하지 않고도 AI를 실행할 수 있도록 개선됐음. 아울러 2분기부터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를 받지 않는 AI 칩의 대량 생산에 나설 예정이라는 소식도 전해짐.

한편, 삼성전자, 지난해 4분기 잠정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7.00조원(전년동기대비 -4.91%), 영업이익 2.80조원(전년동기대비 -35.03%). 삼성전자 연간 영업이익이 10조원을밑돈 것은 글 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6조319억원) 이후 15년 만임. 다만, 시장에서는 반도체 업황이 반등하며 실적도 회복하고 있다는분석이 나오고 있음. 영업이익이 작년 2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증가세로 반도체 부문 적자가 축소되면서 영업이익이 늘어났을 것으로 보고있음.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DB하이텍, 에이팩트, 레이저쎌, 가온칩스, 에이직랜드, 제주반도체, 오킨스전자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한편, 삼성전자(-2.35%)는 개장전 실적 발표 후 오전 중 하락 전환했고, 오후 들어 낙폭을 키워 2% 대 하락 마감.

인터넷 대표주

美 기술주 강세 영향 등에 상승

지난밤 美 증시가 美 국채금리 하락 속 애플 등 대형 기술주 반등 영향 등으로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58%, 1.41%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20% 급등 마감했음.

애플(+2.42%)은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를 오는 2월2일 미국에서 출시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6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으며, 엔비디아(+6.43%)는 중국용 반도체 칩의 대량 생산을 오는 2분기부터 시작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사상 최고치를경신했음.마이크로소프트(+1.89%), 아마존(+2.66%), 알파벳A(+2.29%), 메타(+1.91%), 넷플릭스(+2.31%), 테슬라(+1.25%) 등 여타 대형 기술주들도 동반 상승.

최근 부진했던 대형 기술주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가운데, 美 기대 인플레이션이 3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하면서美 국채금리가 하락세를 보인 점도 기술주 투자 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집계한 지난해 12월 1년 기대인플레이션은 3% 를 기록. 이는 지난 2021년1월 이후 거의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로, 직전월 수치인 3.4%에서도 큰 폭으로 둔화됐음.

한편, 증권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이라고 전망.

이 같은 소식에 금일 NAVER, 카카오 등 인터넷 대표주가 상승.

LED/마이크로 LED 등

삼성전자-LG전자, 투명 마이크로 LED·OLED TV 공개 소식 등에 상승

CES 2024 개막을 이틀 앞둔 7일(현지시간)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TV 시장의 글로벌 리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나란히 투명 TV를 공개했음. 삼성전자는 사전 전략제품 공개 행사인 '퍼스트룩' 행사를 열어 세계 최초의 투명 마이크로발광다이오드(LED) TV를 공개했으며, LED보다 100분의 1 수준으로 작은 마이크로 LED 소자 사이사이에 미세한 빈 공간을 확보해 투명 패널을만들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제임스 피셔 삼성전자 상무는 "선명도도 OLED와 비교했을 때 두 배 수준인 극강의 TV"라고 설명했다. 출시 가격은 기존 마이크로 LED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힘.

LG전자도 같은 날 세계 최초의 무선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올레드) TV를 공개했으며, LG전자가 선보인 투명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전원을 껐을 때 투명한 유리처럼 스크린 너머를 볼 수 있어 개방감은 물론 인테리어와의 조화도 뛰어나다고 전해짐. 또한, 전원 외에는 모든 선을 없애 설치 장소의 제약을 극복했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빛샘전자, 광전자, 삼진엘앤디, 우리바이오, HB솔루션 등 LED/마이크로 LED/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가 상승.

태양광에너지

한화큐셀, 마이크로소프트와 美 역대 최대 규모 태양광 계약 체결 소식 등에 상승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한화큐셀)은 언론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MS)와 총 12기가와트(GW) 규모의 장기태양광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힘. 한화큐셀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전력을 구매할 태양광 발전소에 2025년부터 2032년까지 8년 동안 연간 최소 1.5GW의 모듈과 EPC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이번 계약은 지난해 1월 양사가 맺은 전략적 파트너십의 후속 계약이라고 밝힘. 총 계약 규모는 기존 2.5GW에서 12GW로 늘었으며, 구체적인 계약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음. 이번 계약은 미국에서 이루어진 태양광 파트너십 중 역대 최대 규모의 모듈 공급 계약으로 발전소 설계·조달·시공(EPC) 서비스도 포함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지앤비에스 에코, 한화솔루션, SK 디앤디, 주성엔지니어링, HD현대에너지솔루션, SDN 등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

당일 상승종목

제넨바이오(+29.90%)

최대주주 변경 모멘텀 지속 속 상한가

한빛레이저(+30.00%)

스팩 합병 상장 4거래일째

급등세를 이어가며 상한가

광전자(+29.91%)

삼성전자-LG전자,

투명 마이크로 LED·OLED TV

공개 소식 등에 일부LED/마이크로

LED 테마 상승 속 상한가

마크로젠(+29.78%)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및

MIT-브로드연구소, 유전자가위 기술

이용 실명 쥐 시력 회복 성공소식 속

브로드 연구소 유전자가위 기술

실시권 부각에 상한가

빛샘전자(+29.82%)

삼성전자-LG전자, 투명 마이크로

LED·OLED TV 공개 소식 등에

일부 LED테마 상승 속 상한가

코디(+29.88%)

최대주주 시너지파트너스,

동사 지분 매각 관련 지피클럽과

경영권 인수 계약을 위한

Binding MOU 체결 등에 상한가

디티앤씨알오(+29.79%)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1위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포바이포(+29.98%)

CES 2024서 혁신상을 받은

화질 고도화 솔루션 '픽셀' 전시

부각에 상한가

자이언트스텝(+28.25%)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에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급등

엔피(+22.25%)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에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급등

토니모리(+20.49%)

실적 턴어라운드기대감 등에 급등

라온피플(+19.03%)

자회사 라온로드, 美 스마트교통 및

디지털트윈 분야 AI 교통특허

등록 소식에 급등

흥구석유(+17.98%)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

확대에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속 급등

피엠티(+17.98%)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MEMS 기술 접목 광-GPU 기술개발

소식 속 3D MEMS 기술 보유 부각등에 급등

KEC(+17.09%)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기록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코센(+15.35%)

바나듐 배터리 성장 기대감 속

바나듐 배터리 업체 엑시알비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에이팩트(+15.14%)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기록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큐라클(+14.07%)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기대감 및

MIT-브로드연구소, 유전자가위 기술

이용 실명 쥐 시력 회복 성공 소식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제이엘케이(+12.02%)

美 시장 진출 본격화 소식 등에 급등

슈프리마(+11.46%)

네옴시티향 수주 확대 및

신제품 매출 성장 전망 등에 급등

디티앤씨(+10.90%)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1위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상승 속 급등

위지윅스튜디오(+10.70%)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에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급등

상상인인더스트리(+10.16%)

지난해 흑자전환에 급등

제이스텍(+9.73%)

일부 OLED 테마 상승 및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기록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컴퍼니케이(+9.63%)

NFT(대체불가토큰) 테마 상승 속

투자사 업스테이지, 챗GPT 성능 상회

수학 특화 언어모델 개발 소식에 급등

소마젠(+9.62%)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기대감 및

MIT-브로드연구소, 유전자가위 기술 이용

실명 쥐 시력 회복 성공 소식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디앤씨미디어(+9.55%)

웹툰 테마 상승 속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공개 모멘텀 지속에 급등

윌링스(+9.43%)

한화큐셀, 마이크로소프트와

美 역대 최대 규모 태양광 계약체결 소식

등에 일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갤럭시아머니트리(+9.41%)

비트코인 가격 반등 등에 가상화폐

(비트코인 등)/NFT(대체불가토큰)

테마 상승 속 급등

스코넥(+9.38%)

가상현실(VR)/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메타와 공동 개발 XR 게임

'스트라이크 러시' 출시일 확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한글과컴퓨터(+9.20%)

AI 서비스 본격화 및 GPT 스토어

제품 입점 추진 예정 등에 급등

에이직랜드(+9.11%)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기록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1.9 (화)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세종텔레콤+9.94%

장 마감 후 제4 이동통신 도

전 3개사 모두 '적격' 판정…25일 주파수 경매 기사

디딤이앤에프+9.90%

장 마감 후 소송 등의 제기ㆍ신청

(경영권 분쟁 소송)(임시총회소집허가 신청) 공시

코센+9.88%

바나듐 배터리 성장 기대감 속

바나듐 배터리 업체 엑시알비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정규장 15.35% 급등

에코바이오+9.84%

석유사업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시장에서 수혜주로 부각

유니온머티리얼+9.21%

바나듐 배터리 성장 기대감 속

시간외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유니온+9.19%

바나듐 배터리 성장 기대감 속

시간외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제이씨케미칼+5.62%

석유사업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시장에서 수혜주로 부각

삼화전자+3.58%

바나듐 배터리 성장 기대감 속

시간외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DS단석+3.52%

석유사업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시장에서 수혜주로 부각

지엔씨에너지+3.25%

석유사업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시장에서 수혜주로 부각

동국알앤에스+3.02%

바나듐 배터리 성장 기대감 속

시간외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위메이드맥스+2.89%

장 마감 후 위믹스, 블록 민팅 중단해

추가 공급 제한기사.

시간외 위메이드 그룹주 상승

하나금융23호스팩+2.84%

장 마감 후 주권매매거래정지

(SPAC 소멸합병) 공시

알체라+2.75%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 등에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정규장 3.28% 상승

위지윅스튜디오+2.11%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에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0.70% 급등

티로보틱스+2.03%

LG그룹발 대형 구매주문 기대감

등에 정규장 8.82% 강세

고바이오랩+2.03%

비만치료제 핵심 균주 'KBL982'

美 특허 등록 결정 소식에

정규장 2.61% 소폭 상승

위메이드+1.98%

장 마감 후 위믹스, 블록 민팅 중단해

추가 공급 제한기사.

시간외 위메이드 그룹주 상승

위메이드플레이+1.87%

장 마감 후 위믹스, 블록 민팅 중단해

추가 공급 제한기사.

시간외 위메이드 그룹주 상승

아시아나IDT+1.84%

장 마감 후 에어부산 주식회사와 125.45억원

(최근 매출액대비 6.92%) 규모

공급계약(정보처리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체결 공시

티플랙스+1.81%

바나듐 배터리 성장 기대감 속

시간외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EG+1.78%

바나듐 배터리 성장 기대감 속

시간외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하락종목

덕성-1.12%

장 마감 후 이석배 "LK-99 상온 초전도체

맞아…연대와 신물질 개발 협업할 것"

기사 속 시간외 초전도체 테마 하락

유니트론텍-1.17%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레고켐바이오-1.37%

장 마감 후 677,966주 추가상장

(우선주의 보통주전환) 공시

한글과컴퓨터-1.65%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SBS-1.71%

시간외 일부 태영 그룹주 하락

탑엔지니어링-2.03%

장 마감 후 이석배 "LK-99 상온 초전도체

맞아…연대와 신물질 개발 협업할 것"

기사 속 시간외 초전도체 테마 하락

폴라리스오피스-2.28%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모비스-2.29%

장 마감 후 이석배 "LK-99 상온 초전도체

맞아…연대와 신물질 개발 협업할 것"

기사 속 시간외 초전도체 테마 하락

이스트소프트-2.33%

장 마감 후 206,896주

(발행주식총수 대비 1.81%)

규모 교환청구권 행사 공시.

투자경고종목지정 공시

태영건설-2.47%

시간외 일부 태영 그룹주 하락

씨씨에스-2.59%

장 마감 후 이석배 "LK-99 상온 초전도체

맞아…연대와 신물질 개발 협업할 것"

기사 속 시간외 초전도체 테마 하락

에이치앤비디자인-3.00%

장 마감 후 소송 등의 제기

(주식 발행 및 상장금지 가처분) 공시

서남-3.19%

장 마감 후 이석배 "LK-99 상온 초전도체

맞아…연대와 신물질 개발 협업할 것"

기사 속 시간외 초전도체 테마 하락

파워로직스-4.03%

장 마감 후 이석배 "LK-99 상온 초전도체

맞아…연대와 신물질 개발 협업할 것"

기사 속 시간외 초전도체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신성델타테크-4.35%

장 마감 후 이석배 "LK-99 상온 초전도체

맞아…연대와 신물질 개발 협업할 것"

기사 속 시간외 초전도체 테마 하락

내츄럴엔도텍-4.37%

장 마감 후 [투자주의]종가급변 종목 공시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0 (수) 장마감  (0) 2024.01.10
1.10 (수) 장마감 분석  (1) 2024.01.10
1.9 (화) 장마감 분석  (0) 2024.01.09
1.8 (월) 장마감  (1) 2024.01.08
1.8 (월) 장마감 분석  (0) 2024.01.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