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7.20 (목) 장마감

by 장주공 2023. 7. 21.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7/20 KOSPI 2,600.23(-0.31%)

기관 순매도(-), 외국인·개인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주요국 인플레이션 지표 둔화 및 기업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95.38(-12.86P, -0.49%)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589.29(-18.95P, -0.7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줄였고, 오전중 상승 전환.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2,611.34(+3.10P, +0.1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보합권을 중심으로 혼조세를 보였고, 오후 들어 소폭 하락한 끝에 결국

2,600.23(-8.01P, -0.31%)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개인 순매수에도 불구하고, 금융투자 중심의 기관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하락.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반면, 외국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수, 개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기록.

코스피지수는 지난주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수요가 커지면서 이번주 내내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모습.

지난밤 뉴욕증시 장 마감 후 테슬라가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으나 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면서 차익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7월 美 FOMC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진 가운데, 美 국채금리 하락 속 안전자산 선호심리 등이

커진 점도 증시에 다소 부담으로 작용.

지난밤 발표된 테슬라의 2분기 매출총이익은 45억3,300만달러(약 5조7천400억원), 매출총이익률 18.2%를 기록, 전년 동기(25.0%)대비 6.8%포인트, 전 분기(19.3%)보다 1.1%포인트 감소. 영업이익률도 9.6%로 전년 동기(14.6%)보다 5%포인트 줄어들었음. 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 모두 지난 5개 분기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임. 2분기 매출액은 249억2,7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7% 증가, 순이익은 차량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대비 20% 늘어난 27억300만달러를 기록. 조정 주당순이익은 0.91달러로 시장 전망치인 주당 0.82달러를 상회.

테슬라 실적 발표 속

LG에너지솔루션(-0.71%), 삼성SDI(-1.44%), 포스코퓨처엠(-3.23%)이 하락,

SK이노베이션(+2.48%)은 상승.

삼성전자(-0.98%), SK하이닉스(-0.51%) 등 반도체 대표주,

현대차(-0.74%),기아(-1.98%), 현대모비스(-0.61%) 등 자동차 대표주도 하락.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대만이 상승했을 뿐 일본, 중국, 홍콩은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이 3,161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498억, 1,43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3,634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475계약, 310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3원 상승한 1,269.9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3.8bp 상승한 3.581%, 10년물은 전일 대비 3.1bp 상승한 3.60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4틱 내린 103.96 마감. 외국인과 금융투자가 각각 2,208계약, 2,271계약 순매도, 투신도 1,825계약 순매도. 은행은 6,268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5틱 내린 111.45 마감. 외국인이 4,175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3,625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포스코퓨처엠(-3.23%), 기아(-1.98%), LG전자(-1.70%), 삼성SDI(-1.44%), 삼성전자(-0.98%), 현대차(-0.74%), LG에너지솔루션(-0.71%), 현대모비스(-0.61%), 삼성바이오로직스(-0.54%), SK하이닉스(-0.51%), 삼성물산(-0.48%) 등이 하락.

반면, SK이노베이션(+2.48%), LG(+1.27%), 신한지주(+0.75%), 카카오(+0.20%),

셀트리온(+0.13%), KB금융(+0.10%) 등은 상승. NAVER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운수창고(+2.69%), 의료정밀(+1.60%), 비금속광물(+0.74%), 종이/목재(+0.69%), 기계(+0.55%), 유통(+0.48%), 전기가스(+0.46%), 금융(+0.32%), 서비스(+0.25%), 섬유/의복(+0.13%) 등이 상승. 반면, 운수장비(-1.20%), 전기/전자(-0.86%), 보험(-0.62%), 제조(-0.61%), 음식료(-0.30%), 건설(-0.28%)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600.23P(-8.01P/-0.31%)

코스닥 마감시황

7/20 KOSDAQ 931.60(+0.85%)

기관·개인 순매수(+), 외국인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주요국 인플레이션 지표 둔화 및 기업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18.27(-5.45P, -0.59%)로 하락 출발.

장 초반 913.98(-9.74P, -1.0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줄였고, 오전중 상승 전환.

오후 들어 상승폭을 줄이고 늘리기를 반복하다 장 막판 931.79(+8.07P, +0.8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결국 931.60(+7.88P, +0.85%)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 순매도 속 기관과 개인 순매수 등에 8거래일 연속 상승. 기관이 이틀째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를 기록. 에코프로(-3.04%) 등 시총 상위 2차전지 관련주가 다소 부진한

흐름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엔터 및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한 영향에 코스닥지수는 상승 마감.

지난밤 뉴욕증시 장마감 후 테슬라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에코프로(-3.04%), 엘앤에프(-1.97%)는 하락, 에코프로비엠(+0.42%)은 강보합 마감.

전일 7거래일만에 하락했던 포스코DX(+16.07%)는 금일 하루만에 재차 상승.

HLB(+9.84%)는 리보세라닙 美 FDA 본심사 진입 모멘텀 및 전일 무상증자 결정 등에강세,

HLB제약(+7.82%), HLB생명과학(+4.72%) 등 HLB 그룹주도 상승.

JYP Ent.(+3.81%), 에스엠(+3.73%) 등 엔터,

HPSP(+1.83%), 원익IPS(+3.14%)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550억, 276억 순매수, 외국인은 641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포스코DX(+16.07%), HLB(+9.84%), 더블유씨피(+6.85%), JYP Ent.(+3.81%), 에스엠(+3.73%), 루닛(+3.08%),펄어비스(+2.83%), 알테오젠(+2.73%), HPSP(+1.83%), 케어젠(+1.79%) 등이 상승. 반면, 에코프로(-3.04%), 엘앤에프(-1.97%), 동진쎄미켐(-1.12%), 리노공업(-0.50%), 셀트리온헬스케어(-0.31%)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종이/목재(+3.02%), 기타서비스(+2.82%),출판/매체복제(+1.86%), 제약(+1.85%), 기계/장비(+1.84%), 반도체(+1.66%), IT부품(+1.60%), 오락문화(+1.52%), IT H/W(+1.44%), 화학(+1.36%), 디지털컨텐츠(+1.29%), 건설(+1.24%), 기타제조(+1.14%) 등이 상승. 반면, 금융(-2.40%), 운송장비/부품(-0.95%), 섬유/의류(-0.53%), 통신장비(-0.38%), 인터넷(-0.22%), 유통(-0.09%)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931.60P(+7.88P/+0.85%)

테마시황

상승테마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반도체 테마 상승.

폐배터리 시장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폐배터리 테마 상승.

테슬라 2분기 실적 발표 속 2차전지/ 전기차 테마 상승. 니켈, 리튬 테마 등도 상승.

AI, DDR5 등 기술변화 모멘텀 속 기판 산업 성장 기대감 등에 PCB(FPCB 등) 테마 상승.

국내외 여행 수요 증가 속 호실적 기대감 지속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여행 테마도 상승.

러시아 흑해곡물협정 종료 영향 지속 등에 일부 사료/ 비료/ 농업/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일라이릴리 치매 치료제 ‘도나네맙’ 임상시험 마지막 단계에서 긍정적인 결과 발표 모멘텀 지속 속

치매 테마 상승.

애플, 자체적인 인공지능(AI) 언어 모델 개발 소식 속 일부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애플 주가 상승 속 아이폰 테마도 상승.

이 외 밥솥, LED장비, 화학섬유, 제4이동통신,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SI(시스템통합), 전력저장장치(ESS), NI(네트워크통합),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4대강 복원, 해저터널, 전선, 클라우드 컴퓨팅, U-Healthcare(원격진료), 태양광에너지, 3D 프린터, 소매유통, 탈모 치료, OLED, 철강 중소형, 미용기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넷플릭스, 매출 실망감 속 시간외 주가 약세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하락.

최근 조선업 호황 속 강세를 보이던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RFHIC 2분기 어닝 쇼크 전망 속 통신장비, 5G 테마 하락.

中 LPR 동결 및 소비진작책 회의론 지속 등에 면세점, 카지노,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등 하락.

이 외 탄소나노튜브(CNT), IT 대표주, 피팅(관이음쇠)/밸브, 그래핀, 우크라이나 재건, 바이오시밀러, 자동차 대표주, 출산장려정책, 모듈러주택, 핀테크,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손해보험, 웹툰,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원자력발전, 캐릭터상품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도체 관련주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사업부가 세계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주목받는 반도체 스타트업과 칩 연구 과제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짐.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는 미국 AI 반도체 스타트업 텐스토렌트·그로크와 칩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잇따라 개시했으며, 파운드리사업부 내 시스템반도체 설계팀인 파운드리디자인서비스(FDS)팀이 이 연구 과제를 담당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삼성전자와 텐스토렌트·그로크는 첨단 정보기술(IT) 기기에 활용될 AI 반도체를 개발하며, 이 과제가 양산까지 이어지면 삼성전자가 구축한 5나노 이하 극자외선(EUV) 공정 라인, 2.5D 패키징 설비에서 칩을 생산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음. 업계에서는 삼성이 두 회사와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 파운드리 시장에 적잖은 파급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챗GPT로 촉발된 AI 시장 규모가 커져 두 스타트업의 입지가 강화된다면 일찌감치 협업을 진행한 삼성 파운드리가 상당한 수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으로 텐스토렌트는 애플·테슬라·인텔·AMD의 최첨단 반도체 설계를 주도해 이 분야의 전설로 통하는 짐 켈러가 최고경영자(CEO)라고 전해짐.

한편,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열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위원회 회의에서 "반도체 2개(안성, 부산), 미래차 2개(광주, 대구), 바이오 1개(오송) 등 총 5개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를 추가 지정한다"고 밝힘.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는 '제3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반도체 2개, 이차전지 4개, 디스플레이 1개 등 총 7개의 특화단지를 지정하고 600조원 이상의 민간 투자가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에이디테크놀로지, 가온칩스, 한미반도체 등 시스템반도체 테마를 비롯해 제우스, 레이저쎌, 피에스케이홀딩스, 인텍플러스, 엘오티베큠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폐배터리

폐배터리 시장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최근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폐배터리 시장 성장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최근 공개된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세계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은 연평균 17%씩 성장해 2023년 108억달러(13조6,264억원)에서 2030년 424억달러, 2040년 2,089억달러(263조원) 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언론에 따르면, 전기차용 2차전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세계 각국 기업들이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재활용) 산업에 잇달아 뛰어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도 유럽과 북미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세운다는 구상을 내놨으며,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를 비롯해 성일하이텍, 세빗켐, 영풍, 에너지머티리얼즈 등이 배터리재활용 설비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테슬라 공동 창업자인 J.B 스트라우벨이 설립한 배터리 재활용 스타트업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의 기업 가치는 2021년 37억 달러(4조6,000억원)에서 최근 50억 달러(6조3,000억원)까지 성장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새빗켐, NPC, 성일하이텍, 코스모화학, 이지트로닉스 등 폐배터리 테마가 상승.

2차전지/ 전기차

테슬라 2분기 실적 발표 속 상승

테슬라는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을 발표. 순이익은 차량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2분기보다 20% 늘어난 27억3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조정 주당순이익은 0.91달러로, 레피니티브가 조사한월가 전망치인 주당 0.82달러를 훌쩍 뛰어넘었음. 큰 폭의 차량 판매량에 힘입어 매출액은 249억2,7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7% 증가했으며, 직전 1분기보다도 7% 증가했음. 다만, 매출액에서 원가를 뺀 매출총이익은 45억3,300만달러(약 5조7천400억원), 매출총이익률 18.2%를 기록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25.0%)보다 6.8%포인트, 전 분기(19.3%)보다 1.1%포인트 각각 떨어졌음. 영업이익률도 9.6%로, 지난해 같은 기간(14.6%)보다 5%포인트 하락했음. 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 모두 지난 5개 분기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은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 콜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마진(이익)을 계속 희생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머지않은 미래에 극적인 가치 상승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더 많은 차량을 판매하기 위해 마진을 희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그 가치는 엄청나다"고 밝힘.

시장에서는 테슬라 이익률 하락에 대한 우려가 발생하며, 테슬라 주가는 지난밤 뉴욕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4% 넘는 하락세를 기록.

이 같은 소식 속 장초반 2차전기 투자 심리가 악화되기도 했지만, 이내 투자 심리가 회복되며 피엔티, 에이프로, 광무, 유일에너테크, 코윈테크, 자비스, 엔켐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한편, 최근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가 유럽 생산기지인독일 공장의 규모를 2배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짐. 테슬라는 베를린 외곽 그뤼네하이데에 있는 기가팩토리의 생산 규모를 2 배로 늘리는 내용의 부지 사용 확장 신청서를 브란덴부르크주 환경부에 제출했으며, 이 공장의 생산 능력을 지금의 연간 최대 50만대에서 100만대로 늘리고 배터리 생산량도 50기가와트시를 추가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PCB(FPCB 등)

AI, DDR5 등 기술변화 모멘텀 속 기판 산업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상반기기판 주가 상승의 배경은 기술변화 모멘텀이었다고 설명. 아직 실적 회복을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주가는 AI(이수페타시스, 코리아써키트), 어드밴스드패키지(대덕전자, 해성디에스), DDR5(티엘비) 등 기술변화 모멘텀을 이유로 업황을 선행하고 있다며, 다수의 기판 기업들은 과거의주가와 밸류에이션을 넘어섰다고 밝힘.

기술변화와 실적 개선 기여가 가장 뚜렷할 모멘텀은 AI와 DDR5라고 설명. 이수페타시스(MLB)는 AI 매출 비중이 올해 20%를 상회하고, 24년에 30~40%에 달할 것으로 전망. 티엘비(메인보드)는 국내 소부장 중 DDR5 관련 매출 비중이 가장 높고, 올해 DDR5 비중은 20~30%로 예상. 심텍(패키징기판)은 위의 기술변화 모멘텀에서는 소외돼 있으나 반도체 업황 회복 시 실적과 주가 베타가 가장 클 것이라고 설명. 비에이치(FPCB)는 다방면의 사업 확장으로 24년이 가장 기대되는 부품사라고 분석.

이 같은 소식에 이녹스첨단소재, 이수페타시스, 태성 등 PCB(FPCB) 테마가 상승.

항공/저가 항공사(LCC)

국내외 여행 수요 증가 속 호실적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요 항공사들의 실적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전통적인 비수기인 2분기에도 여행 수요가 강세를 보이며 성수기 같은 비수기를 보낸가운데, 주요 항공사들의 2분기 실적이 기존 추정치를 크게 상회할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는 모습. 6월 국제선 여객 수는 전월대비 6% 증가한558만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도 72% 증가한 수준임. 원유 가격이 하락해 연료비 부담이 줄어든 점도 실적 상승에 기여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아울러 3분기는 국제선 여객 계절적 성수기로 7~8월 여름 휴가와 9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있어 국제선 여객 수송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한편, 미국 3대 항공사 중 하나인 유나이티드항공이 지난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유나이티드항공이 발표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매출은 142억 달러로전년동기대비 17.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5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2.8% 급증했음. 일회성 항목을 제외한 주당 순이익(EPS)는 5.03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음. 이에 유나이티드항공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3% 넘게 상승.

이 같은 소식에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사료/ 비료/ 농업/ 음식료업종

러시아 흑해곡물협정 종료 영향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지난 17일(현지시간)부로 러시아가 흑해곡물협정종료를 선언한 가운데, 러시아 국방부가 금일(현지시간)부터 흑해에서 우크라이나 항구로 항해하는 모든 선박을 군용 화물의 잠재적 운반선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밝힘. 국방부의 이 같은 발표는 러시아 외무부가 흑해곡물협정에서 탈퇴함에 따라 러시아 정부가 흑해에서 안전한 항행에 대한 보 장을 철회한다고 말한 후 나온 것임.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이번 협정 중단은 우크라이나의 선적에크게 의존하는 북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국가의 식량 공급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이는 식량 안보 전망을 악화시키고 전 세계 식량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위험이 있다"고 밝힘.

한편, 외신에 따르면, 시카고 상품거래소에서 19일(현지시간) 밀 선물가격은 부셸당 7.28달러로 8.5% 급등한 것으로 전해짐. 밀 선물가격의 일간 상승률은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장 큰 폭이었으며, 옥수수와 대두 가격 등도 상승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한탑, 사조동아원, 우진비앤지, KG케미칼 등 일부 사료/비료/농업/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영상콘텐츠

넷플릭스, 매출 실망감 속 시간외 주가 약세 등에 하락

19일(현지시간) 넷플릭스는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을 발표. 2분기 매출액은 81억8,700만달러(약 10조3,700억원), 영업이익은 18억2,700만달러(약 2조3,100억원)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2.7%, 15.8% 증가. 같은기간 조정 주당순이익은 3.29달러로 시장예상치(2.90달러)를 상회했지만, 매출액은 시장예상치(83억 달러)를 하회했음. 또한, 3분기 매출 전망치를 시장예상치(86억7,000만 달러)에 못 미치는 85억2,000만 달러로 제시했음. 이에 시간외 거래에서 넷플릭스의 주가는 한때 7% 넘는 급락세를 나타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에이스토리, 스튜디오드래곤, 콘텐트리중앙 등 일부 영상콘텐츠 테마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더코디(+30.00%)

최대주주 대상 2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에 상한가

제이스코홀딩스(+29.93%)

파트너사 EVMDC, 필리핀 니켈 광산

개발·운영권 추가 획득 소식에 상한가

코스나인(+21.77%)

리튬 등 신사업 기대감 등에 급등

제우스(+20.57%)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퓨쳐켐(+19.53%)

전립선암 치료제 및 알츠하이머 진단제

매출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레이저쎌(+19.20%)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에이디테크놀로지(+18.93%)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피에스케이홀딩스(+17.13%)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윌링스(+17.11%)

최대주주 제이스코홀딩스, 파트너사

EVMDC 필리핀 니켈광산 개발·

운영권 추가 획득 소식에 급등

포스코DX(+16.07%)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에 급등

이녹스첨단소재(+15.02%)

PCB(FPCB 등) 테마 상승 속

수산화리튬 사업 진출 기대감 부각에 급등

와이랩(+15.00%)

신규 상장 첫날 급등

제이엘케이(+14.95%)

뇌졸중 의료AI 솔루션 도입

상급종합병원 101곳 돌파 모멘텀 지속에 급등

플리토(+13.95%)

기업용 번역 플랫폼 '플리토 엔터프라이즈',

일본시장 출시 소식에 급등

모델솔루션(+13.31%)

애플GPT 구축 소식 속 애플 고객사 및

토탈 제작솔루션 제공 업체로 부각되며 급등

자비스(+12.65%)

일부 반도체 관련주 및 2차전지,

PCB(FPCB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인텍플러스(+12.20%)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광무(+11.62%)

테슬라 2분기 발표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한탑(+10.06%)

러시아 흑해곡물협정 종료 영향 지속

등에 일부 사료/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HLB(+9.84%)

리보세라닙 美 FDA 본심사 진입 모멘텀

지속 및 무상증자 결정에 따른

숏커버링 매수세 유입에 급등

NPC(+9.40%)

폐배터리 시장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폐배터리 테마 상승 속 급등

엘오티베큠(+9.07%)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보로노이(+9.00%)

주요 파이프라인 임상 성과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7.20 (목)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상지카일룸+9.91%

장 마감 후 채무상환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에클레시아홀딩스 등 대상 24,000,000주

(12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발행가:500원, 상장예정:2023-10-13) 공시

SK케미칼+9.86%

장 마감 후 ASTRAZENECA UK LIMITED와 공급계약

(당뇨복합제 시다프비아(Sidapvia)) 체결

(계약기간:2023-07-19~2029-12-31) 공시

제이엘케이+9.60%

뇌졸중 의료AI 솔루션 도입 상급종합병원

101곳 돌파 모멘텀 지속에 정규장 14.95% 급등

조일알미늄+6.75%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알루미너스 유한회사 대상 300.00억원 규모의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권 발행 결정

(행사가액:2,980원, 행사청구일

:2024-08-10 ~ 2029-07-19) 공시

가온칩스+4.74%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정규장 4.52% 상승

새빗켐+4.38%

폐배터리 및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정규장 7.04% 강세

에이디테크놀로지+3.81%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정규장 18.93% 급등

SK디스커버리+3.64%

자회사 SK케미칼, 장 마감 후

ASTRAZENECA UK LIMITED와 공급계약

(당뇨복합제 시다프비아(Sidapvia)) 체결

(계약기간:2023-07-19~2029-12-31) 공시

금양+3.41%

장중 (주)에스엠랩 유상증자

(제3자배정) 참여 투자확약서 제출 공시

엘오티베큠+1.80%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정규장 9.07% 급등

코스나인+1.58%

리튬 등 신사업 기대감 등에 정규장 21.77% 급등

디엔에프+1.57%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정규장 5.70% 상승

성일하이텍+1.41%

폐배터리 및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정규장 4.33% 상승

넵튠+1.34%

자회사 님블뉴런이 개발하고

카카오게임즈가 공동 서비스하는

'이터널 리턴 1.0' 금일 정식 서비스 시작

레이저쎌+1.22%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정규장 19.20% 급등

하락종목

특수건설-1.50%

환경부, 4대강 16개보 존치 추진 소식 속

시간외 4대강 복원 테마 하락

포스코엠텍-1.52%

시간외 일부 포스코 그룹주 하락

하이소닉-1.53%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10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 공시

제이브이엠-1.62%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KC코트렐-1.65%

장 마감 후 단기차입금 증가 결정 공시

포스코DX-1.77%

시간외 일부 포스코 그룹주 하락.

장 마감 후 [투자주의]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공시

우원개발-2.17%

환경부, 4대강 16개보 존치 추진 소식 속

시간외 4대강 복원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계약금액 및 계약기간 변경에 따른 진접선(4호선연장)

차량기지 1공구(인입선) 건설공사 계약 정정공시

폴라리스오피스-2.22%

장 마감 후 [투자주의]스팸관여과다종목 공시

고영-2.37%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35.39억원(전년동기대비 -17.86%),

영업이익 30.86억원(전년동기대비 -67.65%)

웹스-4.18%

환경부, 4대강 16개보 존치 추진 소식 속

시간외 4대강 복원 테마 하락

이화공영-4.49%

환경부, 4대강 16개보 존치 추진 소식 속

시간외 4대강 복원 테마 하락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2 (금) 장마감  (0) 2023.07.23
7.21 (금) 장마감 분석  (0) 2023.07.21
7.20 (목) 장마감 분석  (0) 2023.07.20
7.19 (수) 장마감  (0) 2023.07.19
7.19 (수) 장마감 분석  (0) 2023.07.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