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마감시황
1/17 KOSPI 2,523.55(-0.16%)
트럼프 취임 경계감 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개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소매판매 등 주요 경제지표 소화 속 기술주 부진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520.85(-6.64P, -0.26%)로 하락 출발.
장초반 2,528.48(+0.99P, +0.0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며 낙폭을 확대하는 모습.
오전 중 2,513.84(-13.65P, -0.5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일부 낙폭을 만회해
2,520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임. 오후 장중 2,525 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지만,
낙폭을 다소 키워 결국 2,523.55(-3.94P, -0.16%)로 장을 마감.
다음주 美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경계감이 커진 가운데 코스피지수는 소폭 하락.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하루만에 순매도 전환. 특히,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1,600계약 넘게 순매도.
다만,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의 비둘기파적 발언 등에
美 채권금리가 하락한 가운데, 개인이 하루만에 순매수로 돌아서며 낙폭은 제한적인 모습.
삼성바이오로직스(-2.59%), 셀트리온(-1.10%) 등 제약/바이오,
KB금융(-1.99%), 신한지주(-1.69%) 등 은행,
현대차(-3.42%), 기아(-1.84%) 등 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0.43%), 포스코퓨처엠(-1.32%) 등 2차전지, HD현대미포(-2.80%),
한화오션(-1.55%) 등 조선,
한화에어로스페이스(-2.92%), LIG넥스원(-3.40%) 등 방위산업 관련주가 하락.
반면, 한국전력(+2.47%), 두산에너빌리티(+4.57%) 등 원자력발전,
대한항공(+4.13%), 진에어(+2.64%) 등 항공,
LS에코에너지(+29.92%), LS ELECTRIC(+15.05%) 등 LS 그룹주들을 비롯한
전력설비/전선주들이 강세.
삼성전자(-1.10%), SK하이닉스(+2.14%) 등 반도체 대표주는 등락이 엇갈림.
다음주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인의 취임을 앞둔 가운데, 경계 심리가 짙어지는 모습.
트럼프당선인은 취임 첫날부터 100건에 달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특히, 트럼프 당선인이 지속해 언급해 오던 관세 관련 정책이 예상보다 강하다면
국내 증시 전반에 투자 심리가 악화될 것이란 우려가 부각.
한편, 최근 美 물가 지표가 둔화된 모습을 보인 가운데,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가
비둘기파적 발언을 내놓으면서 美 국채금리는 연일 하락.
월러 이사는 전일(현지시간) CNBC와 인터뷰에서 CPI 보고서처럼 우호적인 인플레이션
여건이 지속하면 상반기에도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으며,
3월 금리 인하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않는다고 언급. 이어 Fed 위원들의 중립 금리 추정치를
감안하면 올해 3~4차례 금리 인하도 가능하다면서
이 같은 결정이 온전히 지표에 달렸다고도 강조했음.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이 하락한 반면, 중국, 대만, 홍콩은 상승하는 등 대부분 상승.
이날 오후 3 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8원 상승한 1,458.3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371억, 1,016억 순매도, 개인은 2,894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626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775계약, 772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3.8bp 하락한 2.588%,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1bp 상승한 2.81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5틱 오른 106.85로 마감. 외국인이 16,778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은행은 7,490계약, 6,017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1틱 오른 117.82로 마감.
외국인, 은행이 2,554계약, 1,627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4,700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 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현대차(-3.42%), 한화에어로스페이스(-2.92%), 삼성바이오로직스(-2.59%),
KB금융(-1.99%), 기아(-1.84%), 신한지주(-1.69%), 삼성물산(-1.25%),
삼성전자(-1.10%), 셀트리온(-1.10%), HD현대중공업(-0.80%), POSCO홀딩스(-0.76%),
LG에너지솔루션(-0.43%), 삼성생명(-0.22%) 등이 하락.
반면, 고려아연(+2.82%), SK하이닉스(+2.14%), NAVER(+1.21%),
SK이노베이션(+0.94%), 메리츠금융지주(+0.54%) 등은 상승. 현대모비스는 보합.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제약(-1.89%), 운송장비/부품(-1.46%), 보험(-0.76%), 건설(-0.60%), 금융(-0.36%), 유통(-0.35%), 비금속(-0.33%), 제조(-0.24%), 부동산(-0.23%), 음식료/담배(-0.22%), 운송/창고(-0.18%) 업종 등이 하락. 반면, 기계/장비(+2.46%), 의료/정밀기기(+2.40%), 전기/가스(+2.04%), 통신(+1.27%), 일반서비스(+0.98%), 화학(+0.87%), 오락/문화(+0.54%), 종이/ 목재(+0.53%), 섬유/의류(+0.51%), 금속(+0.48%), IT 서비스(+0.41%)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523.55P(-3.94P/-0.16%)
코스닥 마감시황
1/17 KOSDAQ 724.69(+0.06%)
개인/기관 순매수(+), 트럼프 취임 경계감 속 외국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차익실현 매물 속 기술주 부진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3.05(-1.19P, -0.16%)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반등에 성공한지수는 725.54(+1.30P, +0.1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재차 하락 전환. 오전 중 722.28(-1.96P, -0.2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했고, 낙폭을 만회해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 하락세로 방향을 잡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장 막판 반등에 성공해 결국 724.69(+0.45P, +0.06%)로 장을 마감.
개인/기관 순매수 속 코스닥지수는 강보합 마감.
다만, 트럼프 취임 경계감 속 외국인이 순매도하며 상승폭은제한된 모습.
개인은 하루만에 순매수,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은 하루만에 순매도
.
HPSP(+10.78%), 리노공업(+6.04%),테크윙(+6.04%), 파크시스템스(+2.55%)
등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
반면, 알테오젠(-1.44%), HLB(-1.39%), 삼천당제약(-1.57%),
펩트론(-3.20%)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는 약세.
수급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635억, 272억 순매수, 외국인은 764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HPSP(+10.78%), 리노공업(+6.04%), 레인보우로보틱스(+4.81%), 코오롱티슈진(+2.35%), 파마리서치(+2.13%), 리가켐바이오(+1.33%), JYP Ent.(+1.19%), 클래시스(+1.16%), 이오테크닉스(+0.44%) 등이 상승. 반면, 펩트론(-3.20%), 휴젤(-2.13%), 셀트리온제약(-1.62%), 삼천당제약(-1.57%), 알테오젠(-1.44%), 에코프로(-1.42%), HLB(-1.39%), 에코프로비엠(-0.91%), 신성델타테크(-0.90%), 엔켐(-0.73%) 등은 하락. 실리콘투는 보합.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다소 우세. 기계/장비(+2.51%), 비금속(+1.77%), 운송/창고(+0.96%), 건설(+0.77%), 기타제조(+0.75%), 전기/전자(+0.54%), 화학(+0.50%), 금속(+0.48%), 오락/문화(+0.38%), 제조(+0.36%), 음식료/담배(+0.20%)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출판/매체복제(-1.63%), 제약(-1.43%), 섬유/의류(-1.38%), IT 서비스(-1.02%), 종이/목재(-0.87%), 일반서비스(-0.61%), 금융(-0.43%), 유통(-0.32%)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24.69P(+0.45P/+0.06%)
테마시황
상승테마
바이든 행정부, SKC 앱솔릭스에 1억 달러 보조금 추가 지급 확정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AI·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전력설비/ 전선 테마 상승.
SK하이닉스, 오는 2월 10나노급 6세대 D램 세계 최초 양산 소식, TSMC 호실적 영향 및 대규모 설비 투자 계획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美 웨스팅하우스-한수원 지재권 분쟁 종결 합의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美 상무부·FBI, 中 통신장비업체 바이셀즈 테크놀로지 수사 소식에 통신장비 테마 상승.
서울시, 역대 최대 2.7조원 규모 일자리 예산 투입 소식 부각 등에 일자리(취업) 테마 상승.
설황금 연휴 앞두고 여행 수요 증가 기대감 등에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LCC), 일부 면세점 및 카지노 등 테마 상승.
금융당국, 업비트에 일부 영업정지 통보 속 반사이익 기대감에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 中 STS 후판에 21.62%의 잠정 반덤핑 관세 부과
기재부 건의 소식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 따른 국내일부 태양광업체 반사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이 외에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풍력에너지, 강관업체, 출산장려정책,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희귀금속(희토류 등), LED, 피팅(관이음쇠)/밸브, 셰일가스, 마켓컬리, 항공기부품, 조선기자재, 사료, 통신, 초전도체, 전력저장장치, 시멘트/레미콘, OLED, 철도, 2차전지(장비), 영상콘텐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하락테마
중국 내 아이폰 판매 부진 소식, 애플(-4.04%) 주가 하락 영향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줄기세포, 모더나, 제대혈, 면역항암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비만치료제, mRNA,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이 외에 양자암호, CCTV & DVR,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딥페이크, 의료AI, 화학섬유,
마리화나(대마), 바이오인식, 보안주(정보), 탈모 치료, 가상현실, 보안주(물리), 건설 대표주,
AI 챗봇(챗GPT 등), 마이크로 LED, 해운, 카메라모듈/부품, 증강현실, 화장품, 리튬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유리 기판
바이든 행정부, SKC 앱솔릭스에 1억 달러 보조금 추가 지급 확정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 기업 중 최초로 반도체지원법(칩스법) 보조금을 확정 지급받은
SKC 가 연방정부로부터 1억 달러를 추가 지원 받는다고 전해짐. 조 바이든 행정부는
임기 종료를 나흘 앞둔 16일 유리기판을 제조하는 SKC 조지아 공장인 앱솔릭스에 1억 달러의
보조금 지급을 확정. 추가 보조금은 조지아주 코빙턴시에 가동 중인 유리 기판 공장인 앱솔릭스에 지급되며, 앱솔릭스는 향후 유리 기판 생산량을 연 4만8,000개로 늘릴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필옵틱스, 와이씨켐, SKC, 미래컴퍼니, 씨앤지하이테크,
에프엔에스테크 등 유리 기판 테마가 상승.
전력설비/ 전선
AI·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LS일렉트릭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설립한 인공지능(AI) 개발사 xAI에 데이터센터용 전력기기를 공급하고, 미국 4대 빅테크 중 세 곳과도 배전반(전기 배분 장치) 납품을 협의하는 것으로 알려졌음. 이는 AI 데이터센터 투자 경쟁으로 미국에서 전력기기 품귀 현상이 벌어지자 고성능 제품을 빠르게 공급할 수 있는 한국 기업에 러브콜을 보낸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산업계에 따르면, 미국 빅테크 A사는 작년 11월 충북 청주에 있는 LS일렉트릭 전력기기 공장을 실사했으며, 현재 최종 품질 검증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음. 계약이 성사되면 올 하반기부터 매년 2,000억원~3,000억원 규모의 배전반 등을 수년간 납품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아울러 최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이자 트럼프2기 행정부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기후 변화와 더불어 전력 부족을 새로운 위협으로 지목한 것으로 전해짐. 머스크 CEO는 "2025년부터 에너지 생산이 급증하는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인공지능(AI) 발전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이어 "이토록 짧은 시간 안에 기술이 이렇게 빠르게 발전하는 것은 처음"이라며, "반도체 부족은 지나갔지만, AI와 전기차의 폭발적 성장으로 세계는 이르면 내년전기와 변압기 공급 부족에 직면할 수 있다"고 전망했음.
이에 금일 LS ELECTRIC, LS에코에너지, 제일일렉트릭, LS마린솔루션, LS, 세명전기
등 전력설비/전선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SK하이닉스, 오는 2월 10나노급 6세대 D램 세계 최초 양산 소식,
TSMC 호실적 영향 및 대규모 설비 투자 계획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SK하이닉스가 10나노급 6세대(1c) 미세공정을 적용한 D램을 오는 2월 세계 최초로 양산한다고 전해짐. SK하이닉스는 최근 1c DDR5에 대한 양산인증(MS Qual)을 마무리했다며, 매스 퀄이라 불리는 양산 인증은 연속된 몇 개의 랏(생산 기본 단위, 1랏이 웨이퍼 25장)결과가 모두 품질과 수율을 만족해 본격 양산을 할 수 있는 상태일 때 내려진다고 알려짐.
이에 SK하이닉스는 지난해 8월 1c를 적용한 16Gb(기가비트) DDR5(더블데이터레이트5)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이후 양산까지 세계 최초 타이틀을 유지하게 됐다고 전해짐. SK하이닉스가 업계 최선단 공정인 10나노급 6세대 D램 개발과 양산 모두 경쟁사인 삼성전자와 마이크론보다 앞서나가면서 D램 1위 기업 지위를 공고히 하게 된 가운데, 개발부터 양산까지 최소 6개월정도가 소요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경쟁사들이 지금 당장 10나노급 6세대 D램을 개발해도, 하이닉스보다 6개월 이상 뒤처진다고 알려짐.
전일 TSMC는 지난해 4분기 호실적을 발표. 연결 매출 8,684억6,100만 대만달러(38조4,380억원), 순이익 3,746억8,000만 대만달러(16조5,833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힘. 매출과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8.8%, 57.0% 늘어난 수치로 전분기 대비로는 14.3%, 15.2% 증가. 4분기 매출 총이익률은 59.0%, 영업이익률은 49.0%, 순이익률은 43.1%를 기록했으며, 순이익은 분기 사상 최고치를 기록. TSMC는 올해 공격적인 CAPEX를 발표. TSMC는 지난해 297억6천만달러(약 43조원)를 투입했고, 올해 총투자 규모는 380억~420억달러(약 55조~61조원)로 제시. 이는 컨센서스인 351억5천만달러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며, 첨단 공정 및 고급 패키징 기술 위주 투자로 전해지고 있음.
한편, 기획재정부는 전일 ‘2024년 세법 개정안 후속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 개정안에 따르면, 반도체 소부장 기업의 설계·제조 기술들이 현행 국가전략기술 범위에 새롭게 추가.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관련 소부장 설계·제조 분야에 HBM이, 에너지효율향상 전력 반도체 설계·제조 분야에는 전력관리반도체(PMIC)가 각각 포함. 이에 해당 기술을 보유한 소부장 기업들이 R&D와 시설 투자에 나설 경우 중소기업은 최대 50%, 중견·대기업은 최대 40%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HPSP, 리노공업, 테크윙, 한미반도체, 아이엠티,
피에스케이홀딩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원자력발전
美웨스팅하우스-한수원 지재권 분쟁 종결 합의 소식 등에 상승
16일(현지시간)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는 한국전력 및 한국수력원자력과의 원전 기술을 둘러싼 지식재산권 분쟁을 종결했다고 공식 발표했음.웨스팅하우스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 합의는 양측이 신규 원자로의 추진과 도입에 있어서 확신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허용한다. 합의는 또 양측이 전 세계적으로 신규 원전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미래에 협력할 수 있는 무대를 마련한다"고 밝힘.
제니퍼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도 성명을 내고 합의에 대해 "민간 원자력 분야에서 수십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고 유지하면서 수백억달러 상당의 협력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길을 여는 우수한 성취"라고 언급. 이어 "미국과 한국의 민간 원자력 에너지 협력은 가장 높은 비확산 기준을 준수하면서 세계 시장에 매우 경쟁력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언급했음.
아울러 트럼프 2기 에너지부 장관 지명자가 미국의 에너지 지배력 강화를 위한 상업 원전 활성화를 주장했음.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장관 지명자는 15일(현지 시간) 상원 에너지·천연자원위원회 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상업 원전과 관련해 "이미 미국에서 중대한 에너지원"이라며, "하지만 수십 년간 성장하지 않은 상태다. 어떻게 이를 다시 성장하게 할 것인가"라고 문제를 제시했음. 이어 "다행히 우리에게는 보다 작은 새로운 세대의 원자로가 있다"며 "시설 내에서 제조할 수 있는 반도체나 자전거 같은 것들은 비용이 낮아지고 있지만, (대형 원전과 같이) 현장에서 지어야 하는 것의 비용은 높아진다"'고 언급했음. 특히, 비용이 많이 드는 대형 원전의 대안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로를 제시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한전산업, 한신기계, 서전기전, 두산에너빌리티, 에너토크,
지투파워, 보성파워텍, 우진엔텍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통신장비
美 상무부·FBI, 中 통신장비업체 바이셀즈 테크놀로지 수사 소식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와 연방수사국(FBI)이 보안 위험 가능성을 이유로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바이셀즈 테크놀로지를 수사하고 있다고 전해짐. 바이셀즈 테크놀로지는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 출신의 엔지니어들이 창업한 회사로 미국 모든 주에 걸쳐 700개의 상업용 모바일 네트워크에 통신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고 알려짐.
미국 상무부는 바이셀스에 소환장을 발송했으며,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상무부 조사에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특히, 미국 정부와 FBI는 화웨이와 관련성에 주목하고 있다며, 바이셀즈의 창업자들이 화웨이 출신인만큼 중국산 통신 장비를 통한 스파이 활동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쏠리드, 알엔투테크놀로지, 쏘닉스, 이노와이어리스, RF머트리얼즈
등 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일자리(취업)
서울시, 역대 최대 2.7조원 규모 일자리 예산 투입 소식 부각 등에 상승
서울시는 전일 역대 최대 규모 예산인 2.7조원을 투입해 올해 직·간접 일자리 41만개를 만든다는 내용이 담긴 일자리 대책을 발표. 서울시는 우선 41만개의 일자리 가운데 80%가량인 33만개의 일자리를 상반기에 공급할 방침이며, 간접 일자리로는 '청년취업사관학교'(일자리 목표 1,575개), 민간형 '매력일자리'(1,750개), 여성 취업 알선 활동 강화(3만330개), 청년인턴 직무캠프(270개) 등을 공급할 예정. 이밖에 시는 중견·중소기업 퇴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해 이·전직을 지원하고, 폐업 후 취업을 원하는 소상공인 200명에게 직업 훈련과 취업 연계 서비스를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원티드랩, 오픈놀, 윌비스, 아이비김영, 대성창투 등 일자리(취업) 테마가 상승.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LCC) 등
설 황금 연휴 앞두고 여행 수요 증가 기대감 등에 상승
앞서 정부가 오는 27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하는 안건을 상정해 의결한 가운데,
25∼26일 주말에 이어 27일, 28∼30일 설 연휴까지 엿새간의 황금 연휴가 이어질 예정.
업계에서는 오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발표 이후 황금연휴를 활용한 국내 여행 수요가
높아질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음. 올해 1~2월 국내 여행 예약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음. 전일 모두투어에 따르면, 1~2월 국내 여행 예약률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 임시공휴일 지정발표 이후 국내 여행 계획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한국투자증권은 대한항공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안전장려금 등 인건비변수에도 항공화물 시황 강세 덕분에 만회할 것이라고 분석.
25년 이익모멘텀은 더욱 견고해질 것이라고 설명. 별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2% 증가한 2.1조원, 아시아나항공 실적이 더해진 연결 기준으로는 2.8조원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 이에 운송업종 최선호주로 유지, 목표주가는 35,000원으로 기존 대비 13% 상향.
이 같은 소식 속 참좋은여행, 노랑풍선, 대한항공, 진에어 등 여행/항공/저가 항공사(LCC),
롯데관광개발, 파라다이스, JTC, 글로벌텍스프리 등 카지노/면세점 테마가 상승.
또한, 고속버스업체인 천일고속, 동양고속도 시장에서 부각.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금융당국, 업비트에 일부 영업정지 통보 속 반사이익 기대감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이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에 고객확인제도 위반 등 자금세탁방지 의무 불이행 혐의로 제재를 통지한 것으로 전해짐. 금융권에 따르면, FIU는 오는21일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제재를 확정하고 업비트는 이에 앞서 소명을 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음.
한편, FIU는 지난해 8월 말부터 업비트가 제출한 사업자면허 갱신 신고 신청에 대해 현장검사를 진행한 결과, 고객확인제도 위반 등 자금세탁방지의무 불이행 혐의 사례를 대거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음. 이에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측은 "제재가 확정된다고 하더라도 기존 또는 신규 이용자의 가상자산거래가중단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일정 기간 신규고객이 가상자산을 전송하는 것을 제한하는 내용이 골자"라고 설명. 이어 "현재는 제재 결과가확정된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음.
이에 금일 티사이언티픽, 인바이오젠, 위지트 등 빗썸 관련주들과 컴투스홀딩스 등
코인원 관련주들을 중심으로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아이폰
중국 내 아이폰 판매 부진 소식, 애플(-4.04%) 주가 하락 영향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애플(-4.04%)이 중국 내 아이폰 판매 부진 소식에 큰 폭의 하락세를 보임.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에 따르면, 지난해 애플의 중국 시장 스마트폰 출하량이 17%줄면서 판매 1위 자리를 내줬음.
저가형 스마트폰 업체인 비보가 17%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고, 고가형 제품을 내놓는 화웨이는16%로 2위, 애플은 점유율 15%로 3위까지 밀렸음. 애플 아이폰은 작년 4분기 중국 내 매출이 25% 줄어드는 등 4개 분기 내내 매출 감소세를보인 가운데, 연간 매출 감소 폭은 사상 최대 규모임. 애플의 부진은 중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하지 못한 것이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덕산네오룩스, 비에이치, 이녹스첨단소재, LG이노텍 등 아이폰 테마가 하락.
당일 상승종목
코퍼스코리아(+29.97%)
1 251.17억원 규모
공급계약매출액 공개 속 상한가
LS에코에너지(+29.92%)
전력설비/전선 테마 상승,
LS일렉트릭, '머스크 인공지능 기업' xAI에
전력기기 공급 및 美 빅테크사와 배전반
공급 협의 소식 등에 LS 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LS네트웍스(+29.87%)
LS일렉트릭, '머스크 인공지능 기업' xAI에
전력기기 공급 및 美 빅테크사와 배전반
공급 협의 소식 등에 LS 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파인테크닉스(+20.02%)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상승 속 급등
LS머트리얼즈(+19.73%)
LS일렉트릭, '머스크 인공지능 기업' xAI에
전력기기 공급 및 美 빅테크사와 배전반
공급 협의 소식 등에 LS 그룹주 상승
이삭엔지니어링(+17.93%)
일론머스크, 변압기 확대 필요 언급 소식
속 초고압 전력설비 예방진단 솔루션
개발 사실 부각에 급등
씨앤지하이테크(+17.00%)
반도체 관련주 및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필옵틱스(+16.73%)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유리기판에
이어 폴더블과 태양광 장비 등
풍부한 모멘텀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한전산업(+16.44%)
전력설비 및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15.99%)
CDMO 사업 수주 가시화 기대감 등에 급등
경남스틸(+15.87%)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상승 속 급등
휴맥스홀딩스(+15.73%)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엠티(+15.56%)
SK하이닉스, 오는 2월 10나노급 6세대 D램
세계 최초 양산 소식, TSMC 호실적 영향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알엔투테크놀로지(+15.34%)
美 상무부·FBI, 中 통신장비업체
바이셀즈 테크놀로지 수사 소식에
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LS ELECTRIC(+15.05%)
전력설비 및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머스크 인공지능 기업' xAI에 전력기기 공급 및
美 빅테크사와 배전반 공급 협의 소식 등에 급등
한신기계(+14.69%)
美웨스팅하우스-한수원 지재권 분쟁 종결
합의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쏠리드(+14.52%)
美 상무부·FBI, 中 통신장비업체
바이셀즈 테크놀로지 수사 소식에
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원티드랩(+14.03%)
서울시, 역대 최대 2.7조원 규모
일자리 예산 투입 소식 부각 등에
일자리(취업)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센스(+13.71%)
적대적 M&A 가능성 속 급등
서전기전(+13.15%)
전력설비 및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와이씨켐(+11.92%)
반도체 관련주 및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세아제강지주(+11.05%)
종속회사 세아제강,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비씨엔씨(+11.00%)
SK하이닉스, 오는 2월 10나노급 6세대 D램
세계 최초 양산 소식, TSMC 호실적 영향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HPSP(+10.78%)
SK하이닉스, 오는 2월 10나노급 6세대 D램
세계 최초 양산 소식, TSMC 호실적 영향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두산테스나(+10.23%)
SK하이닉스, 오는 2월 10나노급 6세대 D램
세계 최초 양산 소식, TSMC 호실적 영향 지속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윌비스(+10.03%)
서울시, 역대 최대 2.7조원 규모 일자리 예산
투입 소식 부각 등에 일자리(취업) 테마 상승 속 급등
SKC(+9.40%)
바이든 행정부, SKC 앱솔릭스에 1억 달러
보조금 추가 지급 확정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속 급등
한국선재(+9.18%)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상승 속 급등
시간외 특징주
상승종목
알엔투테크놀로지 ( +9.94% )
장 마감 후 이효종이 케이엠제1호조합에
보유주식 1,598,730주를 111.91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계약 체결 공시.
50억원 규모 CB발행 및 총 6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발행 결정 공시
화인베스틸 ( +9.91% )
美 정부, 中 조선·해운 관련 불공정 보고서
발표 예정 및 트럼프 취임 이후
美 LNG 수출 승인 재개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일부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갤럭시아에스엠 ( +9.89%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NFT(대체불가토큰) 테마 상승
현대힘스 ( +9.78% )
美 정부, 中 조선·해운 관련 불공정 보고서
발표 예정 및 트럼프 취임 이후
美 LNG 수출 승인 재개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일부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한국전자홀딩스 ( +8.93% )
김범석 의장 트럼프 취임식 참석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쿠팡(coupang) 테마 상승
갤럭시아머니트리 ( +6.18%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NFT(대체불가토큰)/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케이옥션 ( +5.26%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핑거 ( +5.03%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NFT(대체불가토큰) 테마 상승
일승 ( +4.62% )
美 정부, 中 조선·해운 관련 불공정 보고서 발표 예정
및 트럼프 취임 이후 美 LNG 수출 승인 재개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일부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금양 ( +3.98% )
장 마감 후 4,502.62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철회 공시
이엠앤아이 ( +3.51% )
장 마감 후 신ㅇㅇ외1명이 검사인 선임 소송 제기 공시
오리엔탈정공 ( +3.44% )
美 정부, 中 조선·해운 관련 불공정 보고서 발표 예정
및 트럼프 취임 이후 美 LNG 수출 승인 재개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일부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서울옥션 ( +3.42%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NFT(대체불가토큰) 테마 상승
뱅크웨어글로벌 ( +2.32%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컴투스홀딩스 ( +2.30%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NFT(대체불가토큰)/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아이티센 ( +2.19%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오르비텍 ( +2.05% )
美웨스팅하우스-한수원 지재권 분쟁 종결
합의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영진약품 ( +1.69% )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2,520.40억원(전년대비 +7.29%),
영업이익 87.21억원(전년대비 +179.78%)
KCTC ( +1.51% )
김범석 의장 트럼프 취임식 참석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쿠팡(coupang) 테마 상승
우리기술투자 ( +1.50%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케이프 ( +1.47% )
美 정부, 中 조선·해운 관련 불공정 보고서 발표 예정
및 트럼프 취임 이후 美 LNG 수출 승인 재개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일부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티사이언티픽 ( +1.42%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가상자산 정책 우선순위
지정 행정명령 추진 준비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하락종목
세우글로벌 ( -1.13% )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하락
맥스트 ( -1.24% )
장 마감 후 1,097,694주 추가상장
(유상증자(소액일반공모)) 공시
FSN ( -1.25% )
장 마감 후 전환사채권발행결정
정정 공시(발행 대상자 및 납입일 변경)
LS증권 ( -1.25% )
시간외 LS 그룹주 하락
케이사인 ( -1.50% )
장 마감 후 [투자주의]특정계좌(군) 매매관여 과다종목 공시
LS에코에너지 ( -1.57% )
시간외 LS 그룹주 하락
LS ELECTRIC ( -1.57% )
시간외 LS 그룹주 하락
풍강 ( -1.61% )
장 마감 후 [투자주의]단일계좌 거래량 상위종목 공시
LS머트리얼즈 ( -1.62% )
시간외 LS 그룹주 하락
경남스틸 ( -1.71% )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하락
필옵틱스 ( -1.93% )
시간외 일부 유리 기판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
소유상황보고서 전자공시(한규완 부사장 장내매도)
에이치브이엠 ( -2.54% )
시간외 일부 반도체 관련주 하락
인크레더블버즈 ( -2.63% )
장 마감 후 [투자주의]단일계좌 거래량 상위종목 공시
아이엠티 ( -2.82% )
시간외 일부 반도체 관련주 하락.
장 마감 후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공시
와이팜 ( -2.95% )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신탁 등 대상 우선주 5,769,227주
(164.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
파인테크닉스 ( -3.04% )
시간외 일부 정치/인맥(홍준표) 테마 하락.
장 마감 후 투자경고종목지정 공시
씨앤지하이테크 ( -3.57% )
시간외 일부 반도체 관련주 및 유리 기판 테마 하락
하이트론 ( -5.05% )
미국 바이오 사업 추진 및
재무 건전성 우려 지속 속 정규장 18.86% 급락.
장 마감 후 [투자주의]단일계좌 거래량 상위종목 공시
'장마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 (월) 장마감 (1) | 2025.01.20 |
---|---|
1.20 (월) 장마감 분석 (0) | 2025.01.20 |
1.17 (금) 장마감 분석 (0) | 2025.01.17 |
1.16 (목) 장마감 (1) | 2025.01.16 |
1.16 (목) 장마감 분석 (0) | 2025.01.16 |
댓글