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마감시황
12/26 KOSPI 2,602.59(+0.12%)
美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속 외국인/기관 순매수(+), 연말 관망세 속 개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 유럽 등 글로벌 주요국 증시가 Christmas Day로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피지수는 2,609.44(+9.93P, +0.38%)로 상승출발.
장초반 2,612.14(+12.63P, +0.4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빠르게 상승폭을 반납하는 모습.
오전 중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던 지수는 2,594.65(-4.86P, -0.19%)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오후 들어서도 보합권에서 움직이던 지수는 장막판 2,605선을 회복하기도 했지만,
일부 상승 폭을 축소해 결국 2,602.59(+3.08P, +0.12%)로 장을 마감.
美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코스피지수는 3거래일만에 반등.
외국인은 하루만에 순매수, 기관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이 선물시장에서 4,200계약 넘게
순매수한 점도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다만, 연말을 맞아 거래대금이 축소된 가운데, 대주주 양도세 완화에도 대규모
개인 매물이 출회되며 상승폭은 제한됐음. 개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삼성전자(+0.92%), SK하이닉스(+0.21%)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했고,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기대감 지속 등에 삼성바이오로직스(+0.28%), 셀트리온(+1.78%)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양호한 모습.
특히, 삼성전자는 52주 신고가 재차 경신. 반면, RBC, 테슬라 4분기 출하대수 추산치 하향 조정 및
금감원, '밧데리 아저씨' 박순혁 작가 압수수색 소식 등에 LG에너지솔루션(-0.95%), 삼성SDI(-0.78%)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은 부진한 모습.
美 내년 금리인하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
밤사이 뉴욕증시가 성탄절로 휴장한 가운데, 22일(현지시간) 발표된 물가지표가 예상보다 크게 둔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美 11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하고 전년동월대로는 2.6% 상승. 전월대비로 PCE 물가지수가 하락한 것은 지난 2020년 4월 이후 처음이며,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지난 2021년 3월 이후 처음으로 3%를 밑돌았음. 아울러 Fed가 주목하는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3.2% 상승해 2021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 Fed가 2%의 물가 상승률 목표를 설정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6개월간 근원 PCE 물가상승률은 1.9%로 10월2.3%보다 큰 폭으로 하락.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한 반면, 중국은 하락. 홍콩은 박싱데이(Boxing Day)로 휴장.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8.5원 하락한 1,294.5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23억, 9,710억순매수, 개인은 1조484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4,226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931계약, 3,011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3bp 하락한 3.221%,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0bp 하락한 3.27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틱 오른 105.18로 마감. 외국인, 은행이 7,106계약, 3,245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11,146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2틱 오른 114.60으로 마감. 보험이 3,954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은행은 2,237계약, 764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다소 우세.
삼성생명(+2.24%), 셀트리온(+1.78%), 삼성전자(+0.92%), 신한지주(+0.77%), 기아(+0.73%), 삼성물산(+0.71%), LG전자(+0.30%), 삼성바이오로직스(+0.28%), NAVER(+0.23%), SK하이닉스(+0.21%), LG화학(+0.10%) 등이 상승.
반면, 포스코퓨처엠(-1.97%), POSCO홀딩스(-1.46%), LG에너지솔루션(-0.95%), 삼성SDI(-0.78%),
카카오(-0.76%), 현대모비스(-0.22%), 현대차(-0.10%) 등이 하락. KB금융은 보합.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보험(+1.56%), 섬유의복(+1.32%), 의약품(+0.98%), 금융업(+0.90%), 음식료업(+0.83%), 비금속광물(+0.53%), 건설업(+0.51%), 종이목재(+0.22%), 통신업(+0.16%), 전기전자(+0.12%)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운수창고(-2.10%), 의료정밀(-0.95%), 철강금속(-0.87%), 화학(-0.55%), 증권(-0.23%), 기계(-0.23%)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602.59P(+3.08P/+0.12%)
코스닥 마감시황
12/26 KOSDAQ 848.34(-0.73%)
기관 순매도 속 2차전지株 약세(-), 연말 배당락일 및 대주주 양도세 회피 물량(-)
밤사이 뉴욕증시가 성탄절로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55.75(+1.13P, +0.13%)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857.24(+2.62P, +0.3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며 낙폭을 확대. 오전 장중 848선 부근에서 하락세를 이어갔고, 오후 들어 낙폭을 다소 키워 846.32(-8.30P, -0.97%)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해 결국 848.34(-6.28P, -0.73%)로 장을 마감.
기관 순매도 속 에코프로비엠(-3.57%), 에코프로(-3.89%), 엘앤에프(-3.61%)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면서 코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하락.
RBC, 테슬라 4분기 출하대수 추산치 하향 조정 및 금감원, '밧데리 아저씨' 박순혁 작가 압수수색 소식 등이
2차전지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연말 배당락일 및 대주주 양도세 회피 물량 등으로 인한 관망세가 짙어진 점도 부담으로 작용.
수급별로는 기관이 10억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74억, 35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LS머트리얼즈(-9.90%), 에코프로(-3.89%), 엘앤에프(-3.61%), 에코프로비엠(-3.57%), 루닛(-3.40%), 카카오게임즈(-2.15%), JYP Ent.(-2.09%), 레인보우로보틱스(-1.73%), HPSP(-1.47%), 클래시스(-1.07%), HLB(-0.90%) 등이 하락.
반면, 포스코DX(+14.06%), 알테오젠(+4.55%), 솔브레인(+3.19%), 셀트리온제약(+2.55%),
리노공업(+2.01%), 위메이드(+0.97%), 에스엠(+0.33%) 등은 상승.
셀트리온헬스케어, 펄어비스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종이/목재(-6.40%), 일반전기전자(-3.34%), 금융(-2.90%) 업종의 약세가 두드러졌으며, 운송장비/부품(-1.60%), 오락/문화(-1.58%), 섬유/의류(-1.51%), 금속(-1.48%), 제조(-1.48%), 컴퓨터서비스(-1.46%), 기계/장비(-1.26%), 운송(-1.26%), 디지털컨텐츠(-1.23%), 의료/정밀 기기(-1.12%), 기타 제조(-1.10%), 화학(-1.09%), IT S/W & SVC(-1.09%) 업종 등이 큰 폭 하락. 반면, 기타서비스(+4.40%), 통신서비스(+0.52%), 제약(+0.11%) 업종만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48.34P(-6.28P/-0.73%)
테마시황
상승테마
금리 인하 수혜 및 JP모건헬스케어 콘퍼런스 기대감 지속,
레고켐바이오의 항체-약물 접합체(ADC) 후보물질 'LCB84' 기술이전 계약 체결 소식 등에
제약/바이오 테마상승.
尹 대통령, 저출산 대책 촉구 발언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애플 비전프로 내년 2월 출시 소식 등에 일부
메타버스(Metaverse)/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테마 상승.
LK-99 논문 저자 김현탁 교수, 미국물리학회(APS)서 초전도체 관련 발표
예정 소식에 일부 초전도체 테마 상승.
한동훈 비대위 출범 예정 속 일부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상승.
美수소 보조금 가이드라인 발표 속 수소 산업 육성 기대감 등에
일부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반도체 업황 턴어라운드 기대감 지속 등에 삼성전자(+0.92%)가 52주 신고가를 재차 경신했고,
반도체 대표주(생산), 온디바이스 AI,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등 일부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푸틴 러시아 대통령, 우크라이나와 휴전할 용의가 있다는 소식 등에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테마 상승.
이 외에 타이어, 광고, 생명보험, 건설 대표주, 편의점, 모듈러주택, 렌터카, 네옴시티, 농업, 손해보험,
자동차 대표주, 소매유통, 페인트, 리츠(REITs), 철강 주요종목, 조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RBC, 테슬라 4분기 출하대수 추산치 하향 조정 및 금감원, '밧데리 아저씨' 박순혁 작가
압수수색 소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등 테마 하락.
세계 2위 해운사 머스크, 홍해 항행 재개 예정 소식 속 해운/ 종합 물류 테마 하락.
지난주 中, 희토류 가공 기술 수출 금지 소식 등에 시장에서 부각됐던
희귀금속(희토류 등), 페라이트 등 테마 하락.
미술품 조각투자 첫 공모 흥행 소식 속 시장에서 부각됐던 STO(증권형 토큰 발행) 테마 하락.
현물 ETF 심사 대기 모드, 비트코인 시세 횡보 소식 속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하락.
이 외에 탄소나노튜브, 터치패널, LED장비, 웹툰, 그래핀, MLCC, 음원/음반, 전자파,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콜드체인(저온 유통), 日 수출 규제, 쿠팡, 창투사,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일자리(취업),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제약/바이오 관련주
금리 인하 수혜 및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기대감 지속,
레고켐바이오 LCB84 기술이전 계약 체결 소식등에 상승
업계에 따르면, 올해 부진한 흐름을 보였던 제약·바이오주가 내년부터 본격적인 반등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음. SK증권 연구원은 지난 22일 보고서를 통해 제약·바이오 업종은 내년 금리 인하의 대표 수혜 업종이라며, 지난 11월 이후를 기점으로 미국 중소형 바이오텍들의 강한 주가 반등이 포착되고 있는 가운데, 이와 같은 risk-on의 영역은 당분간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특히, 내년 금리의 추세적 하락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한 가운데, 국내의 경우 최근 대주주 양도세 기준 완화에 따른 투자 심리 개선이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
아울러 다음달 미국에서 열릴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가 주가의 단기적인 분수령이 될 것이란분석도 이어지고 있음. 현지시간으로 1월8일부터 1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제 42회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MHC)가개최될 예정. JPMHC는 매년 1월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헬스케어 행사로, 글로벌 빅 파마 및 신흥 바이오 기업, 전문 투자자등이 모여 연구개발과 투자유치, 파트너십 등을 논의하는 행사임. 이번 행사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메인트랙에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며, 에이비엘바이오, 신테카바이오 등이 참석할 예정.
레고켐바이오가 존슨앤드존슨의 자회사인 얀센 바이오텍에 항체-약물 접합체(ADC)후보물질 'LCB84'를 기술이전 하는 계약을 체결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계약 규모는 17억 달러(약 2조2,457억원)으로 선급금 1억 달러(약 1,303억원)와 단독 개발 권리행사금 2억 달러(약 2,607억원), 개발·허가·상업화 등에 따라 발생하는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가 여기에 포함될 예정. 이에 따라 얀센은 LCB84의 전 세계 개발과 상용화에 대한 권리를 갖고, 레고켐바이오와 함께 현재 진행 중인 임상 1·2상 시험을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으로 얀센이 단독 개발 권리를 행사한 이후에는 얀센이 전적으로 임상 개발과 상업화를 책임질 계획임.
이 같은 소식 속 파멥신, 와이바이오로직스, 네오이뮨텍, 에스씨엠생명과학, 한올바이오파마, 한미약품, 신테카바이오 등 제약업체/면역항암제/줄기세포/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유전자 치료제/분석, 코로나19 관련주 테마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尹 대통령, 저출산 대책 촉구 발언 등에 상승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올해 마지막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저출산 문제는 우리가 상황을 더욱 엄중하게 인식하고원인과 대책에 대해 그동안과는 다른 차원의 고민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음. 윤 대통령은 "좋은 정책을 다 모은다고 해서 저출산 대책이 될수 없다는 것은 20년 이상의 경험을 통해서 국민 모두가 충분히 알고 있다"며, "많은 전문가가 지적하는 것처럼 교육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과도한 경쟁시스템이 직접적 원인이라면, 이를 고치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출산에 대한 인센티브가 확실한 저출산 대책이 되기 위해선 보편적 지원뿐만 아니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꼭 필요한 것을 찾아내 확실하게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음.
한편, 통계청은 인구감소 및 인구구조 변화 등 저출산 현황을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저출산 통계지표 체계’ 구축을 추진한다고 밝힘.통계청은 우리나라 저출산 대응을 위해 저출산 통계지표 체계를 개발 중이며, 저출산 통계지표 체계는 저출산, 출산력·혼인력 등 출산현황, 결혼·출산의 선행조건인 양육·돌봄 등 결정요인, 출산현황과 결정요인에 영향을 주는 가족정책의 3대 영역과 하위 11개 부문으로나눠 관련세부 지표를 구축 중임.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삼성출판사, 남양유업, 메디앙스, 꿈비, 제로투세븐 등 출산장려정책 테마 등이 상승.
삼성출판사는 '아기상어' 더핑크퐁컴퍼니 상장 기대감도 지속. 남양유업은 경영권 분쟁 종료 기대감이 지속.
메타버스(Metaverse)/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애플 비전프로 내년 2월 출시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25일(현지시간) IT매체 나인투파이브맥은 애플 전문 분석가 궈밍치의 보고서를 인용해 애플 비전 프로가 내년 1월 말까지 제품 준비를 한 뒤 2월부터 출시될 것이라고 보도했음. 궈밍치에 따르면, 비전 프로의 대량 출하는 1월 첫째 주인 다음 주에 시작될 예정이며, 출시 시기는 1월 말이나 2월 초가 될 것으로 전망. 내년 비전 프로 헤드셋의 출하량은 약 50만 대 수준으로 추산되고 있음.
한편, 지난주 블룸버그 통신도 애플이 비전프로의 2월 출시를 목표로
중국 공장 내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뉴프렉스, 큐에스아이, 핑거, 버넥트, 선익시스템 등
일부 메타버스(Metaverse)/가상현실(VR)/증강현실(AR) 테마가 상승.
초전도체
LK-99 논문 저자 김현탁 교수, 미국물리학회(APS)서 초전 도체 관련 발표 예정 소식에일부 관련주 상승
최근 미국물리학회(APS) 홈페이지에 따르면, LK-99 논문 저자 중 한 명인 김현탁 미국 윌리엄앤드메리대 교수가 내년 3월4일(현지시간) 초전도체와 관련한 발표자로 확정된 것으로 전해짐. 김현탁 교수와 퀀텀에너지연구소 연구진(이석배·임성연·안수민·어근호)은 'Partial levitation, type-II-superconductor characteristic, at room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in PCPOSOS'라는 주제로 발표할 예정.
이 같은 소식에 신성델타테크, 파워로직스, 덕성 등 일부 초전도체 테마가 상승.
한편, 지난 13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 검증위원회는 LK-99이 초전도체일 근거가 전무하다는
결론을 내놓은 바 있음. 검증위는 LK-99에 대해 "원논문의 데이터와 국내외 재현실험연구결과를
종합해 고려해 보면, LK-99 가 상온 상압 초전도체라는 근거는 전혀 없다"고밝힘.
정치/인맥(한동훈)
한동훈 비대위원장 임명안 가결, 한동훈 비대위 출범 예정 속 일부 관련주상승
국민의힘은 이날 전국위원회를 열어 비상대책위원회 설치의 건과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의비대위원장 임명 안건을 의결. 한동훈 비대위원장 임명안 투표 결과 재적 인원 824명 중 650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찬성 627표, 반대 23표로한동훈 비대위원장의 임명안은 원안대로 통과됐음. 비대위 설치의 건은 재적 인원 824명 중 650명이 투표에 참여, 찬성 641명, 반대 9명으로가결됐음.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금일 오후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취임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정치를 시작하면서부터 선민후사를 실천하겠다"며, "지역구에 출마하지 않겠다. 비례대표로도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혔음. 이어 "오직 동료 시민, 이 나라의 미래만 생각하면서 승리를 위해 용기 있게 헌신하겠다"고 발언.
이 같은 소식 속 디티앤씨알오, 디티앤씨, 체시스 등 일부 정치/인맥(한동훈) 테마가 상승.
원익큐브 등은 시장에서 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美 수소 보조금 가이드라인 발표 속 수소 산업 육성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 재무부가 수소 생산 보조금 세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며,
보조금 탄소배출에 따라 4단계로 분류, 수소생산 kg당 $0.6 ~ $3.0로 10년간 세액공제가 제공된다고 밝힘.
아울러 바이든 정부의 수소 산업 육성은 신규 재생에너지 설치를 기반으로 하겠다는 정책 방향 제시한 것이라며, 이는 그린 워싱 논란을 없애고, 지속 가능한 수소 산업의 육성에 긍정적이라고 밝힘.
이날 울산시는 언론을 통해 케이앤디에너젠으로부터 2,185억원 규모 수소가스 생산공장 신설 투자 유치를 끌어냈다고 밝힘. 케이앤디에너젠은 온산국가산업단지 내 3만3천㎡부지에 국내 상업용 생산시설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시간당 9만2천N㎥ 규모 수소가스 생산공장 건립을 위해 2024년 5월 착공해 2026년 4월 준공할 예정임.
24일(현지시간)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세계 전역에서 천연 수소 가스전을 탐사하기 위한 투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고보도했음. 빌 게이츠가 설립한 벤처캐피털(VC) 브레이크스루에너지는 지난 7월 천연 수소 시추기업 콜로마에 9,100만달러를 투자했으며, 호주의 광산업체 하이테라는 수소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100만달러를 투자받았음. 호주 광산업체 골드하이드로젠에 따르면, 2030년까지 천연 수소 가스전 투자 규모는 1,84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음.
이에 금일 상아프론테크, 효성첨단소재, 시노펙스, 범한퓨얼셀, 평화홀딩스, 두산퓨얼셀 등
일부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가 상승.
2차전지/ 전기차 등
RBC, 테슬라 4분기 출하대수 추산치 하향 조정 및 금감원, '밧데리 아저씨' 박순혁 작가 압수수색 소식 등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RBC 캐피털 마켓츠의 애널리스트 톰 나라얀은 현지시간으로 21일 분석노트를 통해 테슬라의 4분기 출하대수 추산치를 하향 조정. 테슬라가 4분기 45만6,000대를 출하할 것으로 예상, 이는 자신의 이전 전망보다 4.2%, 시장 컨센서스보다 1.1% 낮은 수준으로 알려짐. 나라얀은 자동차 등록 데이터 상으로 테슬라 등록현황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미국, 유럽,중국 등 3개 주요 지역에서 판매가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아울러, 내년 IRA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 강화에 따른 보조금 3,500달러박탈로 테슬라 출하가 내년에 도 고전할 것으로 전망.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특사경)은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금지위반 혐의로 '배터리 아저씨’로 불리는 박순혁 작가와 선대인 선대인경제연구소장의 자택을 압수수색. 금감원은 지난해 8월 박 전 이사가 금양 홍보이사로 재직할 당시 금양이 콩고민주공화국에 있는 리튬 자원개발 회사와 업무협약(MOU) 체결을 추진한다는 소식을 선 소장에게 미리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선 소장이 박 전 이사에게 받은 정보로 약 7억원의 부당 이득을 취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박 작가는 "선 소장과는 지난해 7월에 알게 된 사이인데 한 달 만에 위험을 무릅쓰며 누가 그런 정보를 알려 주겠냐"며, "MOU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눈 적 없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금양, 애경케미칼, 케이엔에스, 동화기업, 삼아알미늄, 이녹스, 에코프로머티, 에코프로,
엘앤에프 등 2차전지/전기차 등 테마가 하락.
해운/ 종합 물류
세계 2위 해운사 머스크, 홍해 항행 재개 예정 소식 속 하락
현지시간 25일 외신에 따르면, 홍해에서 예멘 후티 반군 공격으로부터 해상 교통을 보호하기 위한 다국적 안보 구상 '번영 수호자 작전'이 창설됨에 따라 세계 2위 해운사 머스크는 아프리카 우회를 중단하고 홍해항해를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힘. 머스크는 홍해 항로를 다시 통과할 첫 선박을 준비하고 있으며, 최대한 빨리 운항을 재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임.
한편,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통과 선박 무차별 공격으로 그동안 머스크를 비롯해 MSC, 독일 하팍로이드 등글로벌 주요 해운사들이 홍해를 이용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지 않고 아프리카 희망봉을 돌아가는 우회로로 운항을 해온 바 있음. 이에 글로벌 해운 운임이 급등하고, 운송 지연에 따른 공급망 위기가 제기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흥아해운, STX그린로지스, HMM, KSS 해운 등 해운 테마, 한익스프레스, KCTC, 세방, 한진 등 종합 물류 테마도 하락.
당일 상승종목
파멥신(+29.92%)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타이어뱅크로 최대주주 변경
예정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디티앤씨알오(+30.00%)
한동훈 비대위 출범 예정 소식에
일부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메이슨캐피탈(+30.00%)
아리바이오 AR1001 유럽 8개국 3상
시험 신청 완료 소식 속
아리바이오 지분 보유 부각 등에 상한가
소룩스(+29.84%)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 및
아리바이오 AR1001 유럽 8개국 3상
시험 신청 완료 소식 등에 상한가
디티앤씨(+28.41%)
한동훈 비대위 출범 예정 소식에
일부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상승 속 급등
와이바이오로직스(+25.44%)
금리 인하 수혜 및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라이프시맨틱스(+23.66%)
일부 의료AI 테마 상승, 데이터
상호운용성 검증 통과 모멘텀 지속 및
송승재 대표이사,
동사 주식 취득 소식 속 급등
이노인스트루먼트(+21.33%)
이스라엘 전쟁 휴전 기대감 속
통신망 구축 수요 관심 증가
소식 등에 급등
손오공(+20.57%)
엔젤산업 테마 상승 속
2차전지 사업 진출 재부각에 급등
원익큐브(+19.80%)
한동훈 비대위 출범 예정 소식
속 한동훈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16.95%)
금리 인하 수혜 및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에스씨엠생명과학(+15.44%)
금리 인하 수혜 및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신흥에스이씨(+14.35%)
美 공장 완공 임박에 따른
2차전지 포트폴리오 확대 소식 등에 급등
대동기어(+13.11%)
최대주주 대동, 포스코와 특수환경
임무수행 로봇 공급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지오릿에너지(+12.41%)
관계사 엑스트라릿, 美 할리버튼
자회사와 직접리튬추출 상용화
추진 소식에 급등
피코그램(+12.00%)
제품 라인업 추가에 따른 외형성장
기대감 및 내년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급등
이엠넷(+11.01%)
네이버 치지직 돌풍 소식 속
네이버 파트너사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드림씨아이에스(+10.89%)
일부 의료AI 테마 상승,
가파른 수주 증가 및 신규사업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레고켐바이오(+10.38%)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얀센 바이오테크와 2조원대
기술 이전 계약 체결에 급등
윙스풋(+10.05%)
올해 순이익 30% 배당 계획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남양유업(+9.83%)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속
경영권 분쟁 선고일 내년
1월4일로 확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메디콕스(+9.35%)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이오셀과 배터리셀 JV설립
추진 사실 재부각에 급등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DS단석+10.00%
신규상장 첫날 상한가,
이튿날 정규장 급락, 시간외 상한가
리노스+9.98%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주)오디텍외 1인이
(주)폴라리스우노 외 1인에 보유주식 13,927,386주를
426.0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공시.
(주)폴라리스우노(변경예정 최대주주) 등 대상 18,821,343주
(167.6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
갤럭시아에스엠+9.92%
한국거래소, 4월까지 조각투자시장
개설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테마 상승
이엠넷+9.92%
네이버 치지직 돌풍 소식 속
네이버 파트너사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정규장 11.01% 급등
갤럭시아머니트리+8.27%
한국거래소, 4월까지 조각투자시장
개설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테마 상승
하림+7.00%
양재 도시첨단물류단지 개발사업,
서울시 통합심의 진행 소식 등에
정규장 5.39% 상승
케이옥션+5.07%
한국거래소, 4월까지 조각투자시장
개설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테마 상승
윌비스+3.79%
이준석 전 대표 27일 탈당 기자회견
예정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준석)
관련주로 부각
폴라리스우노+3.77%
장 마감 후 리노스(LEENOS Corp.)
주식 7,388,707주를 226.00억원에 신규로
양수하기로 결정(양수후지분율:15.14%,
양수예정일:2024-02-13) 공시 및 리노스(대한민국)
주식 4,685,820주를 41.75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7.85%, 취득예정일:2024-05-30) 공시
MDS테크+3.33%
장 마감 후 현대오토에버(주)와 282.70억원
(최근 매출액대비 18.4%) 규모 공급계약
(모잠비크 공공안전관리정보시스템(PSMIS)의 조달) 체결 공시
아이티센+3.03%
한국거래소, 4월까지 조각투자시장
개설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테마 상승
지더블유바이텍+2.91%
장 마감 후 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
정정 공시(대상자 변경, 납입일 변경 등)
서울옥션+2.78%
한국거래소, 4월까지 조각투자시장
개설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테마 상승
YBM넷+2.68%
이준석 전 대표 27일 탈당 기자회견
예정 속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
(이준석) 테마 상승
핑거+2.41%
한국거래소, 4월까지 조각투자시장 개설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테마 상승
넥스트아이+2.40%
이준석 전 대표 27일 탈당 기자회견
예정 속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
(이준석) 테마 상승
삼보산업+2.24%
이준석 전 대표 27일 탈당 기자회견
예정 속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
(이준석) 테마 상승
에스씨엠생명과학+2.03%
금리 인하 수혜 및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정규장 15.44% 급등
하림지주+1.87%
양재 도시첨단물류단지 개발사업,
서울시 통합심의 진행 소식 등에
정규장 3.89% 상승
커넥트웨이브+1.50%
쇼핑몰 통합관리 솔루션 '플레이오토',
콜로세움 주문관리시스템 연동
완료 소식 속 정규장 6.26% 강세
코아스템켐온+1.38%
장중 중간엽줄기세포치료제·면역억제제 병용치료 1상 IND 신청 공시
하락종목
대동기어-1.49%
장 마감 후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및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대유플러스-1.79%
장 마감 후 611.6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40%)
규모 가전사업부문 영업정지 및 중요내용
공시관련 매매거래 정지 공시
HMM-1.81%
세계 2위 해운사 머스크, 홍해 항행 재개
예정 소식에 해운 테마 하락 속 정규장 4.06% 하락.
장 마감 후 하림 "HMM·팬오션 합병 않고 경쟁시킬 것" 기사
에이스테크-1.88%
장 마감 후 임시주주총회 결과
(이사 선임 부결 등) 공시
대상홀딩스-2.06%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하락
큐리언트-2.09%
장 마감 후 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전환우선주)
정정공시(전환조건 및 발행가액 일부 변경)
인스웨이브시스템즈-2.10%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엘엠에스-2.12%
장 마감 후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상황보고서 전자공시(등기임원 장내매도)
깨끗한나라-2.14%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하락
레뷰코퍼레이션-2.18%
시간외 일부 광고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흥아해운-2.45%
세계 2위 해운사 머스크, 홍해 항행 재개 예정
소식에 해운 테마 하락 속 정규장 6.32% 약세
와이바이오로직스-2.50%
장 마감 후 895,828주 추가상장
(우선주의 보통주전환) 공시
오킨스전자-2.52%
장 마감 후 매매거래정지 예고 공시
플레이디-2.54%
시간외 일부 광고 테마 하락
엠에프엠코리아-2.69%
3,318,243주 규모 BW행사 물량
추가상장 예정 속 정규장 11.03% 급락
하이드로리튬-2.95%
장 마감 후 [투자주의]단일계좌
거래량 상위종목 공시
케이바이오-3.28%
장 마감 후 전환가액의 조정(282원 -> 278원) 공시
모비데이즈-3.53%
시간외 일부 광고 테마 하락
이월드-3.67%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 공시
덕성-4.20%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베셀-4.52%
장 마감 후 13,370,919주 추가상장
(유상증자-주주우선공모) 공시
오파스넷-4.59%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하락
와이즈버즈-4.62%
시간외 일부 광고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
(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디지캡-4.63%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오리콤-4.82%
시간외 일부 광고 테마 하락.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와이더플래닛-5.43%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하락
유니드비티플러스-5.61%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하락
이노인스트루먼트-5.92%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한익스프레스-6.02%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
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하락
부방-6.11%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
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노을-6.48%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
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태양금속-6.90%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
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엑스페릭스-7.27%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
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태평양물산-7.63%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
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장 마감 후 162,337주 추가상장(국내CB전환) 공시
오픈놀-8.77%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
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원익큐브-9.03%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
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체시스-10.00%
한동훈 비대위원장, 지역구·
비례대표 불출마 발언 속
시간외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부각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7 (수) 장마감 (1) | 2023.12.28 |
---|---|
12.27 (수) 장마감 분석 (0) | 2023.12.27 |
12.26 (화) 장마감 분석 (0) | 2023.12.26 |
12.22 (금) 장마감 (1) | 2023.12.26 |
12.22 (금) 장마감 분석 (0) | 2023.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