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5.16 (금) 장마감

by 장주공 2025. 5. 18.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5/16 KOSPI 2,626.87(+0.21%)

외국인/기관 순매수(+), 개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PPI 및 소비지표 소화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방산주 강세 등에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630.64(+9.28P, +0.35%)로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줄이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폭을 확대해 2,633.98(+12.62P, +0.4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점차 상승폭을 반납하던 지수는 오전 중 약보합세로 돌아서며 2,619.10(-2.26P, -0.09%)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오후 장중 상승세로 방향을잡았고 2,630선을 회복하기도 했지만,

장후반 일부 상승폭을 반납하며 결국 2,626.87(+5.51P, +0.21%)로 장을 마감.

시장을 이끌만한 이벤트가 부재한 가운데 숨고르기 장세 속 기업 실적을 소화하며

코스피지수는 소폭 상승.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8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2,800계약 넘게 순매수. 다만, 개인은 하루만에 순 매도.

벨기에, 22년 만에 탈원전 폐기 소식 등에

한전산업(+12.42%), 한전기술(+8.32%), 두산에너빌리티(+7.36%), 광명전기(+6.49%),

한국전력(+5.66%)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큰 폭으로 상승했고,

美 세제 개편 수혜 기대감 및 대선 정책 모멘텀 지속 등에

HD현대에너지솔루션(+15.24%), 한화솔루션(+3.78%), SK오션플랜트(+5.35%) 등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테마가 강세.

삼양식품(+19.07%)은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면서 급등했고,

농심(+9.40%) 역시 2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급등하는 등 일부 음식료업종이 상승.

반면, 업황 악화 및 美 세제 혜택 축소 우려 지속 등에

LG에너지솔루션(-5.37%), 삼성SDI(-2.95%), LG화학(-4.40%),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4.33%) 등 2차전지 관련 주가 약세.

SK하이닉스(+2.00%), 삼성전자(-0.87%) 등 반도체 관련주는 등락이 엇갈림.

밤사이 발표된 미국의 물가 지표와 소비 지표가 둔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나타났지만,

금리 인하 기대감은 높아지는 모습. 美 상무부에 따르면, 4월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대비 0.1% 증가한 7,241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소폭 증가하긴 했지만,

전월의 증가율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크게 둔화됐음. 美 노동부에 따르면,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대비 0.5% 하락해 시장 예상치 0.2% 상승을 크게 밑돌면서 2020년 4월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

한편, 시장에서는 다음 주 중국의 주요 동행지표와

미국의 구매관리자지수(PMI) 발표, 무역 협상 등을 주목하며 관망 심리가 커지고 있음.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대만이 상승한 반면, 일본, 중국, 홍콩은 하락하는 등 대부분 하락.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8.4원 하락한 1,389.6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99억, 1,339억 순매수, 개인은 3,028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853계약, 2계약 순매수, 기관은 2,768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4.3bp 하락한 2.319%,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1bp 하락한2.67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1틱 오른 107.66으로 마감. 은행이 6,905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외국인은 4,100계약, 2,997계약 순매 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4틱 오른 120.32로 마감. 외국인이 1,873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102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두산에너빌리티(+7.36%), HMM(+3.61%), 한화에어로스페이스(+2.31%), SK하이닉스(+2.00%), 기아(+0.88%), 한화오션(+0.87%), HD현대중공업(+0.72%), 삼성물산(+0.57%), 현대차(+0.47%), 삼성바이오로직스(+0.40%), 셀트리온(+0.33%), 신한지주(+0.19%) 등이 상승. 반면, LG에너지솔루션(-5.37%), 메리츠금융지주(-0.97%), 삼성전자(-0.87%), NAVER(-0.74%), HD한국조선해양(-0.69%) 등은 하 락. KB금융, 현대모비스는 보합.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전기/가스(+4.95%), 기계/장비(+4.41%), 음식료/담배(+4.12%), 건설(+1.93%), 운송/창고(+1.33%), 증권(+1.05%), 의료/정밀기기(+1.03%), 통신(+1.01%), 운송장비/부품(+0.92%), 부동산(+0.47%), IT 서비스(+0.28%), 금속(+0.19%), 보험(+0.19%), 금융(+0.16%) 업종 등이 상승. 반면, 비금속(-2.81%), 종이/목재(-1.79%), 섬유/의류(-1.42%), 화학(-0.87%), 전기/전자(-0.65%), 유통(-0.20%) 업종 등은 하락.

마감지수 : KOSPI 2,626.87(+5.51P/+0.21%)

코스닥 마감시황

5/16 KOSDAQ 725.07(-1.11%)

외국인/기관 순매도(-),

제약/바이오·2차전지株 약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PPI 및 소비지표 소화 속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34.38(+1.15P, +0.16%)로 강보합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며 점차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722.99(-10.24P, -1.40%)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했고,

이후 724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다 결국 725.07(-8.16P, -1.11%)로 장을 마감.

단기 상승 모멘텀이 부재한 가운데, 외국인, 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1% 넘게 하락.

외국인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5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개인은 2거래일 연속 순매수.

특히, 알테오젠(-4.08%), HLB(-1.58%), 클래시스(-6.92%), 삼천당제약(-1.99%) 등 제약/바이오,

에코프로비엠(-2.98%), 에코프로(-3.50%), 엔켐(-6.02%), 대주전자재료(-5.22%)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식품 제조 업체 바이오포트(-3.97%)는 스팩합병 상장 첫날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하락세로 돌아서며 거래를 마감.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790억, 433억 순매도, 개인은2,355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클래시스(-6.92%), 알테오젠(-4.08%), 에코프로(-3.50%), 에코프로비엠(-2.98%), 삼천당제약(-1.99%), 에이비엘바이오(-1.63%), HLB(-1.58%), 레인보우로보틱스(-1.50%), 휴젤(-1.00%), 코오롱티슈진(-0.73%), 에스엠(-0.66%), JYP Ent.(-0.27%) 등이 하락.

반면, 보로노이(+6.76%), 펩트론(+5.10%), 리노공업(+3.33%), 파마리서치(+1.46%),

실리콘투(+1.07%), 리가켐바이오(+0.78%), 셀트리온제약(+0.74%), 펄어비스(+0.27%)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의료/정밀기기(-2.59%), 비 금속(-2.55%), 화학(-2.19%), 금융(-1.92%), 섬유/의류(-1.72%), 일반서비스(-1.64%), 통신(-1.60%), 기타제조(-1.57%), 출판/매체복제(-1.21%), IT 서비스(-1.14%), 제 조(-1.07%), 전기/전자(-1.02%), 음식료/담배(-1.02%), 금속(-0.96%), 오락/문화(-0.94%), 운송장비/부품(-0.92%), 종이/목재(-0.89%)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운송/창고(+1.87%), 건설(+1.82%) 업종만 상승.

마감지수 : KOSDAQ 725.07P(-8.16P/-1.11%)

테마시황

상승테마

벨기에, 22년 만에 탈원전폐기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정부, 의료용 대마 급여 대상 기준완화 검토 소식 등에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LNG 개발' 알래스카 주정부, '에너지 콘퍼런스'에 한국 초청 소식 등에 남-북-러 가스관사업, 강관업체, 철강 중소형, LNG 등 알래스카 LNG 관련 테마 상승.

美 세제 개편 수혜 기대감 및 대선 정책 모멘텀 지속 등에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등 친환경·신재생에너지 테마 상승.

K-푸드 수요 확대에 따른 수출 호조세 지속 분석 등에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이재명 대선 후보 전북 군산 유세서 지역화폐 관련 발언, 지역화폐 활성화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지역화폐 테마 상승.

美中 90일간 관세 유예 속 중국산 제품 미국 수출 재개에 따른 운임 상승 전망 등에 해운, 일부 종합 물류 테마 상승.

이 외에 스마트그리드, 전력설비, 건설 대표주, CCTV & DVR,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손해보험, 전선, 핵융합에너지, 토스, 철도, 반도체 대표주(생산), 증권, 카지노, 건설 중소형, 리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1분기 시멘트 출하량, 1998년 이후 최저치 기록 등에 시멘트/레미콘 테마 하락.

업황 악화 및 美 세제 혜택 축소 우려 지속 등에 2차전지, 전기차, 리튬 등 테마 하락.

에듀테크 산업 위축, 주요 에듀테크 기업 구조조정 소식 등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하락.

건설경기 악화 및 고환율 기조 속 주요 페인트/도료 기업 1분기 실적 부진 등에 페인트 테마 하락.

이 외에 MLCC, LED장비, 일자리(취업), 탄소나노 튜브, 그래핀, 유리 기판, AI 챗봇(챗GPT 등), 유심, 광고,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화이자, 국내 상장 중국기업, 콜드체인(저온 유통), 제대혈, 증강현실,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원격진료/비대면진료, 미용기기, 퓨리오사AI, 의료AI, 화장품, 모바일솔루션, OLED, 창투사, 니켈, 줄기세포, 통신장비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원자력발전

벨기에, 22년 만에 탈원전 폐기 소식 등에 상승

AFP에 따르면, 벨기에 의회는 15일(현지시간) 새 원자로 건설을 허용하는 정부 원전 산업 부활 계획을 찬성 102표, 반대 8표, 기권 31표로 가결했음. 이는 22년 전의 '탈원전 공약' 폐기를 공식화한 것으로, 투표가 결은 이미 예견된 수순이었음.

'탈원전 유턴' 움직임은 벨기에 외 다른 유럽 각국에서도 잇따르고 있음.

세계 최초 탈원전 국가로 꼽히는 이탈리아도 지난 3월 원자력 기술의 사용을 허용하는 법안을 승인했으며, 재생 에너지를 강조하던 스페인도 지난 달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은 뒤 향후 10년간 원자력 발전소 7곳 을 폐쇄하려던 계획을 재고하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덴마크의 라르스 오고르 에너지·기후 장관도 전날 공개된 현지 매체와 인터뷰에서

차세대 원자력 기술이 갖는 잠재적인 이점을 분석할 것이라면서 '기조 변화'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음.

이 같은 소식 속 금일 비에이치아이, 우리기술, 한전산업, 한전기술, 일진파워, 두산에너빌리티,

우진, 한국전력, 보성파워텍, 한전KPS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마리화나(대마)

정부, 의료용 대마 급여 대상 기준완화 검토 소식 등에상승

전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의료용 대마 성분의 뇌전증 치료제 '에피디올렉스(Epidiolex)'에 대해 급여 기준 개편을 보고받고 검토에 착수한 상태라고 전해짐. 2가지 희소 난치성 뇌전증 질환으로 제 한했던 급여 대상 질환을 3가지로 늘리는 것은 물론, 기존 뇌전증 치료제를 일정 수 이상 써야만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었던 까다로운 요건 을 완화하는 게 골자임. 이에 시장에서는 정부가 의료용 대마와 관련해 기준 완화를 통해 급여 대상을 확대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향후 수혜 기대감이 높아지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메디콕스, 우리바이오, 오성첨단소재, 한국비엔씨 등 마리화나(대마) 테마가 상승.

알래스카 LNG 관련주

'LNG 개발' 알래스카 주정부, '에너지 콘퍼런스' 에 한국 초청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알래스카 주정부가 6월3∼5일(현지시간) 앵커리지 에서 열리는 '에너지 콘퍼런스'에 한국 정부 측을 초청한 것으로 알려짐. 이번 행사에서는 원전·재생에너지 등 최신 에너지 기술과 함께 액 화천연가스(LNG) 개발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으로, 한미 양국의 통상 협의 과정에서도 거론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공개될지 주목되고 있음.

다만, 현지시간 기준 행사일이 차기 대선일(6월3일)과 맞물린 탓에 통상·에너지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 원부는 참석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넥스틸, 원일티엔아이, 삼천리, 동양철관, 하이스틸, DSR제강, 율촌, SNT에너지 등 남-북-러 가스관사업/ 강관업체(Steel pipe)/ 철강 중소형/ LNG(액화천연가스) 테마가 상승.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美 세제 개편 수혜 기대감 및 대선 정책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국내 태양광관련주들이 국내외 긍정적 호재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는 美-中 갈등 여파로 반사이익이 예상되는 데다, 관련 산업 육성 방안이 대선 공약으로 제시되자 투자 심리가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특히, 중국 정부의 보조금 축소 방침이 한화솔루션 등 국내 기업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음.

이와 관련, 최근 美 하원 공화당 지도부가 공개한 세제 개편안 초안에 따르면, 중국 태양광 업체는 첨단제조세액공제(AMPC) 대상에서 배제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미국의 태양광 모듈 설비 52GW(기가와트) 가운데 중국이 지분을 보유한 설비가 40%(21GW) 에 달하는 만큼, 중국 외 국가 설비가 주목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또한, 신한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IRA 수 정법안 공개로 재생에너지 분야의 가장 큰 위험요소가 해소됐다며, 태양광과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BESS)은 안정적 수요가 예상되며 풍력과 수소는 일몰 전 투자가 집중될 것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HD현대에너지솔루션, 대명에너지, 수산인더스트리 등 태양광에너 지와 씨에스윈드 등 풍력에너지, 두산퓨얼셀 등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K-푸드 수요 확대에 따른 수출 호조세 지속 분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대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서구권에서 K-푸드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며 가공식품 수출 호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4월 누적 가공식품 수출액은 YoY 10% 증가한 26.8억 달러로, 주요 지역별로는 미국 6.3 억달러(YoY 29%), 중국 4.0억달러(YoY 4%), ASEAN 5.0억달러(YoY 2%), 유럽 2.9억달러(YoY 6%)를 기록했다고 언급.

특히, 4월 라면 수출액은 1.3억달러(YoY 25%, MoM 17%)로 월 최대치를 갱신했다며, 7월부터 삼양식품의 밀양2공장 가동 예정으로 미국과 중국에서 높은 성장세와 유럽/호주 등 신규 시장에서도 수요 확대가 지속되면서 신공장 가동 이후 해외 모멘텀은 강화될 것으로 전망. 또한, 농심도 신제품 신라면 툼바를 필두로 해외 확장을 가속화하며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 한국 라면 수출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라면 외 다양한 품목에서의 성장도 긍정적이라며, 소스류, 아이스크림, 과일소주, 김, 음료 수출은 YTD YoY 9%, 11%, 10%, 17%, 8% 증가했다고 설명.

이에 금일 삼양식품, 엠에스씨, 농심, 노바렉스, 푸드웰, 현대그린푸드 등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시멘트/레미콘

1분기 시멘트 출하량, 1998년 이후 최저치 기록 등에 하락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1분기 시멘트 출하량은 812만톤(t)으로 전년동기대비 21.8% 감소. 1분기 출하량으로는 1998년 이후 가장 작은 규모임. 1분기 출하량이 1,000만t을 하회한 것은 1998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때가 유일하며, 1분기 출하량 감소율이 20%대를 기록한 것 또한 1998년 1분기(23.1% 감소) 이후 처음임. 이러한 시멘트 수요 감소는 건설경기 침체 영향이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한일시멘트, 모헨즈, 보광산업, 한일현대시멘트, 삼표시멘트 등 시멘트/레미콘 테마가 하락.

2차전지 등

업황 악화 및 美 세제 혜택 축소 우려 지속 등에 하락

2차전지 관련주들이 연이은 적자 행진에 자금 압박이 커지면서 생존을 위한 자본금 확충에 나서는 등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지속 악화되고 있음. 여기에 최근 미국에서 세제 혜택 축소 움직임까지 나오면서 관련주들의 약세가 이어지고 있음. 특히, 2차전지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의 주가는 2022년 상장 당시 공 모가였던 30만원을 하회하며 약세를이어가는 모습. 이날 LG에너지솔루션(-5.37%)은 290,500원에서 KRX 정규장 거래를 마감.

지난 12일(현지시간) 美 하원 공화당 의원들은 전기차 관련 세액공제를 내년 말까지 순차적으로 종료하고, 첨단 제조 생산공제(AMPC)를 2031년까지 단 계적으로 폐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법안을 제출. 법안에 따르면, 중고차 및 상업용 전기차에 대한 세액공제는 각각 올해 말 종료되고 신 규 전기차 구매 시 적용되는7,500달러 세액공제는 내년 말까지 적용될 예정임. 이는 당초 2032년까지였던 지원 기간이 6년 빨리 종료되는 것으로 이와 함께 AMPC도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

이 같은 소식에 금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피아이이, 에코프로머티, 대주전자재료, 나노신소재, 코스모신소재, 필옵틱스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등 테마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메디콕스 (+29.71%)

정부 의료용 대마 급여 대상 기준 완화

검토 소식 등에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한세엠케이 (+29.98%)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한가

마이크로컨텍솔 (+29.95%)

1분기 호실적에 상한가

비츠로시스 (+29.72%)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상한가

원일티엔아이 (+26.58%)

수소차(연료전지 부품 충전소 등) 테마 상승 및

LNG 개발 알래스카 주정부 에너지 콘퍼런스에

한국 초청 소식 등에 LNG(액화천연가스)

테마 상승 속 급등

오가노이드사이언스 (+21.14%)

美 FDA 동물실험 축소 로드맵 발표에 따른

오가노이드 기술 보유 업체로

반사 수혜 기대감 부각에 급등

센코 (+19.22%)

美 법인 토탈 세이프티와

제품 판매 계약 소식에 급등

삼양식품 (+19.07%)

일부 음식료업 종 테마 상승 속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및 하반기 추가

실적 상승 기대감 등에 급등

비에이치아이 (+18.50%)

원자력 발전 테마 상승 속

1분기 영업이익 서프라이즈 분석 등에 급등

HD현대에너지솔루션 (+15.24%)

美 세제 개편 수혜 기대감 및 대선 정책 모멘텀

지속 등에 태양광 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서호전기 (+15.09%)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에 급등

엠에스씨 (+14.43%)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삼양식품 대상 하바네로 시즈닝 납품 부각에 급등

미코 (+14.23%)

수소차(연료전지 부품 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1분기 호실적에 급등

더바이오메드 (+13.94%)

1분기 적자폭 축소 싸이토젠 지놈케어와

치주질환 조기 진단 플랫폼 공동 개발

MOU 체결 소식 등에 급등

한국피아이엠 (+13.40%)

美 T사에 스마트링 부품 공급 개시 소식 등에 급등

우리기술 (+13.12%)

풍력 에너지 테마 상승 및 벨기에 22년 만에

탈원전 폐기 소식 등에 원자력 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한전산업 (+12.42%)

벨기에 22년 만에 탈원전 폐기 소식 등에

원자력 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스코넥 (+11.78%)

수소차(연료전지 부품 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1분기 호실적에 급등

한미반도체 (+11.72%)

세미콘 동남아시아 전시회 첫 참가 속

HBM 생산용 TC 본더 소개 예정 소식에 급등

대명에너지 (+11.38%)

태양광에너지 풍력 에너지 테마 상승 속

1분기 호실적 및 올해 실적 확대 기대감 등에 급등

흥국화재 (+11.27%)

1분기 호실적에 급등

리드코프 (+11.20%)

이재명 김문수 대선후보 제4인터넷전문은행 추진

기대감 지속 속 소소뱅크 유력 후보 거론 소식에

소소뱅크 컨소시엄 참여 업체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코어라인소프트 (+11.13%)

프랑스 국가 공공조달기관 UGAP에

자체 AI진단 제품 공식 등록 소식에 급등

상상인 (+10.99%)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 속 급등

성창오토텍 (+10.48%)

수소차(연료전지 부품 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에 급등

에브리봇 (+10.48%)

SK와 AI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공동 개발 진행 중인 점 재부각에 급등

대원산업 (+10.31%)

1분기 호실적에 급등

대양전기공업 (+10.22%)

1분기 실적 호조 및 센서 사업

해외 고객 추가 다수 확보 가능성 등에 급등

원익피앤이 (+10.11%)

1분기 흑자 전환 모멘텀 지속에 급등

인벤티지랩 (+9.66%)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속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경구용 비만 약 등 비만 치료제

파이프라인 다각화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앤디포스 (+9.56%)

1분기 흑자 전환에 급등

농심 (+9.40%)

일부 음식료업 종 테마 상승 속

2분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수산인더스트리 (+9.37%)

태양광 에너지 및 원자력 발전 테마

상승 속 1분기 호실적에 급등

율촌 (+9.32%)

LNG 개발 알래스카 주정부 에너지 콘퍼런스에

한국 초청 소식 등에 강관 업체(Steel pipe)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코나아이 (+9.15%)

지역 화폐 테마 상승 속 급등

비비씨 (+9.07%)

1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에 급등

5.16 (금)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킵스파마 +6,50%

기술수출 기대감으로 상승

엔젠바이오 +3,64%

최대주주 변경 및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오르비텍 +3,23%

1분기 순이익 14배 증가 재무구조 개선 기대

케이프 +2,89%

현금배당 결정 및 자사주 처분

엠에스씨 +2,02%

삼양식품 대상 하바네로 시즈닝 납품 부각

넥스트아이 +2,00%

일부 정치 인맥 테마 상승

오픈놀 +1,96%

일부 일자리 취업 테마 상승

리드코프 +1,91%

제4인터넷전문은행 추진 기대감으로 급등

DSC인베스트먼트 +1,83%

일부 일자리 취업 테마 상승

비비안 +1,77%

일부 정치 인맥 테마 상승

하락종목

윌비스 -1,27%

시간외 일부 일자리 취업 테마 하락

CSA 코스믹 -1,56%

1분기 적자지속에 정규장 6,50% 약세

에이텍모빌리티 -1,61%

시간외 일부 정치 인맥 이재명 테마 하락

아이티센글로벌 -1,67%

시간외 일부 STO 토큰증권 발행 테마 하락

덕산하이메탈 -1,78%

1분기 실적 부진에 정규장 9 03% 급락

상지건설 -1,88%

시간외 일부 정치 인맥 이재명 관련주 하락

장 마감 후 임원 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전자공시 협진 등 발행주식총수 증가에

따른 보유비율 변동 등

모니터랩 -2,03%

시간외 일부 보안주 정보 테마 하락

DGP -2,32%

장 마감 후 유상증자결정 정정

공시 신주의 상장 예정일 변경

형지글로벌 -2,42%

시간외 일부 정치 인맥 이재명 테마 하락

896 591주 추가상장 국내사모 CB전환 및 472,886주

추가상장 국내사모 BW행사 공시 속 정규장 17 43% 급락

파루 -2,54%

투자경고종목지정 및

1분기 실적 부진에 정규장 20 37% 급락

샌즈랩 -2,61%

시간외 일부 보안주 정보 테마 하락

더즌 -4,29%

장 마감 후 47 608,838주 추가상장 무상증자 공시

큐라클 -10,00%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7,000,000주

285 95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공시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9 (월) 장마감  (2) 2025.05.19
5.19 (월) 장마감 분석  (0) 2025.05.19
5.16 (금) 장마감 분석  (1) 2025.05.16
5.15 (목) 장마감  (1) 2025.05.15
5.15 (목) 장마감 분석  (0) 2025.05.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