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마감 분석

3.26 (수) 장마감

by 장주공 2025. 3. 26.
728x90
 

코스피 마감시황

3/26 KOSPI 2,643.94(+1.08%)

외국인/기관 순매수(+), 반도체·2차전지株 강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경기 둔화 우려에도

트럼프 관세 유연성 기대감 지속 등에 소폭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628.09(+12.28P, +0.47%)로 상승 출발.

장초반 2,630선을 넘어서기도 했던 지수는 이내 상승폭을 반납해 오전 중 2,618.05

(+2.24P, +0.09%)에서 저점을형성. 이후 점차 상승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2,649.15(+33.34P, +1.2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후반 일부 상승폭을 축소한 지수는 결국 2,643.94(+28.13P, +1.08%)로 장을 마감.

트럼프 관세 완화 기대감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코스피지수는 1% 넘게 상승,

3거래일만에 반등. 외국인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 기관은 2거래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6,800계약 넘게 순매수. 반면, 개인은 8거래일 연속 순매도.

특히,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 지속 등에 삼성전자(+2.68%), SK하이닉스(+2.88%)

등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범용 D램 가격은 전 분기 대비

0∼5% 하락에 그치고, HBM을 포함한 평균 D램 가격은 5세대 제품

'HBM3E 12단' 출하 증가에 힘입어 3∼8%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구광모 LG그룹 회장, "배터리 그룹 주력 사업으로 성장" 발언 및 CO2 규제 효과로

유럽 전기차(BEV/PHEV) 판매 견조 분석,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등에

LG에너지솔루션(+7.30%), LG화학(+4.82%), 삼성SDI(+3.22%) 등 2차전지 관련주도 강세.

구리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속 이구산업(+23.80%), 서원(+7.04%), 풍산(+6.61%) 등 비철금속,

대원전선(+4.05%), 대한전선(+2.84%) 등 전선 관련주도 상승.

현대모비스(+1.42%), 현대차(+0.91%), 기아(+0.60%) 등 자동차 대표주들의 상승세도 지속.

한편, 최근 상호관세 면제 가능성을 언급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전일(현지시간)

" 캐나다와 멕시코가 많은 진전을 이뤘다"며, 두 나라에 부과된 관세가 완화할 가능성을 내비쳤음.

'예외는 없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여왔던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발표 시기가 다가오자

잇따라 유연한 태도를 보이면서 관세 완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이 하락한 반면, 일본, 대만, 홍콩 등은 상승.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8원 상승한 1,466.3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508억, 2,603억 순매수, 개인은 6,797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6,836계약 순매수, 기관과 개인은 각각 4,308계약, 2,457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6bp 상승한 2.618%,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8bp 상승한 2.83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5틱 내린 106.74로마감. 외국인, 은행이 6,607계 약, 2,896계약 순매도, 금융투자, 투신은 8,385계약, 1,066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0틱내린 118.40으로 마감. 외국인, 은행이 5,941계약, 1,149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7,237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LG에너지솔루션(+7.30%), LG화학(+4.82%), SK하이닉스(+2.88%), 한화오션(+2.77%),

삼성전자(+2.68%), 한화에어로스페이스(+1.99%), 카카오(+1.66%), 현대모비스(+1.42%),

메리츠금융지주(+1.18%), 현대차(+0.91%), 기아(+0.60%), HD현대중공업(+0.35%),

삼성물산(+0.16%) 등이 상승.

반면, NAVER(-1.69%), 신한지주(-0.92%), 셀트리온(-0.32%), 삼성바이오로직스(-0.19%),

POSCO홀딩스(-0.16%), KB금융(-0.12%)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전기/전자(+3.00%), 의료/정밀기기(+1.69%), 제조(+1.69%), 화학(+1.43%), 증권(+0.93%), 운송장비/부품(+0.87%), 금속(+0.74%), 오락/문화(+0.59%), 비금속(+0.27%), 종이/목재(+0.23%) 업종 등이 상승. 반면, 기계/장비(-1.90%), 보험(-1.63%), 음식료/담배(-1.06%), 섬유/의류(-0.46%), 통신(-0.45%), 일반서비스(-0.44%), 제약(-0.44%)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643.94P(+28.13P/+1.08%)

코스닥 마감시황

3/26 KOSDAQ 716.48(+0.73%)

외국인/기관 순매수(+), 개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 유연성 기대감 지속 등에 소폭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14.36(+3.10P, +0.44%)으로 상승 출발. 이내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705.38(-5.88P, -0.83%)까지 밀려나며 장중 저점을 형성. 오전 중 재차 반등에 성공했고, 점차 상승폭을 키워 오후 장중 717.30(+6.04P, +0.85%)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후반 716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결국 716.48(+5.22P, +0.73%)로 장을 마감.

美 관세 완화 기대감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코스닥지수는 하루만에 반등.

외국인은 2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반면, 개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에코프로비엠(+3.63%), 에코프로(+1.87%), 엔켐(+2.31%) 등 2차전지,

HPSP(+2.40%), 이오테크닉스(+4.70%), 주성엔지니어링(+2.36%) 등 반도체 테마가 상승.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동신건설(+30.00%), 형지I&C(+30.00%), 오리엔트정공(+29.99%), 에이텍(+29.90%) 등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들이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 과 기관이 각각 640억, 668억 순매수, 개인은 1,310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파마리서치(+5.63%), 에코프로비엠(+3.63%), 코오롱티슈진(+2.58%), HPSP(+2.40%),

주성엔지니어링(+2.36%), 에코프로(+1.87%), 레인보우로보틱스(+1.11%), 에스엠(+1.06%),

리노공업(+0.50%), JYP Ent.(+0.32%), 클래시스(+0.17%) 등이 상승.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기타제조(+3.66%), 건설(+3.50%), IT 서비스(+1.83%), 전기/전자(+1.20%), 금융(+1.17%), 종이/목재(+1.11%), 기계/장비(+1.11%), 출판/매체복제(+1.10%), 화학(+1.06%), 운송장비/부품(+0.89%), 유통(+0.87%), 섬유/의류(+0.80%), 의료/정밀기기(+0.78%), 제조(+0.76%), 금속(+0.47%) 업종 등이 상승. 반 면, 통신(-1.20%), 운송/창고(-0.77%), 비금속(-0.40%), 일반서비스(-0.28%), 오락/문화(-0.27%)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16.48P(+5.22P/+0.73%)

테마시황

상승테마

구광모 LG그룹 회장, "배터리 그룹 주력 사업으로 성장" 발언 및 CO2 규제 효과로 유럽 전기차(BEV/PHEV) 판매 견조 분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등 테마 상승.

2분기 D램 가격 바닥 탈출 전망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반도체 관련주 상승.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석유화학 테마 상승.

MS, 한국과 AI 협력 확대 및 코난테크놀로지, 이달 LLM 추론모델 통합 출시

예정 소식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산림청, 전국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발령, 영남권 산불 대규모 확산 소식 등에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공기청정기/ 조림사업 테마 상승.

구리 선물 가격 사상 최고치, 구리 현물 가격 1만 달러 재돌파 소식 등에 비철금속/ 전선 테마 상승.

국내외 정치 불확실성 속 방어주 역할 지속 전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현대차그룹, 2028년까지 총 31조원 규모 美 투자 집행 발표 모멘텀 지속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게임스탑, 비트코인 매입 계획 발표 및 비트코인 가격 일부 회복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테마 상승.

1월 출생아 수 3년만에 최대치 달성 소식 속 출산장려정책 테마 상승.

이 외 제4이동통신, 그래핀, 희귀금속(희토류 등), 건설 중소형, 제습기, RFID(NFC 등), 핀테크(Fintech), 폴더블폰,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삼성페이, IT 대표주, 테마파크, 메타버스(Metaverse),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탄소나노튜브(CNT), 일자리(취업)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김동연, 우원식 등) 테마 하락.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 90% 육박 소식 등에 손해보험 테마 하락.

이 외 캐릭터상품, 밥솥, 줄기세포, 남-북-러 가스관사업, 비료, 영상콘텐츠, 마리화나(대마), 렌터카, 은행, LNG(액화천연가스), 3D 프린터, 엔젤산업,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골판지 제조, 게임, 면역항암제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2차전지/ 전기차

구광모 LG그룹 회장, "배터리 그룹 주력 사업으로 성장" 발언 및 CO2 규제 효과로 유럽 전기차(BEV/PHEV) 판매 견조 분석 등에 상승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금일 주주총회에서 "주력사업의 시장지배력을 보다 확고히 할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바이오(Bio), 클린 테크(Clean Tech)등 미래분야에서 차별적가치를 창출하며,

사업 포트폴리오의 미래 성장 기반을 견고히 다지겠다"고 밝힘.

이어 "시장과 기술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차세 대 배터리, 공정기술 등에서의 혁신 방안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언급했음.

특히, 배터리 산업에 대해선 반드시 성장시키겠다며 강한 의지를 드러냈음.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CO2 규제 효과로 유럽 전기차(BEV/PHEV) 판매가 예상보다 양호하다고 밝힘. 견조 한유럽 판매 덕에 1Q25 재고조정은 순조롭게 마무리되고 2Q25 재고축적 국면으로 넘어가게 될 예정이며, 이 과정에서 유럽 비중이 높은 업체들의 실적 개선세가 돋보일 것으로 전망. 특히, LG에너지솔루션 2Q25 매출액은 7분기 만에 전년동기대비 플러스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힘.

美 주요 전기차 관련주들이 상승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지난밤 테슬라(+3.50%)가

파이퍼샌들러의 브랜드 이미지손상 과도 분석 등에 상승했으며, 리비안도 1.39% 상승 마감했음.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언론을 통해 글로벌 에너지 관리 업체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주택용 ESS 배터리를 공급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힘.

LG에너지솔루션은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손잡고 미국 주택용 에너지 저장 장치(ESS)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임.

이 같은 소식에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나라엠앤디, 성우,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디아이티, 모티브링크, 하이젠알앤엠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삼성SDI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 업무를 총괄하는 조직을 신설했다는 소식도 전해짐.

반도체 관련주

2분기 D램 가격 바닥 탈출 전망 등에 상승

최근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해 2분기 범용 D램 가격은 전 분기 대비 0∼5% 하락에 그치고, HBM을 포함한 평균 D램 가격은

5세대 제품 'HBM3E 12단' 출하 증가에 힘입어 3∼8% 상승할 것으로 관측됐음.

트렌드포스는 "미국의 잠재적인 관세 인상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PC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업체들이, 제조업자 개발 생산(ODM)업체에 생산량 증대를 요청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D램 재고 고갈이 가속하고 있다"고 분석.

최근 모건스탠리는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업황이 장기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바 있음. 모건스탠리는 낸드플래시 가격이감산

효과로 반등하고 있는 점, D램 현물 가격 역시 중국 의 인공지능(AI) 설비 투자와 관세 전

구매 수요 등으로 오르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

한편, 지난해 국내 반도체 기업 영업익 급증 덕에 500대 기업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66% 늘어난 것으로 전해짐.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4년 지정 500대 기업 중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상장사 253곳을 대상으로 지난해 연간 실적을 조사 한 결과, 전체매출액은 2,523조908억원으로 2023년(2,384조262억원) 대비 5.8% 증가했음. 이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호조인 가운데 SK하이 닉스·삼성전자 등 K-반도체가 호실적을 거둔 덕분으로 분석. 특히, AI(인공지능) 메모리 부문에서 선방한 SK하이닉스의 영업익이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삼성전자는 두 번째로 영업익 증가 폭이 큰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브이엠, 아이엠티, 케이씨텍, 네패스,

디아이티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석유화학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신영증권은 석유화학 업종에 대해 비중확대(Overweight) 의견을 제시.

석유에서 가스로 헤게모니가 전환되는 과정에서 한국 NCC 업체들은 살아 남아

다음 사이클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기 때문이며,

非OPEC 국가들 중심으로 석유 공급이 확대되는 가운데, 이미 OPEC 은 에너지 패권을

잃은지 오래라고 분석. 아울러 점점 더 낮아지는 석유 생산 원가는 유가의 구조적인 하락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으로 아시아 역내 최악의 원가 구조를 탈피하며

가동률이 상향되는 과정에서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지난 3년간 지속된 러-우 전쟁으로 촉발된 고유가, 중국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둔화,

막대한 신증설에 따른 과잉 공급의 삼중고는 지났으며, 더 이상의 업황 둔화 가능성은 제한적이고,

한국 석유화학 회복사이클은 종전과 함께 본격적 으로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이와 관련, 대한유화, 금호석유, 티케이케미칼, 태광산업, LG화학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MS, 한국과 AI 협력 확대 및 코난테크놀로지, 이달 LLM 추론모델 통합 출시 예정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가 한국의 인공지능 트랜스포메이션(AI 전환) 가속화를 위한 전방위적 협력에 나설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마이크로소프트는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Microsoft AI Tour in Seoul)'에서 MS365 코파일럿(Microsoft 365 Copilot)에 추론(Reasoning) 모델을 적용한 두 가지 AI 에이전트를 전 세계 최초로 공개했음. 해당 AI 에이전트는 오는 4월부터 MS365 코 파일럿 라이선스 고객 대상으로 '프런티어(Frontier)' 프로그램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될 예정.

특히, 사티아 나델라 MS CEO 겸 이사회 의장은 이번 행사에서 비즈니스 리더들과 만나 AI 발전 방향과 산업별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고 국내 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한 기술 협력과 지원 확대를 약속했음. 조원우 한국MS 대표는 “한국의 국제적 산업 경쟁력과 창의성은 AI 중심의 글로벌 비즈니스 생태계에서도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하 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며, “오늘 발표된 사례들은 산업별 AI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져오는 혁신과 성과를 보여준다”고 강조했음.

아울러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업 코난테크놀로지스는 언론을 통해 추론 모드가 통합된 신규

거대언어모델(LLM) '엔터프라이즈(ENT)-11'을 이달 출시한다고 밝힘.

해당 모델은 매개변수(파라미터)가 320억개로 중국 딥시크의 LLM 'R1'(6천710억개) 대비

약 5% 수준이지만, 성능 지표인 MT-벤치(Bench)의 작문·역할극·추론·수학 등 8개 항목에서

대등한 점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 특히, 코딩 성능 은 매개변수가 동일한 딥시크 모델과 비교해 평균 4.75%포인트 높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김영섬 코난테크놀로지스 대표는 "딥시크 R1 대비 20배나 작은 모델이지만 더 나은 추론 성능을 입증한 만큼, 고품질의 한국어 데이터와 개발 인프라를 강점으로 코난테크놀로지가 만든 LLM 기술이 국내 생성형 AI 성능의 바로미터가 될 수있도록 매진하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코난테크놀로지, 이수페타시스, 솔트룩스, 폴라리스오피스, 폴라리스AI 등

AI 챗봇(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공기청정기/ 조림사업

산림청, 전국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발령, 영남 권 산불 대규모 확산 소식 등에 상승

지난 21일과 22일 경남 산청, 경북 의성과 울산 울주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으로 대규모로 확산되고 있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울산·경북·경남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이날 오전 9시 기준 경북 14명, 경남 4명 등 총 18명의 사망자가발생. 중상자는 경북 1명, 경남 5명 등 6명이며, 경북 6명, 경남 5명, 울산 2명 등 13명은 경상을 입었음. 아울러 산림 당국에 따르면, 이날낮 12시 51분께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한 야 산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벌이던 헬기 1대가 추락했으며, 사고 헬기를 몰던 기장 A(73)씨가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음. 산불의 대규모 확산으로 산림청은 전일 오후 4시를 기해 전국 모든 지역에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위닉스, 크린앤사이언스, 한국종합기술, 파라텍, 자연과환경, 이건산업 등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조림사업, 공기청정기 등의 테마가 상승.

비철금속/ 전선

구리 선물 가격 사상 최고치, 구리 현물 가격 1만 달러 재돌파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5월 인도분 구리 선물 가격은 파운드당 5.2105달러를 기록하 며, 지난해 5월 기록한 사상 최고가(5.20달러)를 돌파했음. 또한, 2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는 구리 현물 가격이 전거래 일보다 1.77% 상승한 톤(t)당 1만91.54달러를 기록하며, 지난 19일 장중 1만 달러를 넘어선 후 약 일주일 만에 재돌파했음.연초(8691.69달러)와 비교하면 16.11% 상승한 수치임.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 강화로,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미 상무부에

"수입 구리가 국가 안보에 미칠 영향을 조사하라"고 지시한 바 있음.

또한, 미국이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구리에도 25%의 관세를 부과 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글로벌 원자재 기업들이 미국에 먼저 구리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상품거래 업체 머큐리아와 트라피구라, 헤 지펀드 프런티어 커머더티스 등은 이러한 구리 가격 급등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특히, 머큐리아는 구리 가격이 1톤당 1만2,000~1만3,00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이구산업, 대창, 서원, 풍산, 풍산홀딩스 등 비철금속 테마가 상승.

아울러 구리 가격 상승에 따른 제품 가 격 반영 기대감 속

대원전선, KBI메탈, 대한전선 등 전선 테마도 상승.

증권

국내외 정치 불확실성 속 방어주 역할 지속 전망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연초부터 국내외 정치 불확실성으로 시장 변동성이 높으나

증권주는 방어주로서의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거래시장 내 주요 이벤트인 대체거래소 출범,

공매도 재개, 해외주식시장 열풍 등 단기로는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 확대, 중장기로는 거래대금 증가에 따른 증권사 브로커리지 수익 기여가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키움증권은 국내주식 KRX·NXT, 해외주식 시장에서 모두 M/S 1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해외주식 경쟁사례를 참고하여 초반부터 고객유치 위한 서비스가 수반된다면 현 지위 유지가

가능할 전망이라고 분석. 또한, 미래에셋증권은 국내·해외주식, 글로벌시장 상위브로커 입지를

다지는 중이라며, 최근 영업력 뿐만 아니라 기투자자산 가치가 부각돼 주가가 빠르게 반등하였는데

중장기 실적개선 가능성 고 려하면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교보증권, 현대차증권, 한국금융지주,

LS증권 등 증권 테마가 상승.

정치/인맥(이재명)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상승

이날 진행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항소심)에서 재판부가 검찰의 공소에 대해 모두 허위사실 공표로 인정하지 않 는다고 판단했음. 이와 관련, 서울고법 형사6-2부(최은정 이예슬 정재오 부장판사)는 이날 오후 2시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 2심 재판에서 "(이 대표의) 백현동 발언은 전체적으로 의견 표명에 해당해 허위사실 공표로 처벌할 수 없다"고 밝힘. 이에 재판부는 이 재명 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위반 혐의를 '무죄' 판결했음.

해당 발언은 2021년10월20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2021년도 국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백현동 개발사업 경위를 묻는 질의에 이 대표가 ‘국토부로부터 부지 용도 변경 압박을 받았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이에 대해 지난해 11월 1심 재판부는 해당 발언을 허위 사실로 판단하고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동신건설, 에이텍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상승. 반면, 뱅크웨어글로벌, 코오롱모빌리티그룹 등 정치/인맥(우원식) 및 SG글로벌, 코메론 등 정치/인맥(김동연) 테마는 하락.

당일 상승종목

형지I&C (+30.00%)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

(이재명) 테마 상승 속 상한가

동신건설 (+30.00%)

정치/인맥(이재명) 및

조림사업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오리엔트정공 (+29.99%)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이스타코 (+29.98%)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디젠스 (+29.97%)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노바텍 (+29.96%)

한국재료연구원, 비희토류 기반 영구자석

기술 세계 최고 수준 달성 속 동사에

기술이전 진행 소식에 상한가

오리엔트바이오 (+29.95%)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위세아이텍 (+29.94%)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및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에이텍 (+29.90%)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일성건설 (+29.86%)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형지엘리트 (+29.76%)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에이텍모빌리티 (+29.64%)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수산아이앤티 (+29.58%)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코나아이 (+28.99%)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KD (+27.40%)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코이즈 (+25.86%)

정치/인맥(이재명) 및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토탈소프트 (+25.50%)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웹케시 (+25.29%)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CS (+24.38%)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카스 (+24.27%)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이구산업 (+23.80%)

구리 선물 가격 사상 최고치, 구리 현물 가격

1만 달러 재돌파 소식 등에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동원금속 (+23.20%)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주성코퍼레이션 (+21.77%)

상장유지 결정으로 인한 거래재개 첫날 급등

코난테크놀로지 (+21.53%)

AI 챗봇(챗GPT 등)/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추론 LLM '엔터프라이즈(ENT)-11'

이달 출시 소식에 급등

나라엠앤디 (+18.89%)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및 LG에너지솔루션,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美 주택용 ESS 파트너십 체결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전기자동차 Battery Pack/ESS사출금형과

자동차용 소형정밀 금형 생산 사실 부각에 급등

모티브링크 (+15.95%)

전기차 테마 상승 속 현대차·기아 등 현대차그룹의

단순 부품 공급사에서 독보적인 핵심 파트너사

지위 확보 기대감 등에 급등

프럼파스트 (+15.55%)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이재명 대통령실 세종 이전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아이앤씨 (+15.49%)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캐리 (+13.11%)

구광모 LG그룹 회장, "배터리 그룹 주력 사업으로

성장" 발언 및 LG에너지솔루션,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美 주택용 ESS 파트너십 체결 소식 등에 전력저장장치(ESS)/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 상승 속 급등

한국종합기술 (+12.97%)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테마 및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프리엠스 (+12.27%)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

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속 급등

브이엠 (+11.40%)

2분기 D램 가격 바닥 탈출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자연과환경 (+11.19%)

산림청, 전국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발령,

영남권 산불 대규모 확산 소식 등에 조림사업

테마 상승 속 급등

위닉스 (+10.92%)

산림청, 전국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발령,

영남권 산불 대규모 확산 소식 등에

공기청정기 테마 상승 속 급등

지니언스 (+10.90%)

모건스탠리, 동사 지분 5%이상 취득 소식에 급등

나우IB (+10.90%)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이수페타시스 (+10.09%)

MS, 한국과 AI 협력확대 및 코난테크놀로지,

이달 LLM 추론모델 통합 출시 예정 소식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서린바이오 (+9.83%)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슈프리마에이치큐 (+9.66%)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 상승

씨씨에스 (+9.62%)

경영권 분쟁 소송 속 급등

하이젠알앤엠 (+9.58%)

구광모 LG그룹 회장, "배터리 그룹 주력

사업으로 성장" 발언 및 CO2 규제 효과로

유럽전기차(BEV/PHEV) 판매 견조 분석 등에

전기차 테마 상승 속 급등

유라테크 (+9.03%)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서

허위 사실 공표로 처벌 불가 판단 등에

이재명 대통령실 세종 이전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3.26 (화) 시간외 상승률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까스텔바작 (+10.00%)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패션형지그룹,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iMBC (+9.12%)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미디어(방송/신문) 테마 상승

슈프리마에이치큐 (+5.97%)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프리엠스 (+5.93%)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서린바이오 (+5.59%)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캐리소프트 (+5.45%)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출산장려정책 테마 상승

프럼파스트 (+5.45%)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동원금속 (+5.33%)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온코닉테라퓨틱스 (+5.09%)

항암신약 후보물질 '네수파립',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승인 및 파트너사인

Livzon Pharmaceutical Group Inc. 대상 Zastaprazan

(자큐보정)의 생산기술이전 완료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기술료 청구 모멘텀 지속

메디앙스 (+4.84%)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출산장려정책 테마 상승

CS (+4.49%)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아이앤씨 (+4.46%)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카스 (+4.45%)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꿈비 (+4.19%)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출산장려정책 테마 상승

한국종합기술 (+4.17%)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주성코퍼레이션 (+3.95%)

상장유지 결정으로 인한

거래재개 첫날 정규장 21.77% 급등

플랜티넷 (+3.75%)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인터지스 (+3.66%)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토탈소프트 (+3.56%)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제일약품 (+3.29%)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 항암신약 후보물질

'네수파립',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승인 및

파트너사인 Livzon Pharmaceutical Group Inc. 대상

Zastaprazan(자큐보정)의 생산기술이전 완료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기술료 청구 모멘텀 지속

코이즈 (+3.26%)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YTN (+3.22%)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미디어(방송/신문) 테마 상승

원티드랩 (+3.15%)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일자리(취업) 테마 상승

자연과환경 (+3.14%)

산림청, 전국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발령,

영남권 산불 대규모 확산 소식 등에

조림사업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1.19% 급등

디엔에이링크 (+3.12%)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주성씨앤에어 외 4인으로 변경 공시.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박진수(등기임원,이사회의장법인

최대주주의 대표이사) 대상으로 810,373주(5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6,170원, 상장예정:2025-08-20) 공시

모티브링크 (+3.06%)

전기차 테마 상승 속 현대차·기아 등 현대차그룹의

단순 부품 공급사에서 독보적인 핵심 파트너사

지위 확보 기대감 등에 정규장 15.95% 급등

삼보모터스 (+2.91%)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유라클 (+2.59%)

LG '엑사원'과 AI 사업 협력을 위한 MOU 체결 모멘텀 지속

신라에스지 (+2.58%)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지엘팜텍 (+2.55%)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씨씨에스 (+2.29%)

경영권 분쟁 소송 속 정규장 9.62% 급등

제로투세븐 (+2.20%)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출산장려정책 테마 상승

부산산업 (+2.13%)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남북경협 관련주 상승

비비안 (+2.13%)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인디에프 (+2.07%)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남북경협 테마 상승

KD (+2.04%)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부각

하락종목

NE능률 (-1.58%)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윤석열) 테마 하락

한국정밀기계 (-1.67%)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우원식) 테마 하락

쓰리에이로직스 (-2.02%)

장 마감 후 112,000주(발행주식총수

대비 1.19%) 규모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공시

남선알미늄 (-2.59%)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이낙연) 테마 하락

스타코링크 (-2.98%)

장 마감 후 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

정정공시(납입일 변경, 감자완료에 따른 정정 등)

국영지앤엠 (-3.45%)

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 선고 속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김경수, 이낙연) 테마 하락

STX엔진 (-9.91%)

장 마감 후 총 17,139,159주(발행주식총수 대비 61.97%)

규모 전환청구권·신주인수권·교환청구권 행사 공시

728x90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7 (목) 장마감  (2) 2025.03.27
3.27 (목) 장마감 분석  (0) 2025.03.27
3.26 (수) 장마감 분석  (0) 2025.03.26
3.25 (화) 장마감  (0) 2025.03.26
3.25 (화) 장마감 분석  (0) 2025.03.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